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천만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분포 현황

        공병욱 ( Byung-wook Kong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 연안생태계의 염생식물 구성종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축적과 염생식물의 복원 및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의 일환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순천만 연구대상지역 내 출현하는 관속식물 4과 12종, 우점 염생식물은 3과 4종으로 우점현황은 갈대, 칠면초, 새섬매자기, 천일사초 순으로 조사되었다. 갈대는 평균성장높이 203.6 ㎝, 평균생물량 28.61 g/inds.으로 조사지역 전 구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면적 0.96 ㎢ 안에 248,054,606 inds.의 지상부의 싹수로 조사되었다. 칠면초는 평균성장높이 30.9 ㎝, 평균생물량 2.23 g/inds.으로 분포면적 0.166 ㎢ 안에 59,944,213 inds.의 총 개체수가 조사되었다. 새섬매자기는 평균성장높이 57.5 ㎝, 평균생물량 1.17 g/inds.으로 일부지역에서만 출현하며, 1,429,800 inds.의 총 개체수로 조사되었다. 천일사초는 평균성장높이 65.5 ㎝, 평균생물량 1.32 g/inds.으로 상내리에서 2개의 군락이 출현하며, 633,888 inds.의 총 개체수가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which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ccumulation, restoration of halophytes, and eco-friendly management in coastal ecosystems of the Sucheon B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t was dominant status that Phragmites communis, Suaeda japonica, Scirpus planiculmis F.Schmidt, Carex scabritolia which to emergence Vascular Plants 4 family 12 species, dominant halophyte species 3 family 4 species in Suncheon Bay. Phragmites communis were investigated what are the average growth height 203.6 cm, average biomass 28.61 g/inds., and shoot of top part 248,054,606 inds. in 0.96 ㎢ which the most spacious distribution area of the study area. Suaeda japonica Makino were investigated what are the average growth height 30.9 cm, average biomass 2.23 g/inds., and total population of 59,944,213 inds. in distribution area of 0.166 ㎢. Scirpus planiculmis F.Schmidt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growth height 57.5 cm, the average biomass 1.17 g/inds., and total population 1,429,800 inds. which to emergence in some area of Daedae. Carex scabritolia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growth height 65.5 ㎝, the average biomass 1.32 g/inds. and total population 633,888 inds. which to emergence two communities in Sangnae-ri.

      • KCI등재후보

        순천만으로 유입되는 하천의 오염물질 부하량 산정

        박상진 ( Sang-jin Park ),공병욱 ( Byung-wook Kong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3

        순천만의 과학적이고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순천만 유입수계에서의 오염물질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저감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순천만에 영향을 미치는 총 8개지점을 선정하여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유입수계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특성 및 순천만 유입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수질환경기준을 바탕으로 순천만 유입수계의 pH 및 DO는 전 하천에서 Ia등급의 “매우좋음”으로 판정되었다. 유기물지표인 BOD는 해룡천 지점이 “약간나쁨”, 순천만 유입지점이 “보통”으로 판정되었으며, 그이외의 하천은 “좋음”으로 평가된다. SS의 경우는 해룡천과 순천만 유입지점은 “나쁨”으로 평가되며, 그이외의 지점은 “매우좋음”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총대장균군의 경우는 순천서천과 순천동천의 경우는 “매우좋음”, 그이외의 하천은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대상지점 중에서 해룡천과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가장 높았으며, 해룡천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 부하량은 BOD가 371.5 kg/day, T-N이 424.1 kg/day, T-P는 55.9kg/day로 나타났으며,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의 경우는 BOD가 498.5 kg/day, T-N이 1,213.3kg/day, T-P가 143.7 kg/day로 나타났다. 순천만 유입수계의 오염물질이 최종적으로 유입되는 순천만 유입지점에서의 오염물질 양은 유기물(BOD)이 1,035.7 kg/day, 총질소가 1,441.9 kg/day, 총인이 178.3 kg/day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water quality at stream flowing into the Suncheon bay in Suncheon city. We investigated at eight sampling points from October 2008 to August 2009 and calculated the pollutant load. pH and DO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as Ia grade(very good) that compared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Haeryong stream and inlet site of Suncheon Bay in BOD were evaluated as a little bad and fair, the other sites were estimated as very good. Total coliform group in Suncheon Seo stream and Suncheon Dong stream was evaluated as very good, and the other sites was estimated as fair. The pollutant loading rate was most high in Haeryong stream and sewage treatment plant. The loading rate in Haeryong stream was as follow; BOD 371.5 kg/day, T-N이 424.1 kg/day and T-P 55.9 kg/day, respectively. The loading rate from sewage treatment plant was BOD 498.5 kg/day, T-N 1,213.3 kg/day and T-P 143.7 kg/day. Therefore the pollutant loading rate which flowing into the Suncheon Bay was BOD 1,035.7 kg/day, T-N 1,441.9 kg/day, T-P 178.3 kg/day.

      • KCI등재후보

        순천만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분포 현황과 서식지의 토양환경 특성

        장형국 ( Hyung-guk Jang ),공정태 ( Jung-tae Gong ),공병욱 ( Byung-wook Kong ),한상호 ( Sang-ho Han ),라덕관 ( Deog-gwan Ra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6

        순천만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 군락의 친환경적 관리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의 분포현황과 염생식물 서식지 토양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 6종을 선정하여 서식 염생식물의 군락지를 파악하고 해당지점의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순천만에 서식하는 대표 염생식물은 갈대(Phragmites communis), 칠면초(Suaeda japonica),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순으로 나타났다. 갈대가 군락을 형성한 지역의 물리화학적 토양환경은 함수량, 토양의 염분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 황화물이 비교적 높은 니질(mud) 토성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칠면초는 함수량이 다소 낮고, 염분농도가 높은 니질 토양환경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새섬매자기는 함수량, 염분농도,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높은 니질 토양에 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문재와 퉁퉁마디는 함수량과, 염분농도, 황화물,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낮은 해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토양에 서식하였으며, 나문재는 사질토양에, 퉁퉁마디는 니질토양에 서식하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갈대나 칠면초 같은 염생식물의 친환경적 관리뿐만 아니라 순천만에서 자취를 감출 수 있는 퉁퉁마디와 같은 염생식물의 복원을 타진해 보는 것도 꼭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formation on distribution pattern of main halophyt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soil environment for environmentally-friendly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halophytes community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We selected the main six halophytes and surveyed of the communities and analyzed the soil environment. The main halophytes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were Phragmites communis, Suaeda japonica, Scirpus planiculmis, Carex scabrifolia, Suaeda asparagoides, Salicornia herbacea. Physico-chemical environment of soil living Phragmites communis were more higher than the others in the items of water content, salinity, COD, AVS, and soil texture was muddy facies(The sum of clay and silt contents was 98%). Suaeda japonica was living in the condition of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salinity, and muddy facies. The water content, salinity, and COD were higher in soil living Scirpus planiculmis, and soil texture was muddy facies.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communities were formed with lower condition in the items of water content, salinity, COD, AVS and with no seawater influx. From this study, we desire the trial to restore the Salicornia herbacea an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management of Phragmites communis and Suaeda japonica living in the saltmarsh of Suncheon B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