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속학에서 공동체 미디어 연구의 문제설정

        공다해(Kong, Da-hea)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2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3 No.-

        이 연구는 그간 민속학에서 미디어에 관한 연구 영역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민속-미디어’의 영역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시대 미디어 현상의 특징을 일상화와 개인화, 다중과 플랫폼의 역동을 통한 탈시장 경향과 자본의 전유 사이의 긴장, 권력과 지배 통치의 문제 등으로 정의한다. 이와 관련되는 대안적 공동체문화 실천의 구체적인 사례로 웹툰, 공동체 미디어 ‘호박이넝쿨책’의 실천, 농촌지역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으로서 촛불행동 등을 살펴본다. 이는 미디어를 단순히 민속의 재현 매체가 아닌 다중들의 적극적인 실천 속에서 민속의 변환과 생성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사유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민속-미디어 연구의 주제영역 제안하고,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고자 했다. This study to classify ‘folklore-media’ domains through conversion of recognition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field of folklore lacks awareness of problems in media studies.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edia phenomena are defined in the context of routinization individualization, post-economic disposition in the dynamics of multiples and platforms, tense between capital and exclusive possession, and power and governance. Attention is paid to practicing alternative community cultures. Specific case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webtoon, practice of community media by ‘Hobakineongkoolchaek’, practice of community media in agricultural regions, and candlelight vigil as an activism of trans-media. Media are viewed not merely as a channel of folklore representation but as a field of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folklore in multiples’ active practice. Additionally, subject areas of folklore-media are suggested in an attempt to conversion of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농촌 미디어 실천의 문화적 의미-홍성지역 팟캐스트 〈조대성의 Farm므파탈〉을 중심으로-

        공다해(Kong, Da-hea)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1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1 No.-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공동체 미디어 실천이다. 공동체 미디어는 사회 일반과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주류 미디어에서 지역의 목소리를 왜곡하거나 소거하여 생겨나는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미디어이자 지역민과 조직들이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그 실천과 연구가 인적 물적 자원이 집중된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농촌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은 주변화되어 있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이 연구는 홍성 지역 귀농인에 의해 실천된 팟캐스트 〈조대성의 Farm므파탈〉에 주목하며, 농촌에서 이루어진 미디어 실천의 문화적 의미를 살핀다. 〈팜므파탈〉은 도시의 기술 문명을 농촌에서 실현함으로써 중앙과 지방의 문화적 위치를 재구조화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팜므파탈〉은 입말문화의 구조를 반영하면서도 소통을 확장시켜 주변화되어 있던 농촌의 삶을 일상의 차원으로 끌어올려 놓는다. 나아가 웹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는 농촌의 삶은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질서에 틈새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담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e of community media. Community media refer to alternative media to solve the problems of alienation that mainstream media targeting the society in general or the public can produce as they may distort or erase local voices. The media are characterized by locals or groups making their own voices independently. The trends of that practice or research, however, have been centered around cities where human or physical resources are concentrated whereas the practice of community media in farm villages has been marginalized. Being aware of the existing limitations,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Jo Daesung’s Farmme Fatale〉, a podcast practiced by a person who returned to farming in Hongseong, and examines the cultural meaning of practicing media in a farm village. We can find the meaning of 〈Farmme Fatale〉 in that it realizes the civilization of urban technology in a farm village and restructuralizes the cultural positions of the center and local areas. In addition, while reflecting the structure of oral culture, 〈Farmme Fatale〉 pushes the farm life that has been marginalized up to the dimension of everyday life by extending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stories about farm life shared on the web platform embrac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crack on the dominative order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