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Ko, Hyun),강미희(Kang, Mee Hee),은별(Ko, Eun Ba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현대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4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15주간, 2시간씩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개인 및 팀 학습 성찰 일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적 시도로서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과정 및 강의법 개선과 보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수법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an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creating new and unique idea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and future society and by thinking crea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if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is effective in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42 students participat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were selected as a test group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5 weeks with 2 hours per week. After program treatment, to figure out the change of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covariance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dividual and team learning reflection log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routin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of health care divis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a new educational attempt focusing on learner, and it provides an important implication on the improvement and update of existing traditional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Accordingly, universities must make continual effort to improv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reinforce capac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of students.

      • KCI등재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Ko Hyun),나장함(Na Jang 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광주지역에 소재한 C대학과 G대학에 재학 중인 2~4학년 3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5월 28일부터 6월 1일까 지 한 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핵심역량과 자기효능감은 교직전문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 사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인식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핵심역량과 전문성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역량을 개발 및 강화하고 교사로서 자기효능감을 확립하기 위해 실제적인 교수 기회와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와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percep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2 college students in 2nd to 4th graders at C and G universities in Gwangj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8 to June 1, 2018 for one week.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erived. First, teacher core competency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re competence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need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 system and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that can provide practical teaching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in order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establish self-efficacy as a teacher.

      • KCI등재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Ko,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초․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및 지원방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북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초․ 중학교 교사 5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3월 25일부터 4월 5일까지 2주 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성장과 변화 피드 백, 수준별 학생평가, 교실 수업개선, 수업과 평가 일체화를 목표로 하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수행평가 중심의 교사별 과정중심평가가 실시되고 주로 수업하는 과정 또는 한 단원이 끝날 때마다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평가 전문성 부족, 과정중심평가의 개념에 대한 혼란, 계획과 실천의 분절 등으로 인해 수행상의 어려움을 인식해 이에 대한 교육청 및 단위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가 단위학교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전환과 더불어 다양한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perception, actual condition, and support strategies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targeting elementary/middle school teachers. For two weeks from March 25th to April 5th 2019,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540 elementary/middle school teachers in Gyeongbuk region.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cognized the necessity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aiming for students’ feedbacks on growth and changes, students’ assessment for each level, improvement of classroom lesson, and integration of lesson and assessment. Second, the percentage of performing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was relatively low. The performance assessment-based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was performed, and the assessment was mainly conducted in the process of lesson or whenever each unit was completed. Third, the teachers cognized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caused by insufficient expertise in assessment, confusion about the concept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and segmentation of plan and practice,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supports in the level of education office and school. In conclusion, to settle down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in school, it would be need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by each teacher, and also to have teachers’ will and effort for the development/application of diverse assessment methods.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미희(Kang, Mee–,Hee), (Ko,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광주지역에 소재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20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1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 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관련 수업 경험이 있는 중등예비교사가 다문화 수용성이 높게 나타났고, 다문화 친구가 있는 중등예비교사가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인식의 의식적 요인과 다문화 수용성의 보편성 요인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학생들과 소통하고 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중등교사 양성과정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 and acceptability of multiple cultures o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8 undergraduate students, in years 1 to 4 at University C in Gwangju, from January 1 to 2, 2019.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was analyzed using SPSS, an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ducati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 acceptance of multiple culture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ith frie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shown to have high percep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high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Second, the consciousness of perception of multiple cultures and universality of acceptability of multiple cultures show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ver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and devise plans for supporting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o enhance their abilitie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lp them adopting into school in order to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