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착오에 관한 연구

        고형석(Hyoung-Suk Ko) 한국비교사법학회 2004 比較私法 Vol.11 No.3

        The Electronic Commerce(EC) contracted by means of electronic methods has more possibility to cause a mistake than common transactions. A mistake in EC has already happened and been a major cause of disputes. But it is not easy to present a legal settlement about a mistake in Cyber-mall, and is very difficult to say uniformly that a party can cancel a contract on account of a mistake. Therefore, I suggested concrete cases to settle this problem and these cases consisted of buyer's and seller's mistake. Firstly, a buyer is not entitled to cancel an offer where a mistake as to quantity of goods is not a fundamental matter of contract. Where a mistake about quantity of goods was a fundamental matter of contract and seller provided a buyer with webpage to correct an offer, buyer cann't cancel an offer because of a serious negligence. Secondly, if seller advertised goods without a distinction from other goods in a cyber-mall and there was a huge difference between a original price and a price marked, seller can cancel a consent. But if seller discriminated a goods from others in advertisement and buyer could select this goods easily, seller cann't cancel a consent because of a serious negligence. However, consumer who cann't cancel an offer by reason of a mistake can exercise the right of withdrawal according to "the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etc".

      • KCI등재

        경제위기와 임차인의 보증금보장방안에 관한 연구

        고형석(Ko, Hyoung-Suk)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1

        An ongoing recession is giving a red flag for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Especially, the housing recession is causing a risk that can not be retrieved the deposit for lease. Of course, any lessee who has met the requirements for opposing power as prescribed in Article 3 (1) or (2) and obtained the fixed date on the lease contract document, shall be entitled to receive the repayment of the deposit from the converted price of the leased house, in preference to any junior obligors and other creditors, at the time of an auction as provided by the Civil Execution Act and a public sale as prescribed by the National Tax Collection Act. Also, the lessee shall be entitled to received a repayment of a specified amount of the deposit in preference to other persons having the security rights in the leased house. But lessee who can be protected under the Act is not so much. Also, in case of being other persons having the security rights in the leased house, an effectiveness of lessee protection is not high. The deposit special guarantee system of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is not enough to protect lessees. Therefore, it is needed to seek plans to guarantee the deposit of lessees. In this paper, i suggested two plans. One is a plan which a scope of lessees receiving a repayment of a specified amount of the deposit in preference to other persons having the security rights will be expanded. It is an another plan that a scope of the deposit guarantee insurance will be expanded. But, only one of two plans, it is not enough to protect lessees. Therefore, it will introduce two plans both to protect lessees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조정제도와 소멸시효의 중단

        고형석(Ko, Hyoung Suk),서상문(Seo, Sang Moo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25 No.3

        소송과 달리 조정의 신청 등에 대하여 소멸시효의 중단효가 발생하는 가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 입법예고된 소비자기본법 개정안에서는 조정의 신청 등에 따른 소멸시효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와 같이 명문의 규정을 신설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점에 대하여는 찬성하지만, 개정안의 내용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정신청에 따른 시효중단의 문제에 대하여 민사조정법과 동일하게 규정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민사조정법이 행정형 조정제도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소멸시효의 문제를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행정형 조정제도의 특성을 감안하여 조정의 신청 등에 따른 소멸시효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그 기본적인 방안으로 첫째, 당사자가 조정을 신청하였을 경우 소멸시효의 중단효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정신청이 각하 또는 취하되거나 조정이 불성립한 경우 1개월 이내에 소의 제기 또는 이와 동일한 효력을 가지는 분쟁해결절차를 신청한 때 조정신청시점에 소를 제기하는 것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송과 달리 조정의 경우 다양한 조정중지사유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유에 의하여 조정이 중지된 경우에도 1개월 이내에 소 등을 제기한 경우 조정신청 시점에 시효중단효가 발생함을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입법적 해결방안은 조정에 관한 기본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 조정관련법에서 이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에도 매우 많은 조정기구가 존재하며, 향후 조정기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조정신청에 따른 시효중단의 문제에 대하여 소비자기본법을 비롯하여 조정관련법에서 개별적으로 규정하여 해결한다면 각 법률별로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조정제도의 발전에 있어서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관련 기본법을 제정하여 조정의 신청에서부터 시작하여 신청의 취하ㆍ각하 또는 중지사유를 비롯하여 소멸시효의 중단효 등 조정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가칭 조정기본법에서 규정하고, 그 이외 해당 조정사건의 특수성에서 발생하는 사항에 대하여만 개별 조정관련법에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f a party requests a conciliation, it can be brought up a problem wheth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be interrupted or not. It is provided in the civil conciliation act that a request for a conciliation interrupt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But most of laws related with the conciliation do not have provisions as to the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fore, to resolve this problem, new provisions have been enacted in revised bill of Framework Act on Consumers. However, the revised bill needs to be considered the following 4 points. First, if a party requests a conciliation,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be recognized. Secondly, if the dismissal or withdrawal of conciliation occurs and a party files a lawsuit in a month, it needs to be regulated that the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ccurs at the time when a party requests a conciliation. Thirdly, lots of stop causes exist in the conciliation. Therefore, if a conciliation is stoped because of those reasons and a party files a lawsuit in a month, it needs to be regulated that the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ccurs at the time when a party requests a conciliation. Lastly, it is needed to be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conciliation to resolve lots of problems with the conciliation.

      • KCI등재

        해외구매관련 계약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고형석(Ko, Hyoung-Suk) 한양법학회 2017 漢陽法學 Vol.28 No.1

        As a electronic commerce is developing, transactions with foreign operators are also increasing. International electronic consumer contracts can be divided into a direct purchase contract, a purchase agency contract and a delivery agency contract. Among these, a purchase agency contract and a delivery agency contract are contracts between a domestic business operator and a consumer. However, consumer damages in these contract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Fair Trade Commission enacted three standard agreements related overseas purchases to prevent consumer damages in 2016.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decline consumer damages in contract related oversea purchases. But standard agreements related overseas purchases are not sufficient for consumer protection. In particular, it does not agree with the content of the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Therefore, even if a business operator uses the standard terms, consumer damages are occurred. Three standard agreements related overseas purchases need to be amended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damage in contracts related oversea purchases.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standard agreements ne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 KCI등재

        방문판매의 정의에 관한 연구

        고형석(Ko, Hyoung-Suk)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30

        방문판매법상 방문판매는 재화 또는 용역(일정한 시설을 이용하거나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한다)의 판매(위탁 및 중개를 포함한다)를 업으로 하는 자가 방문을 하는 방법으로 그의 영업소, 대리점, 그 밖에 총리령으로 정하는 영업 장소외의 장소에서 소비자에게 권유하여 계약의 청약을 받거나 계약을 체결(사업장 외의 장소에서 권유 등 총리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소비자를 유인하여 사업장에서 계약의 청약을 받거나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여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방문판매의 구체적인 요건을 동 시행 규칙에 위임하고 있다. 방문판매법은 2012년에 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의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고 있는 시행규칙 개정안이 2012년 3월 입법예고 되었다. 개정안에서는 사업장의 요건으로 3개월 이상의 영업기간, 일정한 설비 및 부당한 거래행위의 금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영업기간 요건은 신규사업자를 무조건적으로 방문판매업자로 인정할 수 있으며, 부당한 거래행위 역시 방문판매업자를 무제한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유인방식 역시 대면 및 비대면을 비롯하여 동행 및 비동행방식으로 확대하고 있어서 방문판매업자의 인정범위가 무제한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동 시행규칙 개정안은 본질적인 방문판매의 요건을 정하고 있기 보다는 일반사업자의 부당한 거래행위를 규율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를 방문판매의 요건으로 추가하였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방문판매의 본질에 적합한 방문판매의 요건을 방문판매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A Door to door Sale means a sale of goods or services in which a person who makes a living by selling(including consignment sales and mediated sales; the same shall apply hereinafter) goods and services(including rights to use certain facilities or receive services; the same shall apply hereinafter) solicits consumers to make an application for a sales contract or concludes a sales contract at a place other than his/her place of business, an agency’s office or other sales places, (including cases in which the seller induces, by solicitation or other methods specified by a Prime Minister’s decree, a consumer at a place other than his/her place of business to visit his/her place of business to make an application for a sales contract or to concludes a sales contract). Also, a Prime Minister’s decree is providing conditions of a place of business. As the Door to door Sales act was amended in 2012, KFTC(Korea Fair Trade Commission) announced the revised bill to a Prime Minister’s decree. According to this revised bill, a place of business must satisfy such requirements that business duration in that place must be at least 3 months, the place has equipments that is fixed to it and unfair trading practices of a business is legally prohibited. But the requirement of business duration of 3 or more months would recognize new business as Door to door Seller unconditionally. Also, requiring prohibition of unfair trading practices runs the risk of expanding scope of the door to door sellers indefinitely. Therefore, requirements of the revised bill to a Prime Minister’s decree should be modified comprehensively.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거래와 청약철회권

        고형석(Ko Hyoung Suk)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4 No.1

        스마트기기 및 무선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을 통한 디지털콘텐츠거래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와 더불어 소비자분쟁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분쟁의 유형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콘텐츠거래에 있어서 소비자의 청약철회권을 인정하여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구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서는 이를 배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디지털콘텐츠를 거래한 소비자는 동법에 따라 청약철회권을 행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부정하는 사업자의 약관은 불공정한 약관으로 인정되어 해당 사업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조치를 받았다. 그러나 소비자가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한 후에도 청약철회권을 행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2016년 개정법에서는 청약철회권의 배제사유로 디지털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를 추가하였다. 이러한 개정법의 내용은 유럽연합 소비자권리지침의 내용을 반영한 것이며, 디지털콘텐츠거래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청약철회권의 배제요건인 “디지털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의 의미는 소비자가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한 시점이 아닌 소비자가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조치를 사업자가 취한 시점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청약철회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콘텐츠의 이용방식이 크게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으로 구분되며, 전자 역시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방식과 소비자가 다운로드받는 방식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이다. 또한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에는 판매가 아닌 이용계약이기 때문에 전자상 거래에는 해당하지만, 통신판매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트리밍 방식의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을 체결한 소비자는 동법상 청약철회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금번 개정법의 내용은 디지털콘텐츠거래에서 소비자의 청약철회권이 배제되어야 한다는 점만을 고려한 것이며, 동법의 입법목적인 전자상거래 또는 통신판매분야에서의 소비자보호에 역행하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동법상 디지털콘텐츠거래에서의 청약철회권의 배제문제는 그 입법의 필요성에 보다 적합하게 소비자가이를 이용한 시점 또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점유가 소비자에게 이전된 시점에 청약철회권이 배제되도록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was amended in 2016. According to the pre-amendment law, a consumer can withdraw an offer as follows. A consumer who has concluded a contract with a mail order distributor on the purchase of goods, etc. may cancel, etc. the order relating to the relevant contract within 7 days. But in any of the following cases, no consumer is entitled to cancel the order, etc. contrary to the will of a mail order distributor(§17). Thus, if a consumer purchased digital content by means of online, he could withdraw an offer.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withdraw an offer when a consumer used a digital content. Therefore, in the case of digital content transactions, the amendment law excludes the right to withdraw. However, a consumer can not withdraw an offer at the time when a business starts to provide digital contents. This is irrelevant to consumer use.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amendment law are against the consumer protection. As a result, the content of the amendment law is against consumer protection. Therefore, the Act should be revised so that consumers can not exercise the right of withdrawal when they use or download digital contents basically.

      • KCI등재

        할부거래법상 소비자의 항변권에 관한 연구

        고형석(Ko, Hyoung-Su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2

        할부거래법에서는 민법상 항변권과 별도로 소비자항변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할부거래업자의 채무불이행 등이 있는 경우에 할부금 지급청구에 대해 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할부거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비자항변권이 그 입법목적에 충실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첫째, 할부거래법에서는 계약의 불성립ㆍ무효, 취소 또는 해제된 경우 등과 같이 할부거래업자의 대금채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소비자항변권의 발생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변권은 청구권의 행사에 대해 거절할 수 있는 권리이기 때문에 청구권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항변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은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둘째, 이행지체를 제외하고, 채무불이행의 경우에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는 소비자항변권의 취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셋째, 다른 법에 따른 청약철회의 경우는 소비자에게 유리하지만, 청약철회의 행사와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적용되는 법이 상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넷째, 항변권은 소비자의 의사표시에 따라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할부거래업자 또는 신용제공자의 수용 여부는 불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소비자가 항변권을 행사하였을 경우에 거절할 수 있는 할부금에 대해 할부거래법에서는 항변권의 발생요건과 관계없이 미지급한 할부금으로 규정하고 있다. 물론 할부계약의 무효 등의 경우, 전부의 미이행 또는 계약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에 소비자는 미지급한 할부금 전부에 대해 거절하는 것은 타당하다. 그러나 일부 이행지체 또는 목적달성이 가능한 하자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게 미지급한 할부금 전부에 대해 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공평 및 신의칙에 근거한 항변권의 취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할부거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비자의 항변권은 그 본연의 목적에 적합하게 그 내용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The Installment Transaction Act stipulates the consumer right of defense separately from the right of defense under the Civil Act. Accordingly, the consumer may refuse to claim the installment payment in case of default of the installment transaction business entity. But the consumer defense right stipulated in the Installment Transaction Act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Installment Transactions Act stipulates that a consumer"s right of defense arises when there is no payment claim by an installment transaction business entity. However, it is not logically valid that the right of defense can be exercised even if the right of claim does not exist, since the right of defense is the right to refuse the exercise of the right of claim. Second, except for delay in performance, it is limited to cases where the purpose of the contract cannot be achieved in case of default. However,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consumer defense rights. Third, the case of withdrawal under other laws is advantageous to consumers. Howev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withdrawal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law. Fourth, it is unnecessary to accept the installment transaction business or credit provider, since the right of defense has an effect according to the consumer"s expression of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ontents of the consumer"s right of defense stipulated in the Installment Transaction Act to suit its original purpose.

      • KCI등재

        소비자기본계획의 평가 및 과제 -거래분야를 중심으로-

        고형석 ( Hyoung Suk K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홍익법학 Vol.12 No.1

        2008년 수립된 소비자기본계획에 대한 평가(소비자거래분야)는 총론 분야와 각론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소비자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현 소비자정책의 패러다임은 소비자보호가 아닌 소비자주권론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는 현재에도 사업자와 비교하여 열악한 지위에 있으며, 소비자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보호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소비자정책의 패러다임은 "소비자주권실현"이 아닌 "소비자보호"로 다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소비자기본계획의 비전인 소비자정책의 패러다임과 구체적 소비자정책의 추진방안의 일치성 문제이다. 그러나 소비자기본계획의 비전과 구체적 소비자정책의 추진방안을 불일치한다. 그 결과 소비자정책의 비전과 추진방안은 각기 별도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추진방안의 실현을 통한 비전의 실현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패러다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방안을 일치하여야 하며, 소비자정책의 패러다임은 소비자보호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추진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및 표시광고법의 개정의 추진내용을 살펴볼 때, 소비자보호를 위한 방향이 아닌 사업자보호에 적합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법에 대한보다 심도있는 검토를 통하여 소비자보호에 미흡한 법제 분야를 발굴하고, 소비자보호에 보다 충실할 수 있는 입법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소비자보호를 위하여 행정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실질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정부기관의 조직력의 확대 또는 이를 전담할 중앙부처의 신설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국에서 발생한 우리나라 소비자피해의 구제 및 예방은 우리 행정기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국제사회의 공동노력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의 정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의 구축을 통한 상호 공동의 노력에 의하여 국제소비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제반 조치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The consumer policy means a process that the government intervenes to solve consumer issues. This consumer policy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foundations on consumer laws and systems. The consumer basic plans established in 2008 has the meaning from the point which is the first consumer policy following in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which was amended in 2006. The paradigm of consumer policy is not the consumer protection but the consumer sovereignty. But the consumer sovereignty as paradigm of consumer policy must be converted by the consumer protection because of being in discord with reality. Also, action plans and outcomes on consumer acts are suitable in part consumer protection, but are insufficient in protecting consu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consumers in specific fields effectively. And to protect consumers effectively, a magnification or establishment of the consumer administrative organ is necessary. Finally, a construction of the close coordination system with the foreign nation government authority is demanded to confront effectively in international consumer issues.

      • KCI등재

        집단적 피해와 집단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고형석(Ko, Hyoung-Suk) 한국비교사법학회 2018 비교사법 Vol.25 No.2

        2006년 집단적 소비자피해의 일괄적 구제를 목적으로 소비자기본법에 도입된 집단소비자 분쟁조정제도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약관규제법에도 도입되어 있으며, 향후 다른 분쟁조정제도에도 도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제도도입시의 기대와 달리 집단분쟁조정제도는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물론 집단분쟁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동 제도를 통한 분쟁해 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이를 규정하고 있는 법의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분쟁조정제도가 그 제도적 취지에 따라 집단분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이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정에 관한 기본법으로 민사조정법이 있지만, 이는 사법형 조정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행정형 조정에 적합한 조정기본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둘째, 집단분쟁조정에 있어서 당사자의 다수성에 대해서는 이를 인하하거나 조정위원회가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정절차의 개시의결제도는 조정의 허가이기 때문에 폐지하고, 당사자의 다수성 요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절차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정개시공고에 있어서는 조정위원회의 홈 페이지 게시는 필수로 하면서 그 이외의 방법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조정위원회가 결정할 수 있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표당사자의 선정방식은 당사자의 합의를 통하도록 하고, 조정의 취하⋅조정안의 수락 또는 거부에 대해서는 당사자 또는 대표당사자(당사자의 서면 동의)가 할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조정절차에 있어서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절차규정을 보완하고, 조정을 하지 않은 사유에 대해 통일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 조정의 성립방식에 있어서 수락기간 내의사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조정안의 거부로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성립시 그 효력에 있어서도 재판상 화해로 통일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조정신청에 따른 효과 중 소멸시효 중단은 성립시에만 인정하고, 불성립 등의 경우에는 사유가 있는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소를 제기한경우에만 인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집단분쟁조정의 활성화를 위해 조정불성립시 소송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소 제기시 소송촉진특례법상 법정이율을 조정신청시부터 소급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collective consumer disputes mediation system introduced in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for the collective relief of collective consumer damages has also been introduc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However, unlike the expectation of introducing the system,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is not activated yet. Of course, collective disputes continue to arise, but the failure to resolve disputes through the system is due to a variety of causes. One of them is the problem of the law which provides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lated laws in order for the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to become an effective system for solving collective dispute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purpose. First,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Mediation for administrative media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pluralities of the parties so that they can be reduced or operated in a flexible manner by the Coordination Committee. Third, the selection method of the representative party should be made through agreement of the parties, a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acceptance or rejection of the mediation by the party or the representative party.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dural rules so that the parties can participate in the mediation process, and to uniformly provide the reasons for refusing mediation. Fifth, if there is no indication in the acceptance period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media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it by rejecting a medi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support system in case the mediation is not established in order to activate the group dispute mediation.

      • KCI등재

        동산 및 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상 동산담보제도에 관한 연구 - 양도담보에 대한 영향 및 선의취득을 중심으로 -

        고형석 ( Ko Hyoung-suk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3

        The act on the security of goods and bond etc. was enacted to establish a goods security right in compliance with a registration. Therefore, goods security rights are divided in the right of pledge of the civil law, security ownership of customary law and security right of the act. But it is expected that the security right of the act would be not used against legislators' expectations. Also, the act will occur many problems from relationship with the civil law and security ownership of customary law because the agreement on possession being recognized in one type of delivery. Therefore, it must be admitted to the overtaking effect of registration so that the security right of this act is revitalized. Finally, a claim for reimbursement in article 18 of the act should be admitted to only a pledgee and credi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