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폭력과 정체성 :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고현범(Ko, Hyun-b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1 생명연구 Vol.21 No.-

        센(A. Sen)은 『폭력과 정체성』이란 저서에서 운명과도 같은 집단적 정체성이란 환상이 테러와 같은 대규모 폭력의 문화적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센의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 또는 어느 정도로 수용할 수 있는지를 다문화주의 논의에 비추어 검토했다. 센은 다문화주의의 현상적 문제들에 대해 철저한 자유주의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즉 정체성이란 언제나 개인을 그 고찰의 단위로 삼으며, 추상성의 수위를 달리하는 정체성의 문제는 개인의 선택에 달려 있고 또한 그래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센의 주장은 자유주의의 틀 내에서 수용 가능한 다문화주의의 범위는 어떠한가라는 물음에 매우 제한적인 범위만을 수용하는 입장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테일러(C. Taylor)는 자율성의 자유주의와 진정성의 자유주의를 구별하면서 후자를 전자에 대한 대안적인 자유주의 이해 방식으로 제안한다. 그러나 자율성에 기반한 자유주의 전통에 충실한 하버마스(J. Habermas)와 벤하비브(S. Benhabib)는 심의민주주의론의 틀을 통해 다문화주의 문제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으며 여기에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문제가 있는 공동체주의적 입장이 개입할 여지는 많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하버마스와 벤하비브의 입장은 다문화주의가 제기하는 핵심적인 윤리적 물음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오히려 테일러적인 접근 방식이 그러한 물음에 충실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요컨대 중요한 문제는 다문화주의가 갖는 폭력과의 연루 여부가 아니라 현재 주도적인 정치와 문화 역시피할 수 없는 배제의 측면이 갖는 폭력성에의 민감함이다. This thesis studies the problem of the violence concerning the identity, especially group identity in the multiculturalism. Sen insists that as a cultural background the illusion of group identity by destiny underlies large scale violences like terrors in Violence and Identity. Obviously including direct comment on the problem of the violence in the multicultural era, Sen’s arguments require strives in order to prevent another violences. This thesis investigates whether Sen’s arguments are right, and how much accepted in the light of the multicuturalism. Sen insists that multicultural problems are urgent, and proposes the very strong liberal solution. That is, according to him, the identity depends on individual’s choice and it should. Sen’s argument is cogent but remains the liberal position, which accepts the very restricted multiculturalism. Taylor drew a sharp line between liberalism of autonomy and liberalism of authenticity, proposed the latter as a alternative understanding about liberalism, and has ignited the dispute over the politics of recognition. But in the line of autonomy based liberalism, Habermas and Benhabib insist that deliberate democracy includes the multicultural thought, and has less room for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doubtful communitarianism. This position seems appropriate, but does not fully reflect the heart of the multicultural question. Rather, Taylor’s way hit the mark. In short, whether muticulturalism is involved in the violence is not the point, but the present main politics and culture has the inevitable exclusion and we should be sensitive to it.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주의 속 욕망 -이데올로기 비판을 중심으로-

        고현범 ( Hyun Bum Ko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1

        이 글은 다인종 다문화적 현실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그에 대한 다문화주의를 욕망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다문화적 현실에는 인종주의라는 그림자가 드리워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해서, 이러한 인종주의는 무의식적 욕망이 투영된 이데올로기로 작동하고 있으며 현재의 다문화주의는 인종주의의 새로운 버전에 다름아니라는 지젝의 주장을 검토했다. 지젝에 따르면 언뜻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두 입장들, 즉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정치의 다문화주의는 현재 지배적인 탈정치(post-politic) 지형도에 있어 동전의 양면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러한 탈정치적 지형은 세계화된 자본이 구사하는 통치성의 일환이다. 한편 이러한 파악은 다문화적 현실에 대해 실천적 주체들이 어떤 태도를 취할 수있는가라는 문제를 낳는다. 이에 대해 라클라우는 다문화주의적 요구들을 등가의 연쇄 속에서 파악하면서, 급진 민주주의의 한 계기로 위치 짓는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다문화주의 이데올로기와 규범, 그리고 윤리의 관계와 그 구별 가능성을 논의했다. This thesis tries to approach problems, which multiracial, multicultural realities raise, and illuminate multiculturalism from a different standpoint with the desire theory. Supposing that racism shadows multicultural realities, this thesis examines Zizek`s assertion that racism operates as ideology on which the unconscious desire is projected and nowadays the multiculturalism is nothing other than a new version of the racism. According to Zizek, at first sight two different position about the multiculturalrism, that is, the liberal multiculturalism and the identity politics are seem to be opposed to each other but they are the same at the present hegemonic post-politic topology. And this post-politic topology is the one of the governmentalities which the globalized capital drives. In a way, this insistence bears the other problem, that is, what a conduct the practical subject could take. About it, Laclau grasps multicultural demands in the chain of equivalence, and positions those in radical democratic moments. In addition,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the mulicultural ideology, norm, and ethics, and how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m.

      • KCI등재

        인문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의 역할

        고현범(Ko, Hyun Bum)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정보사회 혹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과 정보, 지식과 삶의 관계는 새롭게 변화한다. 지식과 정보의 소유가 곧 자본으로 연결되는 사회에서 도구적 이성을 실현하는 실용적 학문에 대학과 학생들이 관심을 집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흐름일 수 있다. 그러나 정보사회에서 현실은 다소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구적 이성에 기반한 기술 집약적 산업의 발달과 정보사회로의 진입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인문 정신을 요구한다. 이 때 대학에서 철학의 역할은, 그 자체로 인문 융복합적인 함축을 갖는, 리버럴 아츠 정신을 기반으로 비판적이고 탁월한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다. 취업이나 창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들, 혹은 자신만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청년들에게 필요한 대학 교육은 지금 당장 사용 가능한 지식보다는 평생을 두고 부딪혀야할 문제들을 헤쳐 나갈 수 있는 깊이 있는 지혜의 교육이며, 이를 담지하는 것은 인문학이자 철학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국내외 인문 융복합 철학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학문간 융복합과 철학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해외 사례로는 뉴욕 시립 대학교 퀸즈 칼리지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영과 인문학 과정(Business and Liberal Arts, BALA Course)”을 살펴보았다. BALA 코스는 인문학과 경영학을 융합한 과정으로, 경영학을 부전공으로 이수하고 졸업 후 관련 직종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관련 직종에서 요구되는 인문학적 직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퀸즈 칼리지의 BALA 코스는 중소형 규모의 대학이 갖는 강점들을 결합한 인문 융복합 철학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국내 사례로는 우선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아르케 아너프로그램(AHP)”을 살펴보았다. AHP는 교양교육 이념으로서 아르케 교양의 심화 교육을 위해 철학을 중심으로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에게는 AHP 학사학위를 부여한다. AHP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은 담당 교수의 지도 하에 개인별 학습 로드맵을 작성할 수 있으며, 심화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특전을 얻는다. 다음으로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사업)” 중에서 “인문기반 융합전공”이 운용하는 철학 및 인문학 과정을, 교과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사업의 목적에 따라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은 교양 과목보다 심화된 인문학적 소양, 특히 철학적 사고력과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다. 국내 사례로 소개한 이 두 프로그램을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그 성과를 검토하기는 어렵지만, 정부와 대학의 장기적인 전망 속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In information society or knowledge-based society,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information, knowledge and life has changed. In society, in which ownership of information means acquisition of capital, it may be rightful that university and students concentrate on practical studies. For such studies are supposed to realize instrumental reason. But information society is oriented to another direction. That is, development of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based on instrumental reason and entrance into information society paradoxically demands a new humanity spirit. Then the role of philosophy in the university lies in raising a critical and excellent human based on liberal arts, which itself imply fusion research. Youths, who aim at employment and business or challenge own capability, don’t need right now applicable knowledge, but deeper education of wisdom that could help solve the lifelong problem. Liberal arts, especially, philosophy could do that. In such aspect, this article examines interdisciplinary fusion-complex and the role of philosophy in the focus of domestic and overseas humanity fusion-complex philosophy education’s examples. For overseas example, it examines “Business and Liberal Arts, BALA Course” at City University of New York Queen’s College. BALA Course is the fusion course of humanity and business. It supplies students who minor in business and look for related jobs after graduation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job competence needed for related jobs. BALA Course is noteworthy, for it operates humanity fusion-complex philosophy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small to medium size university. For domestic examples, it first examines “Arche Honors Program(AHP)” a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ano liberal arts college. AHP proceeds its own program in the focus of philosophy for deepened education of arche liberal arts as the college’s education idea. It awards the AHP bachelor’s degree to students complete the cours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HP could create a private learning road map under the guidance of a advisor and have privilege to join the deepened curriculum and extra program. Next, it examines philosophy and liberal arts curriculum at “fusion major based on humanity” in “CORE :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Students major in it could increase humanistic quality, especially, philosophical thinking power and insight. Two program as domestic examples are hard to be evaluated for its early stage, but needed to government and university’s sustained interest and support with long term perspective.

      • KCI등재

        누스바움의 혐오 회의론

        고현범(Ko, Hyun-Bu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현대 도덕 철학에서 동감, 연민, 분개와 같은 도덕 감정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강한 반감인 혐오에 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누스바움은 로진의 사회심리학적 연구와 밀러의 사회구성주의적 연구를 바탕으로 혐오에 대한 강한 회의론을 개진한다. 누스바움의 혐오에 관한 논의는 그녀의 지속적인 감정 연구의 연장선에 놓여 있지만, 다른 한편 사회적 쟁점을 배경으로 한다. 누스바움은 혐오 연구에서 다른 감정 연구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판결에 대한 법철학적 검토를 시도하는데,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접근 방식을 그대로 따라가기보다는 감정 철학과 도덕 철학적 관점에서 누스바움 논의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감정을 평가적 믿음으로 정의하는 인지주의 입장에서 누스바움은 도덕감정의 적절성을 주장한다. 그런데 누스바움은 적절한 도덕 판단이 가능한 감정들의 목록에서 혐오를 제외시킨다. 즉 혐오는 인간이 갖는 동물성과 유한성을 부정하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정상에 대한 불안한 집착에서 비롯하기 때문에, 존엄성을 존중하는 도덕의 가치를 위협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혐오는 인간성에 대해 위협적인 감정인가? 이 글에서는 누스바움의 혐오 회의론에 대한 감정 철학적 관점과 도덕 철학적 관점에서의 반론을 검토했으며, 이러한 반론들보다 누스바움의 혐오 회의론이 좀 더 설득력이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In contemporary moral philosophy, moral emotions, e.g. sympathy, compassion, indignation, are newly illuminated. But discussions about disgust as strong aversion relatively come short. Based on Rozin’s social psychological and Miller’s social constructivist studies on disgust, Nussbaum criticizes the emotion fiercely. Nussbaum’s study of disgust lies on her persistent investigation of emotion,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backdrop of hot social issues. On the critique of disgust, Nussbaum as a philosopher of law, tries to examine more concrete sentences.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validity of her claim in the light of philosophy of emotion and moral philosophy. On cognitivist view which defines emotion as appraisal, Nussbaum claims 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But Nussbaum doesn’t approve disgust. For she thinks disgust is based on the thought of negation of human’s animality and finiteness and obsessed by normality, so the emotion threatens the value of equal respect and human dignity. Then, is disgust the threat to the humanity? This article examines objections in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motion and moral philosophy. This article intends to propose that Nussbaum’s critique is more persuasive than objections.

      • KCI등재

        직업과 자아실현

        고현범(Ko, Hyun-b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 지향적 현대 문화 속에서 다른 한편으론 갈수록 치열해지는 취업의 좁은 문을 뚫어야하는 현재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직업관과 노동윤리의 모델을 탐색하는데 있다. 탈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그 지배력을 상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프로테스탄트 노동윤리는 그럼에도 노동의 내재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현재에도 그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은 아니다. 한편 이 논문에서는 노동의 내재적 가치란 자아실현에 있다는 관점에서 프로테스탄트 이후의 노동윤리를 검토했다. 전문 직업을 통한 여성의 자아실현을 주장하는 프리단의 경력주의와 좋은 삶의 조건으로서 온전한 자아실현이란 자율적 노동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엘스터와 슈바르츠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슈바르츠는 자율적 노동은 이를 가능케 하는 적합한 노동조건이 전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노동과 직업의 의미가 자아실현에 있다고 할 때, 그러한 자아실현을 구성하는 요건에는 사회적인 연관이 전제되어 있다. 공공선이 결여된 자아실현이란 공허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이 논문에서는 덕의 윤리를 주장하는 매킨타이어의 실천 개념에 따라 정의롭고 적합한 직업의 기준과 의미를 검토했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model of the just work and the work ethics, which is fit for students who strive to gain works in a consuming, low-employment society. With coming of the post-industrial society, the protestant work ethics is in the peril of losing the ruling power thoroughly, but still has the effect. And this thesis examines the post protestant work ethics in the point of view that the immanent value of working lies in the self-actualization. Freedan's careerism asserts that in order to self-actualization the women ought have the professional job. Elster and Schwarz claims that as the condition of the good life the self actualization be possible only through the autonomous work. Especially, in Schwarz's claim, the autonomous work condition must be necessary if the autonomous work is possible. When the meaning of works and jobs lies in the self-actualization, its social meaning is premised. It is not possible to achieve the self-actualization without the coomon good. In this respect, this thesis investigate a criterion and a meaning of the just work according to MacIntyre's concept of the practice in the base of the virtue ethics.

      • KCI등재후보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 : 존 롤즈(John Rawls)의 정의감을 중심으로

        고현범(Ko Hyun b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4 생명연구 Vol.34 No.-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를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감정 이론과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정의감의 발달 과정을 도덕 발달 과정을통해, 특히 죄책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롤즈는 자연적 감정으로서 사랑과 정의감을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연결을 죄책감에 관한 논의가 뒷받침한다. 데이는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롤즈의 정의감에 관한 논의를 비판한다. 데이에 따르면 롤즈의 죄책감 논의는 그 정의에 있어서 불확실할뿐더러 자연적 감정과 도덕 감정 간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자연적 감정인 회한과 도덕 감정인 죄책감의 구별에 관한 데이의 논의 또한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편 자기-평가적 감정으로서 죄책감을 파악하는 테일러에 따르면 롤즈에게서 죄책감은 자기-평가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사회화된 감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이 글은 낙관론의 입장에서 가능한 반론을 구성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롤즈의 낙관론은 다음 두 가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첫째 자연적 감정인 사랑과 도덕 감정인 정의감이 연관되고 함께 발달한다. 둘째 도덕 규범의 정당화 문제는 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의 문제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이러한 낙관론의 관점에서 투겐타트의 논의가 롤즈 이후에 정의감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Rawls' A Theory of Justice in view of a philosophical study of emotion and moral psychology. Rawls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ense of justice focusing on guilty in A Theory of Justice. He relates love as natural sentiment to sense of justice, and this relationship is warranted through guilt. But Deigh criticizes it in view of the theory of emotion. According to Deigh, Rawls' argument about guilt is not only obscure in definition, but also blurs a distinction between natural sentiment and moral sentiment. But Deigh's argument about a difference between remorse as natural sentiment and guilt as moral sentiment is not clear. Beside, according to Taylor who interprets guilt as emotion of self-assessment, Rawls understands guilt as oversocialized emotion. This article aims at a reconstruction of optimism in order to raise the objection to the criticism. Rawls' optimism, which this article defends, includes two points. First, love as natural sentiment and sense of justice as moral sentiment are related and develop together. Second, justification of moral is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that members of a society recognize and respect mutually. This article aims at asserting that Tugendhat suggest a meaningful way of understanding of sense of justice after Rawls in view of optimism.

      • KCI등재

        도덕 철학에서 감정의 위상 -애덤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고현범(Ko Hyun Bu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2

        현대 도덕 철학에서 중요한 주제들 중 하나는 행위 동기와 도덕적 가치가 조화를 이룬 삶의 문제다. 이 주제에는 우정과 사랑을 통한 정서적 유대, 그리고 동료 의식과 연대의 문제가 함축되어 있다. 그런데 도덕 철학에서 사랑을 비롯한 감정의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하려면 우선 감정의 성격에 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감정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현재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간의 논쟁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감정에 대한 철학적 인지주의 입장에서 애덤 스미스가 고찰하는 동감과 공평한 관찰자 개념을 논의하려고 한다. 스미스의 도덕 철학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흄의 아류 정도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 30년 동안 스미스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꾸준히 진행된 결과,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이 쇼펜하우어나 흄의 동감윤리보다 진전된 시각을 제시한다는 주장 또한 제기된다. 현대 도덕 철학자들 중 누스바움과 투겐타트는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을 중심에 두고 연민과 같은 도덕 감정과 행위 동기의 문제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들은, 스미스와 함께, 행위 동기와 도덕적 가치가 조화를 이룬 삶에 있어 감정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In modern moral philosophy,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s the harmony of life between the motive of action and moral values. In the theme, aspects of emotional ties through friendship and love, fellow feeling and solidarity are implied. But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s of emotion (including love), first, the thoughts about the character of emotion must precede. Now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motion are presented in the debate between the philosophical cognitivism of emotion and non-cognitivism. This thesis focuses on Adam Smith’s concept of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in terms of cognitivism. As seen in Rawls’ account of him, in recent years, Smith’s moral philosophy has been regarded as Hume’s epigone. But after Smith’s work has been steadily revisited for thirty years, it is proposed that Smith’s theory of moral sentiment presents more productive view than Hume and Schopenhauer’s ethics of sympathy. Modern moral philosopher, M. Nussbaum and E. Tugendhat research into moral emotions like compassion and motives of action. With Smith they emphasize the role of emotion in the harmony of life between the motive of action and moral values.

      • KCI등재

        헤겔 『논리의 학』에서 위력(Macht)으로서 실체 개념 ― 절대적 관계를 중심으로 ―

        고현범 ( Ko¸ Hyun Bum )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8

        이 글은 헤겔 『논리의 학』 본질논리의 마지막 장인 절대적 관계에서 실체 개념을 형이상학의 비판적 서술이란 관점에서 위력 개념을 통해 논의했다. 위력으로서 실체 개념은 근대 합리론 특히 라이프니츠의 힘 개념과 연관된다. 헤겔은 위력으로서 실체 개념을 절대적 관계 범주로 고찰하면서, 근대 합리론의 실체 개념에서 제기되었던 실체들의 상호관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사유한다. 이 글은 실체성 관계에서 인과성 관계로의 이행 과정을 세 가지 위력 관계, 즉 위력과 힘, 그리고 강제력의 관계를 통해 논의했다. 실체성 관계에서 실체는 절대적 위력으로서 자신과 우유를 비대칭적으로 구별하지만, 이러한 구별은 실재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구별로 드러난다. 실체의 실재적인 구별은 인과성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형식적 인과성 관계에서 근원적인 위력으로서 원인과 그 작용 결과 간의 구별은 원인이 작용하면서 함께 사라진다. 원인과 결과가 실재로 구별되는 규정된 인과성 관계에서 원인과 결과 간 힘의 관계는 그 외면성에 따라 무한퇴행으로 파악되면서, 내용적 동일성과 함께 규정되는 작용과 반작용의 인과성 관계로 이행한다. 작용과 반작용의 인과성 관계는 능동적 실체와 수동적 실체 간의 강제력의 관계다. 강제력의 관계는 절대적 위력이나 힘의 관계와는 달리 대칭적 관계이며, 능동적 실체의 수동적 실체에 대한 의존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대칭성은 절대적 관계가 함축했던 관계항들의 구별과 자립성의 문제에 대한 하나의 결론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substance in the absolute relation, the doctrine of essence’ last chapter, through the power concept concerning the critical description of metaphysics. The substance concept as power is connected to modern rationalism, especially Leibniz’ theory of force. Hegel examined such concept as absolute relation, and thought the problem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s radically. This article discusses the transition of the relation of substantiality to the relation of causality as three kind of the relation of power, that is, power, force, and violence relation. In the relation of substantiality, substance distinguishes itself from accident asymmetrically, but this distinction isn’t determined really. This distinction leads to the relation of causality which really determines the former relation; As cause acts, the distinction between cause as the original power and its effect also vanishes in formal causality. In the determinate relation of causality in which cause is distinguished from effect really, the relation of force is grasped externally as endless regression, and passes over into conditioned causality. In this causality, action and reaction are determined with the identical content. In action and reaction, the relation of causality means the relation of violence between active substance and passive substance. The relation of violence is symmetrical and different from the former relations. And it reveals the dependency of active on passive substance explicitly. This symmetry leads to a conclusion to the problem concerning the independency of relata, which implied in the absolute relation.

      • KCI등재

        상호문화적 대화의 사회철학적 의미

        고현범(Ko, Hyun-Bum)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이 글은 세계화 시대 상호문화적 대화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은 각 문화의 원칙적 동등성의 인정, 즉 상호문화성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르면 어느 문화에나 철학은 존재하며 각 문화의 조건을 반영한다. 따라서 하나의 철학이 독점적 우위를 차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이 출발하는 지점은 잠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 글은 포넷-베탕쿠어의 논의에서 출발한다. 쿠바출신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그의 학문적 이력 자체가 상호문화적이며, 무엇보다 그의 논의는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이 주도한다는 점에서 좋은 삶과 정의의 관점에서 사회발전을 논의하는 사회철학적 의미를 갖는다. 이 글은 그의 역동적이고 비판적인 문화이해에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문화에는 두 가지 변증법이 작동한다. 즉 전승된 문화 속에서 반성적 실천을 하는 문화적 존재로서 인간의 조건, 그리고 억압과 자유의 긴장으로서 문화란 두 가지 문화이해방식은 각각 담론윤리와 해방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글은 이 두 가지 이해방식이 어떻게 상호 교차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상호문화적 대화의 사회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In regard of social philosophy, this article discusses the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intercultural dialo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how is the dialog possible. Intercultural philosophy starts from understanding of the interculturality, that is,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particular cultures. According to it, every culture has its own philosophy and influences on it. For certain philosophies couldn’t take priority over other philosophies, the starting point of intercultural philosophy is necessarily tentative. This article starts from R. Fornet-Betancourt’ discussion of intercuturality. Born in Cuba and now in Germany, his life and academic career is itself intercultural and his discussion is led by critical consciousness to social reality. So it has the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in regard of “good life” and “justice”. This article focuses on his dynamic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According to it, two kinds of dialectic work in culture; Human condition as cultural being, who practice reflectively in the culture handed down from the past and culture as tension between oppression and freedom. These dialectic are based on liberation ethics and discourse ethics, respectively. This article would study the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y examining how two ethics intersect.

      •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감정의 병리학 -칸트 철학에서 감정의 개념과 위상-

        고현범 ( Hyun Bum Ko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2

        이 글의 목적은 현대 감정론의 지형 속에서 감정에 대한 칸트의 통찰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현대 감정론에서 제기되는 주요한 쟁점 중 한가지는 다음 두 가지 물음을 통해 특징지을 수 있다. 첫째, 감정을 신체적 느낌과 동일시하는가, 둘째, 감정을 마음의 지향적 상태로 보는가? 이런 물음에 대해, 비인지주의는 감정을 느낌 상태로 간주하고, 인지주의는 감정을 지향성을 갖는 것으로 본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신체적 감정과 지향성이라는 두 가지 쟁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주장은 첫째 칸트 철학에서 감정은 전적으로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둘째 감정에 대한 칸트의 통찰은 그의 체계적인(그리고 비판적인) 사유와 양립할 수 있으며, 또한 현대 감정론과도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인지주의 입장이 갖는 물질주의(materialism)적 경향을 고려한다면, 감정에 대한 칸트의 관점을 비인지주의로 보기는 어렵다. 감성과 이성의 관계에 대한 칸트 철학의 입장을 고려할 때, 칸트 철학은 현대의 인지주의에 가까운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고 칸트의 입장을 표준적인 인지주의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칸트는 감정을 논의하면서 언제나 그 신체적 성격을 함께 고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칸트의 입장은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가 서로 수렴하는 근자의 감정론의 방향에 비추어 볼 때 현재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the point of re-reading Kant`s philosophy in the topography of the contemporary theory of emotion. Through this, I wish to reveal Kant`s subtler thought on emotion than it has been appreciated so far. This article is focused on two issues: bodily feeling and intentionality. In modern philosophy the research of emotion has been characterized through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whether emotions are identified with bodily feelings and second, whether emotions are seen as intentional state. According to these questions, the one regards emotions as feeling state (non-cognitivism), and the other as cognition (cognitivism). My main argument is that Kant doesn`t exclude emotion at all, and his insight into emotion is compatible with his systematic (critical) thought and contemporary research of emotion. His position on this issue is closer to cognitivism (given his idealistic position it may be not possible that he is non-cognitivist). But he is not "the standard cognitivist". For his thoughts on emotions are always accompanied with thought on bodily feeling. Recently, two positions-above mentionedcompromises on two issues, that is, cognitivism recognizes bodily feelings and non-cognitivism makes effort to explain intentionality of emotion. Concerning these trends, Kant`s thoughts on emotions nowadays suggest a lot of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