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버스 외부 광고의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한준(Han Jun Ko),노봉조(Brian B. Noh)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1

        최근 몇 년 사이 옥외 광고나 인터넷 광고 등 BTL(Below the Line) 매체가 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버스 외부 광고는 2004년 7월 서울시 교통체계개편 이후 이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표적인 옥외 광고 수단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버스 외부 광고가 다른 광고 매체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접촉률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버스 광고를 통해서 인지적 반응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50세 미만의 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버스 외부 광고는 TV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접촉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특정 제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이 형성되는 경로를 파악한 결과 버스 외부 광고는 TV와 케이블 TV 다음으로 높은 접촉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소비자는 버스 외부 광고가 구매에 대하여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거나, 버스 외부 광고가 눈에 잘 뜨이거나, 버스 외부 광고에 신뢰가 간다고 느끼면 느낄수록 버스 외부 광고의 인지적 효과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는 버스 외부 광고에 대하여 주목도와 흥미도를 구매 영향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버스가 시민의 수송을 분담하는 공공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 이상으로 소비자의 지식이 형성되는 인지적 반응을 증가시키는 광고 매체의 기능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Over the last few years, a relative importance of BTL(Below the line) advertising media, such as outdoor advertising or online advertising, has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Korean advertising. Exterior bus advertising also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outdoor advertising media sin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to operate newly designed buses on the newly adjusted routes as of July 1, 2004. For this reas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advertising exposure of exterior bus advertising with those of other advertising media as well a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brand awareness through exterior bus advertising.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800 respondents, ranged in age from 20 to 50. The original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via face-to-face survey in Seoul. This study showed that exterior bus advertising was a quite effective advertising medium, following television, for increasing consumers` brand awareness thanks to its high advertising exposure rate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shown that consumers` beliefs toward exterior bus advertising as an advertising medium for brand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sumers` attention, credibility, interest, and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exterior bus adverti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at exterior bus advertising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effective advertising medium comparing with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media.

      • KCI등재

        상품 판매 방송 심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이종민(Lee, Chongmin),고한준(Ko, Hanjun),한광석(Han, Kwang-Seok),전혜경(Jun, Hyekyo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2

        현행 ‘상품 소개 및 판매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에서는 데이터 방송의 특성으로 고려한 심의에 대한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심의 규정 내용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TV 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 산업의 정책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3년간 TV 홈쇼핑의 상품 판매 방송 심의 의결 내역을 분석하여, TV 홈쇼핑의 방송사별, 품목별 심의 의결 내역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TV 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의 전망 및 심의와 관련하여 기존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홈쇼핑 업계의 자제 사전 자율심의 강화로 인해 심의 의결 건수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과장 등 오인 표현과 허위 표현, 부적절한 최상급 표현 등의 내용에 있어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홈쇼핑에 특화된 새로운 규제보다는 기존 규정의 보완 및 추가를 통해 데이터 홈쇼핑의 기술적, 표현적인 특성을 반영한 심의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need for improvements to the current method of merchandise sales broadcasting review raised, this study tried to revise a new regulation of data home shopping review for protecting consumers and minimizing their loss. For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research to find out the home shopping industry and the data home shopping industry.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merchandise sales broadcasting review for last three years.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number of professionals in this industry.

      • KCI등재후보

        POP(Point-of-Purchase) 광고 유형 및 메시지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종미(Jong-Mi Park),고한준(Han-Jun Ko)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POP광고는 최종 구매 시점에 소비자가 만나게 되는 브랜드 접촉점 (Brand Contact Points)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소비자의 관심과 구매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POP 광고의 대표적인 유형 및 POP 광고 속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통 매장에서 집행되고 있는 POP 광고를 분석하여 POP 광고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인식하는 POP 광고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 매장에서 파악된 전체 400개의 POP 광고 중에서 편의품 매장에서 가장 많은 POP 광고가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품 유형별로는 선매품 매장에서 제품 정보형 POP 광고가 가장 많이 집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품 매장에서는 광고 이미지형 POP 광고가 그리고 편의품 매장에서는 프로모션형 POP 광고가 가장 많이 집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통 매장 내의 POP 광고는 판매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이성 소구 (제품 정보형)와 감성 소구 (광고 이미지형) 그리고 이성과 감성의 복합적인 소구 (프로모션형)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소비자와의 상호 작용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는 유통 매장 내의 POP 광고가 전달하는 메시지 속성 중 가격 할인이나 가격 표시 등과 같은 가격 관련 정보 및 덤증정이나 쿠폰과 같은 직접적인 구매 혜택 관련 메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ole of POP (point-of-purchase) advertising, as one of the brand contact points at the final time of purchase decision, has been highly regarded in the field of marketing communic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POP advertising and to identify consumers’ perceived importance of the message contents of POP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a variety of POP advertisements in several retail outlets and conducted surveys from participants who had actually experienced POP advertisements in the retail outlet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POP advertisements in the stores of convenience goods wa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of stor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information-oriented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shopping goods. And the number of image-oriented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specialty goods while the number of promotion POP advertisements was highest in the stores of convenience goods. Based on these results, POP advertising in retail outlets can be classified into information-oriented (rational approach), image-oriented (emotional approach), and both information/image oriented (dual approach) POP advertising. In addition, it was also shown that consumers tended to put more importance on price or benefit related information of POP advertising at the time of purchase in retail outlets.

      • KCI등재

        온라인 게임 내 광고 (PPG)에 대한 효과 연구 : 게임에 대한 몰입 및 브랜드 배치에 따른

        이은주(Eun-Joo Lee),고한준(Han-jun Ko)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2

        온라인 게임과 오락은 정보 검색과 더불어 인터넷 사용의 주요 목적이 되었다. 지난 몇 년 동안 게임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게임 내 광고인 PPG(Product Placement in Game)에 대한 관심 및 활용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게임 내 광고에 대한 효과를 소비자의 게임에 대한 몰입의 정도 와 PPG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총 80명의 피험자가 실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한 뒤 게임 내에 설치된 브랜드에 대한 측정 문항에 응답하였다. 실험 결과 게임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은 사용자보다는 낮은 사용자가 게임 내 브랜드를 더욱 많이 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게임에 대한 몰입 수준이 높은 사용자가 낮은 사용자 보다 게임 내 브랜드 배치에 대해 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서 소비자의 게임 내 브랜드 배치에 대한 태도는 게임 내 광고 효과 연구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의 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nline game and entertainment, as well as information search, have been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using the Internet in Korea. As the Korean online game industry expands, interests toward PPG (Product Placement in Game) also have been increas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PG on consumers in terms of consumers' flow in game and types of PPG. In this process, the total number of 8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fter playing a real online gam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ith low flow in an online game showed higher brand awareness than those with high flow in the game.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high flow in an online game showed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ose with low flow in the game.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provided that consumers' attitude toward a brand in the online game can be applied as brand attitude in the tradition study of advertising effects.

      • KCI등재후보

        중국 광고학 연구의 탐색적 고찰

        김나미(Nami Kim),고한준(Hanjun Ko),유종숙(Jong-Sook Yoo) 한국OOH광고학회 2017 OOH광고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중국 광고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광고학계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광고연구(广告研究)의 2005년 10월 창간호부터 2016년 6월호까지 게재된 논문 958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도별 발표 논문 숫자, 연구자,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참고문헌 등의 분석 유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광고연구(广告研究)는 2006년 이후 발행된 논문의 편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1년부터는 논문 게재 편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광고연구(广告研究)에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들은 학계가 월등히 많았으며, 단독연구의 비중이 공동 저자를 통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연구(广告研究)에 게재된 논문의 주요 연구 주제는 광고 산업, 광고와 소비자, 광고 크리에이티브(광고 메시지), 광고 매체, 광고와 마케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에서는 질적 연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양적 연구방법의 채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연구(广告研究)에 게재된 논문의 90% 이상이 참고문헌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36%는 중국 논문 이외의 미국, 한국, 일본 등의 국외 참고문헌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계에서는 최초로 중국의 광고학 연구의 대표 학술지인 광고연구(广告研究)에서 지난 12년 동안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유목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국 광고학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중국광고시장의 이해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연구의 기여도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Chinese Journal of Advertising Study (广告研究), one of the leading academic journals in the Chinese field of advertising, to figure out the state and trend of advertising research in China. For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958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Chinese Journal of Advertising Study from 2005 through 2016. In this proces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 a year, author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ferences. The findings showed that a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was increased until 2011 but decreased since then. Second, most articles were published by authors from the academic fields, and a number of single-authored 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co-authored articles. Third,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 was ‘advertising industry,’ followed by ‘advertising and consumer,’ ‘advertising creative,’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and marketing.’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more articles conducted qualitative studies than quantitative studies, but the number of quantitative studies has been increasing. Finally, more than 90% of published articles used references, and 36% of the articles adopted references from American, Korean, and Japanese advertising journal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analyze one of the Chinese leading academic advertising jour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find out the trends of Chinese advertising research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dvertising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