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병조림된 표고버섯의 적정 살균 조건 구명

        고하영 又石大學校 1998 論文集 Vol.20 No.-

        Optimum sterilization and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the glass bottle filled with 240g of blanched and predried Shiitake(Pyogo) mushrooms(Lentinula edodes Pegler) and 200g of seasoned liquid were investigatid. Sterilization times and F_o values of those were 58 minutes and 4.8at 110℃, 24 minutes and 5.9-6.0 at 115℃ and 10-19 minutes and 5.2-11.8 at 121℃ in case of the initial temperature of 42-62℃ and come up time of 12-23 minutes. Roasting taste was occured severely at 110℃ but slightly at 115℃. Decreasing maltose, dextrin and caramel, the product had good taste at 121℃ and F_o of 5.2-5.5. Seasoned mushrooms of pH 5.8 were acidified to pH 4.2 with citric acid, glacial acetic acid or ascorbic acid of 0.25%, pH 4.89 with citric acid of 0.4%, and pH 4.91 with phosphoric acid of 0.7%. F value of the product was 5.8-7.6 in reference temperature of 70℃ and Z value of 5℃ after 15 minutes pasteurization at 80℃.

      • KCI등재
      • 저장온도가 식빵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고하영 又石大學校 1994 論文集 Vol.16 No.-

        식빵의 shelf-life를 설정하기 위하여 K제과(주)에서 생산된 우유식빵 (평균중량 약 650g, 두께 13mm의 slice형, 0.04mm polypropylene으로 포장됨)을 저장온습도 5℃, 15℃-90%RH, 25℃, 35℃-70%RH 조건에서 8일간 저장하며 매일 조직의 노화도 지표인 firmness, 기호도의 풍미 및 조직감과 곰팡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곰팡이의 경우 15℃이하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25℃와 35℃는 저장 4일 및 5일만에 곰팡이가 육안으로도 관찰되었다. 노화도(firmness)는 이와 반대로 15℃이하에서는 2일 이내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25℃ 및 35℃는 완만히 증가하였다. 기호도에 있어서도 15℃ 이하에서는 조직감이 1-2일 사이에 보통이하인 나쁜 상태로 떨어졌으나 풍미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25℃는 약 3일 후에 풍미 및 조직감이 나쁘게 되었으며 35℃는 2일 이내에 풍미가 아주 나쁜 상태로 되었다. 곰팡이, 노화도 및 기호도를 고려한 각 온도별 shelf-life,는 5℃가 1.3일, 15℃가 1.6일, 25℃가 2.8일, 35℃가 1.6일이었다. The loaf breads with the slice thickness of 13mm and 0.04mm polyethylene film package of 650g per unit made in K confectionary company were stored at 5℃ and 15℃ in 90%RH, and 25℃ and 35℃ in 70%RH for 8 days and investigate its quality such as firmness, sensory flavor and texture, and mold growth for the establishment of its shelf-life. Mold growth was noticed in 4 days and 5 days at 25℃ and 35℃, respectively, but did not notice during storage below 15℃. Firmness was rapidly increased below 15℃ but slowly increased above 25℃ in the contrary of mold growth. Sensory texture was become to the bad condition between in 1 day and 2 days storage but sensory flavor was retained the good condition below 15℃. Sensory flavor and texture was became bad after 3 days at 25℃ but sensory flavor was only became bad within 2 days at 35℃. There fore the shelf-life of the loaf breads was established to 1.3 days at 5℃, 1.6 days at 15℃, 2.8 days at 25℃ and 1.6 days at 35℃ in the considering of the mold growth, firmness and sensory scores, respectively and Q_10 value of it was calculated to 0.57 between 15℃ and 25℃.

      • 포장방법이 바나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고하영,박형우,강통삼,Koh, Ha-young,Park, Hyung-woo,Kang, Tong-Sam 한국식품연구원 1988 食品技術 Vol.1 No.1

        The storage stabilities of philipines; banana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torage pretreatments and packaging methods during 60 days storage at $13^{\circ}C$. The better storage stability was got in bananas packaged with $60\mum$ low density polyethlene(PE) film inside the carton box than those without inside pack. Radiation gave the adverse effects on effects on bananas was only 20 days. And Shelf-life of bananas in no inner pack was 20 days. Soluble solid content of bananas packaged with PE film was 17 Brix degree after 60 days storage, but that with no inner package was around 20 after 20 days. Color was below 3 in color chart after 60 days storage and hardness was rapidly decreased from 40 days in bananas packaged with PE film, but color was became to 3 color after 30 days and hardness was rapidly decreased after 20 days in bananas without inner package. rarcentage of deteriorated bananas were below 3% in PE films after 60 days strorage, but 100% after 40 days in bananas without inner package.

      • KCI등재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119안전센터 설치기준 개선방안 마련 연구

        고하영,김지민,임혜진,금기정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4

        Despite continuous efforts to secure the fire “golden time,” such as implementing an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and expanding the dispatch zone, the arrival rate of fire engines within the golden time in Korea averaged 68% nationwide as of 2019. In particular, Gyeonggi, Gangwon, and Gyeongbuk recorded less than half of arrivals in the golden time. Securing the golden time is directly related to fire extinguishing time and casualties, so efforts to shorten the dispatch time are being made; however, research on the standards for establishing fire stations is insufficient. Under the current law, 119 safety center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population and area, so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use districts, land use patterns, and urban density, cannot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on the arrival rate within the golden time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urrent 119 safety center establishment standards. It was found that the arrival rate within the golden time is affected by land use patterns, and it was determined that 119 safety centers are currently somewhat concentrated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In addition, the arrival rate within the golden time increases when local governments install an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Finally, the arrival rate within the golden time was low in the case of fire on roads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vehicle defects. In the future, if the spatial scope of analysis can be expanded nationwide and fire engine dispatch routes can be used, the arrival rate within the golden time can be increased by creating guidelines for establishing 119 safety center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최근 소방차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관할 구역을 없앤 출동체계로의 변경 등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9년 기준 화재발생에 따른 소방차의 골든타임 확보율은 전국 평균 68%를 기록하였다. 특히 경기, 강원, 경북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골든타임 도착률을 기록하였다. 화재 시 골든타임 확보는 진화시간 및 인명피해와 직접적 연관이 있어 출동 시 통행 지체를 최소화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방서 설치 기준 및 위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행법 상 119안전센터는 관할 인구와 면적을 기준으로 설치되고 있어 용도지역과 토지이용, 건물의 밀도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를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골든타임 내 도착률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119안전센터 설치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그 결과 첫째, 화재 시 소방차 골든타임 확보여부는 화재발생지의 토지이용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119안전센터는 주거지, 상업지에 다소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지자체에서는 미시행 지자체 대비 골든타임 확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통사고, 자동차 결함 등으로 인한 도로에서의 화재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율이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분석의 공간적 범위를 전국 단위로 확대하고 소방차의 출동경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면, 지자체별 출동유형 특성을 고려한 119안전센터 설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물리적 한계로 인한 골든타임 미확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동결 및 재가열이 녹두가루겔 및 빈대떡의 조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하영,우자원 한국조리과학회 199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5 No.4

        녹두가루겔(수분함량 50%)과 녹두가루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든 빈대떡을 스팀 처리한 후 실온, 저온 및 냉동 보관한 후 스팀 및 마이크로파로 재가열했을 때의 조직특성을 조사하였다. 냉동 보관한 녹두가루갤의 hardness는 스팀 재가열시 3.59 ㎏으로 저장 전 초기 상태인 대조구의 3.05 ㎏보다 약간 높았고 마이크로파 재가열시의 2.36 ㎏에 비하여 상당히 높아 다른 전분성 식품과는 아주 다른 경향을 보였다. gumminess는 재가열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녹두가루겔의 hardness는 다른 전분성 식품과는 달리 저장 전의 대조구에 비해서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녹두 가루 2대 쌀가루 1/2-1/8로 변화시켜 제조한 빈대떡의 제조 직후나 동결 저장 후에도 텍스쳐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마이크로파로 10분간 재가열시 초기 hardness는 무포장과 랩포장장에서 각각 0.67㎏과 0.76㎏으로 비슷하였으나 방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이가 커져 24시간 후에는 각각 4.13 ㎏와 1.70 ㎏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기호도는 녹두가루겔의 경우 재가열 방법에 관계없이 아주 단단한 상태를 보여 낮게 평가되었고, 풍미도 낮은 평가를 받았는데 특히 마이크로파로 재가열시 나쁜 냄새가 발생되었다. 녹두를 주성분으로 한 빈대떡은 조직감이나 풍미 기호로 평점이 모두 4점때로 나타나 재가열 방법에 관계없이 좋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ungbean flour gels and mungbean cake(Bindaedduk) were investigated in steam and microwave reheating condition after 20℃, 5℃ and -18℃ storage. The hardness of mungbean flour gels were 2.36 ㎏ in microwave reheating and 3.59 ㎏ in steam reheating after 6 days frozen storage, respectively and its gumminess were increased after reheating. The hardness of mungbean flour g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ith the storage temperature.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ungbean cake made with 2 parts of mungbean flour and 1/2-1/8 parts of nonwaxy rice flour had the similar values in spite of the different compositions. Microwave reheated mungbean flour gels had the different hardness values of 4.13 ㎏ in non package and 1.70 ㎏ in polyethylene film wrap after 24 hours storage at 20℃. In sensory evaluation mungbean flour gels showed the high scores in hardness and the unpleasant flavor after repeating but mungbean cake of different compositions showed the good sensory qualities.

      • 닭고기의 부위별 영양 성분 분석 : 아미노산 및 무기질 Amino acid and minerals

        고하영,유익종 우석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1 No.-

        닭고기를 가슴살, 넓적다리살, 다리살의 3부위 살코기와 껍질을 포함한 날개 가식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유량, 아미노산의 조성 및 무기질 조성을 분석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가슴살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넓적다리살 19.7%, 다리살 18.8%, 그리고 날개 17.6%로 비슷하였다. 닭고기에서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리신, 로이신의 순서이었다. 필수아미노산 중 아르기닌과 히스티딘을 함유한 10종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닭고기 가슴살이 11,860㎎/100g당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리살의 경우에는 돼지고기, 쇠고기 등심과 유사하였다. 총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닭고기가 41 ∼ 44%, 돼지고기가 40 ∼ 45%, 쇠고기 41 ∼ 45%로서 3종류의 육류가 대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함황아미노산은 닭고기의 경우 100g당 725 ∼ 759㎎이었으며, 돼지고기는 680 ∼ 820㎎, 쇠고기는 660 - 83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경우 닭고기는 100g당 1,602 ∼ 1,667㎎으로 조사되었으며, 돼지고기는 1,150 ∼ 1,520㎎, 쇠고기는 1,230 ∼ 1,610㎎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다리살이 가슴살에 비해 철분과 아연의 함량이 많아 각각 1.0㎎%와 4.0㎎%이었으며, 가슴살에는 인(220.2㎎%)과 칼륨(390.5㎎%)이 많았다. Protein contents,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inerals of chicken which parted by chests and legs without skin, and wings with skin were analyzed. Protein contents of chicken were 22.9% in chests, 19.7% in legs, and 17.6%.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10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were 11,860㎎% in chests and 10,454㎎% in legs.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41.7 ∼ 44.1%.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 contents were 725 ∼ 759㎎% and 1,602 ∼ 1,667㎎%, respectively, K, P and Na contents as major minerals were 390.5㎎%, 220.2㎎%, and 81.5㎎% in chests and 308.4㎎%, 170.8㎎%, and 109.7㎎% in legs, Ca, Fe and Zn contents were 2.9㎎%, 0.5㎎%, and 0.5㎎% in chests and 7.0㎎%, 1.0㎎%, and 4.0㎎% in le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