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힌디어 경동사의 재해석과 분류

        고태진(Koh, Tae-Jin) 한국인도학회 2016 印度硏究 Vol.21 No.1

        경동사와 조동사는 보편적인 언어문법 범주로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마다 그 구분과 범주화가 명확하지 않아 뒤섞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경동사는 조동사의 한 종류로 간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벡터동사, 해설동사, 조동사, 기능동사, 보조동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욱이 경동사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발단, 완성, 수혜, 급격, 고의, 강요 등 의미적 기능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그 속성 및 분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나 경동사는 통사론적으로 조동사와 다른 성격의 동사이기 때문에 반드시 구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힌디어의 경동사 구문에 대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경동사가 조동사 및 본동사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새로운 범주화를 통해 그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학자마다 그리고 언어마다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는 경동사를 과연 문법적 요소의 하나로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 그간 경동사는 ‘명사/형용사+동사’, ‘부정사+동사’, 조동사 등의 구문에 나타난 보조동사로 분류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경동사는 시제와 일치 요소를 수반하고 의미적 뉘앙스를 풍기는 복합동사에 나타난 두 번째 동사만을 지칭해야만 한다.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본고는 명령법, 수동태, 음운반복, 어순도치, 그리고 능격후치사와 관련된 통사론적 측면에서 조동사와 경동사를 구분하고자 한다. 또한 오직 본동사만이 대격의 위치에 놓인 논항에 대해 격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경동사와 본동사 간의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한다. Although light and auxiliary verbs are generally regarded as universal linguistic terms, most approaches do not make any distinction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no viable studies have been done which can cast light on the categorization of various kinds of verbs across different languages. Thus light verb has often been classified as a type of auxiliary verb. And it is known by various appellations in the literature such as vector, explicator, auxiliary, operator, helping verb etc. Moreover light verb has often been researched and characterized as semantic functions such as inception, completion, benefit, suddenness, volitionality, forcefulness and so on. However light verb and auxiliary verb must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on syntactic grounds although several features are morphologically shared between them.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 brief survey of light verb and illustrates how light verb can be distinguished from auxiliary verb and main verb on the basis of syntactic diagnoses in Hindi. Given that the concept of light verb is used in the various ways presented by different scholars, a question that arises is whether light verb can be defined as a distinctive grammatical element. There is a tendency to categorize light verb as involving complex predicates such as noun/adjective-verb, infinitive-verb, some auxiliary verbs etc. But light verb only refers to a secondary verb of the compound verb constructions that carries features of tense and agreement, and does convey its attitudinal information or other lexical nuances. To prove this argument, this paper suggests five criteria to serve to distinguish auxiliary from light verb, since none of the auxiliary verbs can be used in imperative form, passive form, reduplication, topicalization and ergativity. And this paper also finds the difference between main and light verbs with respect to case assignment. While main verb can assign the case to its argument, light verbs is restricted to license the case.

      • KCI등재

        힌디어와 한국어의 경동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명사+동사’와 ‘동사+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고태진(Koh, Tae-Jin),김용정(Kim, Yong-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힌디어와 한국어의 경동사(light verb)가 영어의 경동사와 다르기 때문에 그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왔던 경동사의 정의 및 범주에 대해 비판적 의문을 제기하고, 더 나아가 힌디어의 ‘karnā’와 한국어의 ‘하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조동사 또는 연쇄동사가 힌디어와 한국어에서 경동사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경동사는 제스퍼슨(Jespersen, 1965)에 의해 처음 언급된 용어로, 동사기반 명사구와 함께 나타나는 의미적으로 매우 미약한 일부 동사를 일컫는다. 그림쇼와 메스터(Grimshaw, et al., 1988)가 일본어의 ‘명사+suru (하다)’에서 의미역을 부여하지 못하는 동사를 경동사로 취급함으로써, 그간 힌디어와 한국어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동사인 ‘karnā’와 ‘하다’가 경동사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동사 ‘karnā’와 ‘하다’는 의미역과 논항에 격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사 삽입도 가능하기 때문에 경동사가 아닌 일반동사이며, 오히려 힌디어의 보조동사와 한국어의 ‘V1-어 V2’에서 V2가 경동사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경동사는 논항구조를 가질 수 없으며, 의미역을 부가할 수도 없고 의미적으로 미약하여 일부 뉘앙스만 줄 수 있는데, 영어와 달리 한국어와 힌디어에서는 보조동사만이 이러한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fact that light verbs in both Korean and Hindi are different from ones in English, we critically raise a question about the generalizability of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light verb discussed by various scholars. By analysing the verbs of ‘karnā’ (Hindi) and ‘hada’ (Korean), we assert that auxiliary verb or serial verb is light verb in Hindi and Korean. The term light verb was introduced by Jespersen (1965) for those verbs which have semantically week meaning and appear with verb-based noun phrases. Since Grimshaw and Mester (1988) regarded Japanese verb ‘suru’ as light verb because of its lack of assigning thematic role in ‘noun+suru (do)’, corresponding Hindi verb ‘karnā (do)’ and Korean verb ‘hada (do)’ have been regarded as light verbs by many scholars. However, this paper asserts that Hindi verb ‘karnā’ and Korean verb ‘hada’ are not light verbs but general verbs because, on the one hand, both ‘karnā’ and ‘hada’ can assign Case to argument and thematic role and, on the other hand, both verbs are allowed to occur determiners. Finally, this paper advances a new argument that Hindi auxiliary verb and Korean V2 in ‘V1-a V2’ are light verbs. According to its definition, light verb has the following attributes: it cannot get argument structure, does not assign thematic role, and retains no semantic content but carries just a sort of nuance. Unlike in English, only auxiliary verbs have such attributes in both Korean and Hindi.

      • KCI등재

        힌디어-한국어 e-탄뎀수업 개발연구

        고태진(Koh, T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8 남아시아연구 Vol.24 No.2

        언어교육에 있어서 탄뎀수업은 그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있어서 최적화된 학습모델임에도 불구하고, 힌디어와 같은 특수외국어의 경우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 학습 파트너 또는 유학생 부족으로 교실 안에서 운영하는 것은 그리 쉽지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에서의 운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온라인 기반 탄뎀수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은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과 함께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자유롭게 면대면 학습 환경이 구축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을 통한 교수법은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연구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서로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 두 명이 서로 상대방의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탄뎀학습을 온라인 화상 교육과 접목시킨 e-탄뎀학습은 비단 외국어 구사뿐만 아니라 문화의사소통능력까지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와 같은 특수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교 교과과정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e-탄뎀수업을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여, e-탄뎀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case of critical foreign languages such as Hindi, it is not easy to run a class in the offline due to the lack of learning partners or foreign students who speak Hindi, even though Tandem class in language education is an optimized learning model for its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Tandem class as an optional method to overcome operational limitations in offline.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 variety of on-line teaching methods, which can be freely set up for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s, can be considered as research subjects that can attract attention. Among them, e-Tandem class, which combines the online chatting program with Tandem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can cultivate not only language ability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Tandem class is operated for students studying critical foreign languages such as Hindi, and students" awareness of the e-Tandem class is examined and a learning model for efficient oper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힌디어-한국어 친족 호칭어 교수-학습 방안

        고태진(Koh, Taejin),스리잔 꾸마르(Srijan Kumar)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8

        예절과 위계를 중시하는 인도와 한국 사회에서의 호칭어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제대로 학습되어 올바르게 사용해야할 교육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힌디어와 한국어 간 지칭어 및 호칭어에 대한 연구는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소고는 이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친족 호칭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는 화자의 성별, 혼인상태, 청자의 성별, 연령 등과 같은 요소가 호칭어를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는 반면, 힌디어에서는 화자의 성별, 혼인 상태와는 상관없이 화자 및 청자의 연령과 청자의 성별만이 호칭어 선택의 기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와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를 부계, 모계, 부부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성별 차별화 현상, 매개 호칭어 사용 여부, 친족 호칭어 사용에 대한 유동성 등 힌디어와 한국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예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힌디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친족 호칭어를 효율적으로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등급별 어휘 목록, TBI 기반 어휘 학습, 가족 드라마 활용 학습 그리고 친족어 대조 체계도와 같은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힌디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에 나타나는 가족관계 및 문화적 배경을 간접적으로나마 이해하고 올바른 어휘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며, 힌디어를 전공하는 한국인 학습자들도 힌디어 가족 호칭어의 주요 특징을 이해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데 일조를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ducational method of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for Hindi native learners on the basis of contrastive study of Hindi and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Unlike English and many other foreign languages, Korean has a complex structure of kinship terms of address which varies according to speaker’s gender, marriage status, listener’s gender and age etc. In order to understand and use the Korean kinship terms effectively, learners should be aware of the social background as well as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kinship term. Hindi also has a variety of kinship terms of address but it is less complex compared to Korean. Until now, there has not any study been done on teaching Korean kinship terminology for Hindi natives in India.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Korean and Hindi kinship terms of address on paternal, maternal and conjugal lines and also discusses the specialty,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Hindi kinship terms of addres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methods of teaching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to Hindi native learners, such as; listing the kinship terms according to TOPIK level, Task-Based Instruction, using family dramas and the chart of Korean and Hindi kinship terms.

      • KCI등재

        인도영어, 왜 통역하기 힘든가?:

        고태진(Koh, Taejin),김도훈(Kim, Dohun)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6 통번역교육연구 Vol.14 No.3

        An increasing number of the world’s population is using English. More than 300 million (inner circle) and some 400 million (outer circle) use English as their first and second languages; as much as 1,000 million (expanding circle) are using the language as their first foreign language. As such, English has become the undisputed lingua franca, spoken between the native speakers of English, as well as between the non-native speakers. Among those in the outer circle, Indians constitute the largest population, reaching up to 150 million. Nevertheless, Indian English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 and should be explored further.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n English and Hindi, with much emphasis on pronunciation and accent. Nevertheless, the varieties of Indian English should also be dealt with, along with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phenomenon. This paper aim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shaping of Indian English with a dual focus on Hindi and Tamil. The guiding questions included i) the predictability of Indian English; ii) the grounds for exploring Hindi and Tamil to understand Indian English; and iii) the status of English in India. In search of answers, literature review has been carried out, followed by the comparison of Tamil and Hindi and their distinct features, which gave rise to the varieties of Indian English. The authors hope the descriptions and the contrastive analysis herein will contribute to characterizing the issues and problems during the course of interpreting and to offering guidelines for those in the profession.

      • KCI등재

        힌디어의 범위와 딜레마

        고태진(Koh, T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19 No.3

        2001년에 실시된 인구조사(Census of India 2001)에 따르면 356개의 언어가 인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 수 기준으로 10,000명이 넘는 언어에 대한 통계수치로 지정어(Scheduled language)에 속하는 언어 22개, 비지정어(Non-Scheduled language)에 속하는 언어 100개 그리고 지정어 및 비지정어와 연관된 방언 234개를 뜻한다. 그러나 1991년도 자료에 따르면 인도의 언어는 18개의 지정어와 96개의 비지정어 그리고 216개의 방언을 포함하여 모두 330개로 규정하고 있어 불과 10년 사이에 26개의 언어와 방언이 증가하였다. 어떻게 가능한 일일까? 이는 인도 정부의 언어정책이 언어학적인 측면보다는 정치학적인 고려를 더 많이 하고 있는 것과도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다언어 사회인 인도에서 언어에 대한 정의와 분류는 언어와 방언 간의 정의 및 경계가 불분명하고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막연할 수밖에 없다. 특히 힌디어(Hindi)와 그 방언 간의 관계는 힌디어의 범위에 대한 불분명한 태도로 인해 다소 불안할 수밖에 없다. 인도에서 힌디어라 함은 표준어인 카리볼리어(Kha??bol?)를 포함한 방언들을 모두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힌디어는 인도의 국어(national language)가 아닌 공용어(official language)로서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이는 공통된 언어를 바탕으로 한 동질적 사회단위를 마련하여 국가 통합의 토대를 이루려는 일원론적인 성격과 상충되는 것으로 인도 사회의 다원주의 성격을 반영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겠다. 학자들은 인도정부가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공용어 문제, 지정어의 발전, 소수어 보호정책, 주의 재편성 등 언어와 국가 및 지역의 정체성 관계를 조정하고 공존과 통합을 병행하는 언어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다언어 사회에서 언어정책은 일반적으로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안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그간 인도의 언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는 독립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안정화될 때까지 주로 공존과 힌디어의 보급, 언어정책의 특성과 모델, 영어 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 이루어졌으며 90년대 경제 개방 이후부터는 불변적인 언어정책의 기조 때문에 소수어 보호 정책 이외에는 더 이상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 모든 언어정책과 연구는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힌디어를 중심으로 한 일원론적 입장에선 논의된 적이 매우 드물다. 오늘날 인도에서 탈세속화의 진행은 비단 무슬림과 소수집단에 대한 배타적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인도-힌두-힌디어’의 일체를 표방하고 있어 힌디어의 지위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분명 힌디어는 영화, 드라마, 언론 등 미디어의 발달과 정부의 힌디어 보급과 확대 정책에 따라 그 사용자와 이해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힌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는 지역 이외에서도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개인과 지역의 정체성 문제는 그간 힌디어에 편입되어 있던 방언들이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영어의 위상과 지정어의 지위는 힌디어의 영향력 감퇴로 이어질 수 있다. 언어는 단순히 의미 전달과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상징적 사회자본으로 다언어 사회에서 한 집단의 열망된 정체성을 구현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이해와 공존, 힌디어를 매개체로 하는 국가 통합과 정체성 형성은 인도정부의 언어정책의 큰 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힌디어 용어 또한 힌두스따니어(Hindustani)로 재지칭하는 사회적 공론과 국어 지정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 KCI등재

        Ergativity and Verbal Agreement in Hindi

        Koh Tae-Jin(고태진)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일반적으로 능격(ergative)은 주어의 직격(nominative)과 더불어 언어를 구분 짓는데 널리 쓰이고 있으며, 또한 동사 일치의 일정한 패턴 및 원인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능격은 대게 동사의 불일치를 나태내고 있는 반면 직격은 동사의 일치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명사의 동사 일치를 결정짓는 환경은 태를 바탕으로 한 명사의 형태론적 격이 있으나 촘스키(Chomsky 1995)는 일치요소(Agr element)의 능동성(activeness)을, 데이비슨(Davison 1999와 2002)은 상과 시제에 근거한 능격을 각각 제시하기도 하였다. 즉, 명사가 고유격(lexical case/inherent case)을 띄고 있는 경우에는 -명사가 후치사를 동반할 때 나타나는 형태중의 하나- 동사의 일치를 취할 수가 없다는 것이 그 첫 번째 접근 방법이고, 직격에서는 능동성을 띄고 있는 주어일치소(AgrS)가 동사 일치를 유발 시키는 반면 능격에서는 목적어일치소(AgrO)가 동사일치를 유발 시킨다는 것이 촘스키에 의한 두 번째 접근 방법이다. 하지만 이 두가지 접근 방법 모두 어떻게 직격 주어가 동사 일치 현상을 따르고 있는지를, 어떻게 능격이 구조격(structural case)을 갖게 되는지를 각각 설명하지 않음으로서 동사의 일치 현상 원인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였다. 마지막 접근방법은 상과 시제의 투영(projection)을 바탕으로 능격을 구조격으로 해석함으로서 왜 주어의 능격이 동사와 불일치 하는가를 설명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법들에 근거하여 격과 일치의 관계를 새롭게 논의함으로서 왜 명사의 직격만이 동사 일치를 유발시키는 유일한 요소가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능격과 직격의 차이점 및 능격의 동사 불일치, 그리고 직격의 동사 일치를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여 미약하나마 힌디의 동사일치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Hindi belongs to the type of ergative-absolutive language in terms of Case morphology system. The study of ergativity enables us to interpret the correlation between case marking and verbal agreement. With respect to ergativity, Hindi shows verbal agreement patterns that a noun phrase which is in the ergative case cannot label the occurrence of verbal agreement while a noun phrase which is in nominative case can. In this paper, I discuss why ergative case blocks verbal agreement, how nominative case trigger agreement, and what ergativity is. Three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to analyze the ergative agreement. One of them is based on the lexical case marking that any NPs which are lexically case marked cannot license verbal agreement. Thus, ergative case marking cannot trigger agreement. However, this approach does not explain how ergative case get its case, and how nominal case marking can trigger. Second approach is proposed by Chomsky (1995) that the active element can control agreement; AgrS is active in nominative-accusative while AgrO is active in ergative-absolutive. Hence, the object NP which is in absolutive case triggers verbal agreement in ergative-absolutive. But, this approach also does not provide how ergative case is assigned as structural case. Lastly, Davison (1999 and 2002) suggests the alternative to these approaches that ergative case is checked by the specifier of aspect and tense. An NP that is checked by the specifier of AgrS deserves to label the occurrence of verbal agreement. In the analysis of verbal agreement pattern in Hindi, the essential component to my claim is compiled with a modification of Davison’s proposal.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llustrate how ergative case blocks verbal agreement, how ergative case gets structural case, and to interpret the correlation between nominal case marking and verbal agreement.

      • KCI등재

        힌디어에 나타나는 코드 스위칭에 관한 연구

        고태진(Koh, Tae-Jin) 한국인도학회 2012 印度硏究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에 나타나는 코드 스위칭에 대하여 통사형태론적인 패턴을 분석한다. 코드 스위칭은 하나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언어의 단어, 구, 절 또는 문장을 섞어 쓰는 현상으로 다언어 사회의 대표적인 사회언어학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드 스위칭의 발생위치 및 범위에 대해 미리 예측하는 것은 힘들어 보이지만, 그 구조적 패턴을 찾아내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에서 코드 스위칭이 발생하는 위치를 유형별로 파악하여 다양한 패턴을 정리분석하기로 한다. 비록 힌디어와 영어 간의 스위칭이 무분별하게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정한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드 스위칭에 대한 패턴을 바탕으로, 힌디어 문법에서의 수용관계 및 언어학적 제한을 살펴보는 동시에 새로운 유형의 제한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등가제한, 제한의 크기, 자립형태소제한, 접속사제한, 관계절제한 등을 바탕으로, 힌디어에 나타나는 코드 스위칭의 구조적 성격을 규명하고 시제동사제한을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structural features of morphosyntactic patterns underlying the grammar of code switching in Hindi. Code switching as one of the most engaging aspects of bilingual society is the result of a user"s verbal competence with that he switches from one set of co-occurring rules to another. Despite the fact that the user"s behaviour seems to be unpredictable that there exists no contextual definition of when and where code switching would occur,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code switching.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various patterns of code switching between Hindi and English on the basis of data analyzed at the level of word, phrase, clause and sentence.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code-switching is not a grammarless phenomenon rather it is ruled governed activity. All the present data shows that the occurrences of various Hindi phrase, clauses and sentences impose no ungrammatical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yntax. This study also attempts to test the validity and university of linguistics constraints that lead to variation in code switching patterns based on the equivalence constraint, the size of constraint, the free morpheme constraint, the conjunction constraint, the relative clause constraint. In addition, the auxiliary constraint is newly proposed in this paper.

      • KCI등재

        힌디어 교육과정과 평가문항 개발 연구 : A0 단계를 중심으로

        고태진(Koh, Tae-Ji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1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a Hindi A0 level evaluation test with its standardized Hindi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a Hindi A0 level evaluation test is a basic requirement for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school education, because languages that uses special or unique characters that are not based on Roman alphabets, such as Hindi, Thai, and Persian, require a separate learning process or curriculum as well as their evaluation tests. This is not only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of Critical Foreign Languages’ enacted on August 2, 2016, but also because it can promote the substantiality of education in other critical foreign languages including Hindi,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out a standardized curriculum.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the A0 level that is not included in the CEFR, as a first step toward the realization of the ‘Common Asi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the letters and pronunciations of which require a lot of time to learn. To this end, a guideline of an evaluation test for Asian languages is also proposed.

      • KCI등재

        우르두어의 딜레마: 델리에 거주하는 무슬림의 언어 사용과 인식을 중심으로

        고태진(Koh, Tae-jin)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7

        본 연구는 인도의 대표 소수집단인 인도 무슬림의 우르두에 대한 인식과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델리에 거주하고 있는 게토화된 무슬림들의 언어 선택 및 사용패턴에 대한 실증적 사례연구이다. 힌두 국가의 이미지로 고착화되어 가고 있는 인도에서 비록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지위와 영향이 적더라도, 타종교 및 집단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도의 다문화⋅다종교사회에서 최대 소수집단으로 살고 있는 무슬림들의 정체성의 형성 및 발달 그리고 변화에 대해 우르두어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뿐만 아니라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우르두어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인도 무슬림의 언어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가 국내적으로 전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의식 및 필요성에 기초하여 무슬림들의 개인적 정체성과 집단적 정체성 간의 관계를 조명하고 언어에 대한 인식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탈세속화와 사회적 갈등에 따른 소수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힌두 중심의 인도사회에서 무슬림의 성격과 우르두어의 사회적 기능을 규명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and identity of Indian Muslim, a representative minority group in India towards Urdu. In other words, it is an empirical case study of language selection and usage patterns of ghettoized Muslims living in Delhi. Studies in other religions and groups are indispensable, even in India, where the image of the Hindu state is becoming fixed, even if it has little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political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Urdu works on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identity of Muslims living in the largest minority groups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of India. Although Urdu ha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uslim identity as much as religion as a symbolic social capital after the process of independence, its influence has been weakened in the days of declining secularization. Urdu seems to be used as the most useful means of forming a Muslim identity with religion in India. However, the shared percep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language community that a particular language is the most appropriate means of expressing a particular identity is criticized for not recognizing the attributes of the individual in the domain of language and not forming the social discourse correctly have. Therefore, we want to analyze Urdu as a mediator of how the Muslim group is forming and changing identity. In this context, we will analyze their language use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n Muslim’s language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