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리학적 조직 진단장치 개발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고채옥,박민영,김정란,이애경,최형도,최재익,백정기,Ko Chea-Ok,Park Min-Young,Kim Jeong-Lan,Lee Ae-Kyoung,Choi Hyung-Do,Choi Jae-Ic,Pack Jeong-Ki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논문에서는 병리학적 조직의 산골 특성을 이용한 유방암 탐지 기법을 제안하고, 암 진단 장치 구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유방암 진단방법으로 microwave imaging 기법을 사용하였고, 시뮬레이션 시각셀의 크기는 1 mm로 모델 링 하였고, 직육면체 형태의 유방 조직의 크기는 $15cm{\times}15cm{\times}7cm$이며 피부 조직의 두께는 1 mm, 암 조직은 각각 다른 크기의 구 형태로 모델링하였다. 측정을 위해 유방 조직과 암 조직으로 구성된 단순한 실험 모델과 초광대역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 암 조직을 잘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암 조직 진단 장치용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반사 손실 특성이 우수한 초광대역 안테나 설계와 정확한 보정 신호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상용화 개발을 위한 연구가 추진 중에 있다.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detecting breast cancer is proposed, which utilizes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pathological tissues and time delay of back scattered response, and its feasibility was investigated. We have developed a detection algorithm and verified it by numerical simulation and measurement for a prototype system. For a prototype system, we have fabricated experimental model(artificial breast with a cancer) and UWB(ultra-wideband) antenna.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simulation show an excellent detection capability of a cancer tissue. It is found that a good UWB antenna and a good calibration signal are key elements of such detection system. Further study is ongoing to develop a commercial system.

      • KCI등재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물 실험용 국부 노출 장치 개발

        고채옥,박민영,도현정,김정란,정기범,백정기,Ko Chea-Ok,Park Min-Young,Doh Hyeon-Jeong,Kim Jeong-Lan,Jung Ki-Bum,Pack Jeong-Ki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인 PCS와 셀룰러 대역(PCS: 1,762.5 MHz, 셀룰러: 848.5 MHz)에서 전자파의 인체 영향 규명을 위해 동물 실험용 국부 노출 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노출 장치는 카루셀 형의 마우스용 국부 노출 장치로서 40마리의 마우스를 동시에 노출시킬 수 있으며, 피 실험체인 마우스에 스트레스가 없도록 조명, 환기, 소음 등 환경 조건을 적절히 고려하여 제작되었다. 노출 장치의 노출량 측정을 위해 온도 프로브를 이용한 SAR측정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카데바와 고체 팬텀의 머리 부분 내부의 3점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실제로 장기간의 노출에 이용되는 조건에서 시뮬레이션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현재 제작된 노출 장치는 실제 마우스의 장기 노출 실험에 사용되고 있다. We have designed local exposure systems for long-time mice experiments in PCS and cellular frequency band(PCS: 1,762.5 MHz, cellular: 848.5 MHz). The fabricated systems are local exposure systems of carousel type, and 40 mice can be exposed at a time. In order not to give extra stress to the mice ender experiment, the systems were fabricated to mee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illumination, ventilation, noise etc. SAR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temperature probe. Measurements at 3 points in the head of mouse cadaver and solid phantom were made,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simulation results in the real exposure environment. The exposure systems are currently used for long-term mice experiments.

      • KCI등재

        PCS 대역 세포실험용 전자파 노출 장치 개발

        박민영,고채옥,성미진,김정란,백정기,Part Min-Young,Ko Chae-Ok,Sung Mi-Jin,Kim Jeong-Lan,Pack Jeong-Ki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논문에서는 국내 PCS 대역인 1,762.5 MHz의 세포실험용 전자파 노출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노출 장치는 도파관의 ${\lambda}_g/4$ 지점에 위치한 ${\lambda}_g/8$ 모노폴 안테나에 의해 $TE_{102}$ 모드로 동작되며, 노출 장치 내부에 내부 직경이 8.5 cm인 petri dish 1개를 노출시킬 수 있다. 세포실험용 전자파 노출 장치는 구형 공진기형으로 수치 해석 기법 중 하나인 FDTD 방법을 사용하여 SAR을 해석하였고 온도 프로브(model 790, Luxtron Corp)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In this paper, a rectangular-cavity-type exposure system for in vitro experiments has been developed fur the biological effect studies of radio frequency fields from handhold wireless telephones. It ia fed with a ${\lambda}_g/8$ monopole antennas at the ${\lambda}_g/4$ position of the top plate in order to excite fundamental $TE_{102}$ mode and it allows the uniform exposure of one 8.5 cm(inner diameter) petri dish. SARs inside the exposed medium have been characterized b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e FDTD method and by experimental dosimetry with fiberoptic temperature probes (model 790, Luxtron Corp.).

      • KCI등재

        인체 착용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노출량 해석 연구

        박민영,고채옥,김정란,백정기,Park Min-Young,Ko Chae-Ok,Kim Jeong-Ran,Pack Jeong-Ki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2

        A variety of wireless de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now. Most of studies, however, have been directed to the biological effects of mobile-phone EMF. In this paper, dosimetric analysis for wireless devices of head-mounted display type and a wristwatch type were made to investigate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f these devices. SAR(Specific Absorption Rate) distributions were calculated using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for adult human models such as standard Korean human model and VHP(Visible Human Project) model, as well as scaled child models. Measurements were also performed for SAM phantom wearing a simplified prototype for a wireless device for valid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children are more vulnerable to such exposure, and these devices could cause some biological effects even for relatively lower power compared to conventional mobile pones. 현재 다양한 종류의 무선 단말기가 상용화 되어 있다. 그러나 연구의 대부분이 휴대폰에 의한 생체 영향에만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부 착용형과 손목 착용형 같은 인체 착용형 단말기에 대한 인체 영향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성인 모델과 한국인 성인 모델 그리고 외국인 청소년 모델을 대상으로 FDTD 기법을 적용하여 SAR을 계산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의 head-mounted display 장치에 대한 노출량을 SAM 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노출량 평가 결과 인체 착용형 단말기 노출에 대해 어린이가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기기가 휴대폰에 비해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