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수업측면

        고창규(Koh Chang 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주목하기(noticing)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 초등교사들이 실제로 자신의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목하는 수업측면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수업의 상호작용계열인 교사의 시작차례(I)-학생의 대답차례 (R)-교사의 평가 및 피드백차례(E/F)에서 교사가 하는 말과 행동의 뜻과 기능을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초등교사들이 수업 중에 주목한 것은 교과내용과 관련된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 및 생각, 전체 학생들과의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공유, 학생의 격려와 참여, 수업진행 및 관리, 교과내용과 학습활동의 연계성이었다. 특히 연구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 및 생각의 표면적인 측면인 학생들 대답의 정확성과, 그 대답에 이르는 절차의 정확성에 더 주목하였다. 즉 실질적인 내용 측면인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추론과정은 덜 주목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왜, 어떻게 생각하고 말과 행동을 하는지를 학생들의 관점에서 주목할 수 있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less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while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ssons and classroo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interactional sequence were analysed with ethnographic method. The article concluded as follows: The categories which the teachers noticed were 1)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2) sharing lesson contents and activities with students 3) students encouragement and participation 4) classroom progress and management and 5)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Specifically, the teachers noticed the surface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correct answers, the accuracy of students’ ideas, and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contrast, they less noticed the substantial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Therefore, in order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it was sugges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notice and respond to the substantial features of stude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ink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soning.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들이 '박'교사 수업의 평가 사례에서 주목하는 수업내용

        고창규(Koh, Chang-gy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박'교사 수업사례를 명가할 때, 주목해서 평가하는 수업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9명의 초등교사 연구제보자들이 실제 학교현장 수업평가에서 하는 것처럼 참관록에 따른 체계적 관찰법과 평정척도법을 사용하여 '박'교사 수업 비디오를 평가하고 그 평가근거를 자유롭게 기술한 자료를 문화 기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평가할 때 가장 주목하는 단일 수업평가내용은 학생들의 참여 및 활통주도이었다. 이러한 초등교사들의 수업명가내용들을 서로 관련지어 종합하면, 초등교사들은 동기유발과 수업분위기가 조성된 가운데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업활동과 수업내용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단계적으로 매끄럽게 진행되어 수업목표에 도달하는 것에 주목하여 수업을 평가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초등교사들은 특히 수업평가에서 교과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과정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초등교사들의 이러한 수업펑가내용들의 바탕에는 합리적-기술공학적 수업관점과 과정-산출 모형의 수업관점, 그리고 눈과 귀에 바탕을 둔 체계적 수업관찰법과 평정척도법이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현장의 수업개선을 위해 서 초퉁교사들은 수업을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사회구성물로 보는 기술적 관점 또는 문화기술적 관점과 미시적 문화기술적 관찰과 분석을 통하여 수업을 평가할 펼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tents of lesson evaluati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in the evaluation of 'Park'' teacher's a lesson ca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were analysed with ethnographic method. The article concluded as follows: The most noticed category of lesson evalua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udents'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activity. But they hardly noticed studen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subject contents. These categories which teachers noticed were based on rational-technical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cess-product approach, systematic observation and rating scales by their eyes and ears. Therefore, in oder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it was sugges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to evaluate lesson by the descriptive and ethnographic perspectives and micro-ethnographic observation and analysis

      • KCI등재

        초등교사들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시 고려하는 "좋은" 수업 특성

        고창규 ( Chang Gyu Koh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탐구과정을 중시하는 교실 밖의 ‘좋은’ 수업과, 실제 이루어지는 교실수업이 왜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초등교사들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할 때 고려하는 ‘좋은’ 수업 특성을 문화기술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보는 수업은 학생중심의 수업으로서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 흥미와 관심, 그리고 실생활에 바탕을 둔 자기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 수준별 학습, 창의적 학습을 강조하는 수업 그리고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중심의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실제 수업이 교사에 의한 결과중심의 수업이 되는 것은 교사의 최적화행동의 결과라고도 설명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계획한 ‘좋은’ 수업이 순간순간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실제 수업맥락에서 구체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This article identif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about ‘good’ instruction found in lesson planning in order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ood’ instruction outside classroom valuing student`s inquiring process and actual instruction in classroom. The participants were s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gathered through free description on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in lesson planning. The results showed that ‘good’ instructions conside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level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and process-centered instruction. If so, the reason why actual instructions were changed into result-centered instructions by teachers can be explained by teachers` optimized behavior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d to explain the above reas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ions outside and inside classroom was due to the failure that teachers could not concretize ‘good’ instruction planned by teachers in the actual instruction context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

      • KCI등재

        초등교사들이 수업관찰에서 주목하는 내용

        고창규 ( Chang Gyu Ko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수업을 관찰할 때 주목하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제보자는 24명 초등교사들이며, 자유기술 및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문화기술적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초등교사들이 수업관찰에서 주목하는 내용은 수업분위기 조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도 수업목표와 수업행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매끄럽게 수업목표에 도달하는 수업행동과 활동들이었다. 이러한 초등교사들의 관찰내용의 바탕에는 수업을 수업계획에 따라 수업목표를 효율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수업행동들로 파악하는 합리적-기술공학적 관점과 과정-산출 관점이 자리잡고 있었다. 아울러 관찰표에 따른 체계적 수업관찰법을 통하여 그러한 내용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교실수업개선을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관점이 수업을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사회구성물로 보는 관점으로 전환해야 하며, 미시적 문화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in observing classroom less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were questioned on what they notice in observing classroom lessons and were asked to state their own views freely about the questions. If necessary, they were interviewed. The data gathered using the ethnographic interview method were then analyzed. The article concluded as follows: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in observing classroom lessons are related to the lesson behaviors and activities that smoothly came to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with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ce was based on rational-technical model and process-product approach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emphasize how to achiev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ystematic classroom observation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instructional practice, the current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lassroom lessons have to be transformed into perspectives that lessons are social realities constru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required to observe lessons through microethnographic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일본·미국·독일 학술연구 지원기관의 학회지원 비교연구

        김성열,고창규,정규영,정유성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2 敎育理論과 實踐 Vol.12 No.2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KRF) has supported the research activity of the academic society through 'Conference Grant Program' and 'Journal Publication Subsidy progra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is existing KRF' support programs for the academic society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foreign research foundations' aid for their academic society. To find implications, this study analyzes three countries' research foundations cases: 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JSP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American Council of academic Societies(ACLS), and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 Data of this study collected through 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internet, and interview with the persons concerned of JSPS and DFG. Based on th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formulating a support program for the research activity of the academic society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promotion of publication of scientific research results' in Grant-in-Aid for Scientific Research in JSPS was designed to provide support to the academic society of Japan. In spite of this support, the FY 2000 amount for this progam was 2.59% in JSPS' total grant. NSF, NEH, ACLS, and DFG have give no support to the academic society itself. As a general principle, a academic society of Korea like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 is required to meet its expense through membership fee. But considering Korean academic society's financial difficulty, it is necessary for KRF to support the research activity of academic society for a time. Second, it needs to publish chargeable scientific periodicals for academic society's self-supporting. In addition, like ACLS, there needs to be formulated the system which can be supported by income from endowment, private grants, and private gifts. Third, like JSPS's grant-in-aid for 'Scientific Periodicals', it needs to bring in the principle of high competition in the allocation of KRF's existing 'Journal Publication Subsidy program. Fourth, besides the KRF's existing subsidy program for academic society, KRF needs to support academic society's educational program for student, teacher, and individual citizens in order to disseminate academic information and strengthen the scientific potential of Korea. Finally,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the system that the representatives of learned society take part in the academic policy-making body, screening committee, and selection process of KR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