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정완 ( Jeongwan G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강조되면서 이들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 2, 3학년을 선정하였으며, 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원만성을 포함한 성격특성과 함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s the importance of the happiness of pre-service teacher is emphasize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ity and ego-resilience influence their sense of happines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pre-service teachers college in G city. A total of 234 subjects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done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personality and ego-resilience on sense of happiness. Second, the personality and ego-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sense of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ego-resilience should be preceded by personality including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in order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 KCI등재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사회적 유능감이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나래(Narae Kim), 고정완(Jeongwan Go), 최미숙(Misook Choi)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사회적 유능감이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공립유치원 만 5세 유아 180명이며, 담임 교사가 의사결정력, 사회적 유능감, 놀이몰입 검사지를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놀이몰입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의사결정력은 놀이몰입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놀이몰입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놀이몰입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중심, 유아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과 사회적 유능감이 놀이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어 놀이몰입을 지원하는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decision-mak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on the play flo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decision-mak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lay flow of young children, and deemed to be meaningful variables in terms of predicting the same. Therefore, decision-mak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y flow and should, therefore, be honed to improve their play flow.

      • KCI등재

        유아의 언어태도 수준에 따른 또래유능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

        최미숙 ( Choi Misook ),고정완 ( Go Jeongw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태도 수준에 따른 또래유능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유아교육기관 3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99명(남아: 96명, 여아: 103명)을 선정하였다. 언어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누적 퍼센트 50%를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언어태도 수준에 따라 전체적인 또래유능성과 하위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언어 태도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또래유능성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언어태도 수준에 따라 전체적인 정서지능과 하위요인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언어태도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정서지능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부모들이 유아의 언어태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depending on language attitud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199 young children (96 boys and 103 girls) attending 3 kindergartens in G city. Based on language attitudes test, children who had top 50% score were assigned to upper group and those who had bottom 50% score to lower group(99 upper group and 100 lower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language attitudes, in the overall peer competence and sub-areas such as ‘sociability’, ‘pro-social’, and ‘scrupulosity’. In other words, children with high language attitudes showed higher peer competenc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language attitudes, in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ch a sub-area as ‘self-awareness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bility to recognize others’ and ‘ability to control others’. In other words, children with high language attitudes show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anguage attitud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improving the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