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관 소요공간에 따른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고재민,조현양,고흥권,Ko, Jae-min,Cho, Hyun-Yang,Ko, Hung-Kw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In the 1980's opening 79 of the end of 2013, the National Public Library that had been It was 885 its opening remains in effect. Especially in the 2000s after 60% of the whole library, a library erected since the advent of the library is enough to be a significant quantitative expansion. The resulting to make a qualitative aspect of public libraries and increase users' needs for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IIn particular, the user is to serve the needs of digital reading room and the increase of the cultural training changes after 2000 years ago, and appears as due to the implications of space configuration in an age-appropriate library space off the rate plan is a necessary point. The study in the 1980s-1990s, built public library established since the year 2000 centered on public library mutual comparative analysis of space configuration form. Book reading function was the conservation and highlight 1980-1990s and considered by the side of the users culture area extended since the 2000s, public library tak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acility by the area in which you can meet the standards required and the age. 1980년대에 79개관에 불과했던 전국 공공도서관이 2013년 말 기준으로 885개관에 이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 건립된 도서관이 전체 도서관의 60%를 넘어서고 있을 정도로 도서관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상당한 양적팽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른 질적 측면도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디지털열람실과 문화교육실의 증가는 2000년 전 후의 변화에 따른 시사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공간구성 비율에서 벗어나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1980~1990년대 준공된 공공도서관과 2000년 이후 설립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대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형태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장서보존과 열람 기능이 강조되었던 1980~1990년대와 이용자의 측면을 고려하여 문화영역 기능이 확대된 200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의 소요시설별 면적비율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현시점의 도서관 공간의 중요 고려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시대요구와 부합할 수 있는 면적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최종연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KCI등재후보

        전시품 교체주기에 대한 기초적 연구

        고재민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2

        These days, the number of visitors to public facilities is limited due to the prolonged social distancing adjustment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nd the boundaries of space are breaking down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using the virtual world. In this environment of the times, the number of visitor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when the distancing stage is raised, the closure is frequently prolonged even though it is a new exhibition.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also increased, and the themes and directing media of the exhibition were diversified. Over 2010, the pace of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improved remarkably, and at some point, these technologies have become part of our lives. Unlike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when visitors to science museums or world 144 fairs could experience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y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anywhere with a smartphone in 2022. In the midst of such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cience Museum is a place that awakens the importance of science by showing the fu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In order to fulfill these social responsibilities, periodic replacement of exhibits became essential, not an option, and there is a limit to periodic replacement of exhibits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to replace exhibits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actical proble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currently on display around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he representative science museum 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 media type was re-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is to calculate the durability peri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xhibition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eplacement of exhibitions. 코로나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따라 공공시설의출입자 수가 제한되고 있는 요즘, 가상세계를 활용한 미디어의 발달로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전시장은 관람객이 대거 감소하였고,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조정될 시 신규 전시임에도 휴관이 장기화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국민의 인식 수준 또한 높아졌고전시의 주제 및 연출 매체 또한 다양화되었다. 2010년이 넘어가면서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발전하였고, 어느 순간 이러한 기술들은 우리의 생활 속 한 부분까지 자145 리 잡게 되었다. 과학관이나 세계박람회를 가야 새로운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관람할 수 있었던 1990년대 후반부터 2000 년대 초반과는 달리 2022년 현재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서든스마트폰만 있으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이렇듯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전 속에 과학관은 과학의 현주소와 함께 과학기술의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과학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곳이다. 이러한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기적인 전시품의 교체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고, 급변하는 과학기술을 따라 전시품을 교체하기엔 기준이 부재하여 주기적인 전시품의 교체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현실적 측면의 문제점을개선하기 위해 국내 대표 과학관인 국립중앙과학관을 중심으로 현재 전시되고 있는 전시품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매체종류의 재정립하였다. 각 전시품 별 특성을 고려한 내구연한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전시품 교체의 기초 근거자료로 활용됨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가이드라인에 관한 기초 연구 -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사례를 중심으로 -

        고재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0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2

        Public libraries have developed rapidly since the 2000s, with more than 60% of the current distribution of libraries. While research on guidelines for new construction along with quantitative growth has been active since 2009, research on remodeling has been insufficient around libraries with about 35% of the opening years of 20 years. Therefore, prior to establishing guidelines for remodeling centered o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direction of remodeling based on the overall remodeling plan of library facilities, not on simple facility repairs or replacement of some areas, among the remodeling projects conducted in 2019. Through this, we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space so that the current public library can play a leading ro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 want to analyze the spatial direction of the re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rooms in all spaces were reduced or abolished to prevent the fall into the study spaces. Second,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ibrary only by setting the direction of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 Third,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reading area due to the activation of public spaces. Fourth, the focus was on providing servic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rather than a separate physical space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Fifth,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as intended to secure a connection plan with various living SOC facilities in order to transform it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Step-by-ste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guidelines for future remodeling as well as guidelines for budget support based on annual, scale, and regional considerations.

      • 주류산업의 새로운 생존전략, 지속가능경영

        고재민,Go, Jae-Min 한국주류산업협회 2004 주류산업 Vol.24 No.1

        최근에 현대·기아자동차는 경제적 성과에만 매달려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새해부터 경영 방침을 경제적 성과 중시에서 환경 경영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강조하는 지속가능경영으로 전환한다는 발표를 했다. 일본 기업들도 지금까지는 주로 환경 관련 이슈들을 기업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활용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이제는 환경 뿐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의미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새로이 추구할 가치로 인식하고 있다. (중략)

      • KCI등재

        자본조달 계획이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고재민,윤선주,배진철,김동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4 회계와 정책연구 Vol.19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nagers increase voluntary disclosures and inflate their forecast numbers regarding operating performance. Managers are likely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by increasing voluntary disclosures so that they finance easily and cheaply. Furthermore, we analyze managers’ differential possibilities and optimism on voluntary disclos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financing. It is because investors need to take greater risks in equity financing than in debt financing and similarly to take greater risks in bond issuance than in loan financing. The more risks investors take, the more managers try to lower information asymme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annot find out that managers increase their voluntary disclosures when arranging external financing. However, frequent voluntary disclosures precede seasoned equity offerings and the bond issuance. Second, managers boost their forecast numbers before seasoned equity offerings and the bond issuance as well. Third, managers’ optimism on performance forecast declines as foreign investors’ ownership increases even before seasoned equity offerings and the bond issuance. Our results imply that managers who have plans to finance from the capital market increase voluntary disclosures in order to weaken information asymmetry. Managers, on the contrary, forecast performances optimistically and it leads to greater information asymmetry. We infer that managers’ optimistic forecasts, which help investors expect optimistically, come from the opportunistic intention. It is because investors can figure out how optimistic managers’ forecasts are only after providing capit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ves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s when participating in the external financing. 본 연구는 자본시장에서 자본조달을 계획하고 있는 경영자가 자발적 공시를 실시하는지 확인하고, 그 공시는 어떤 성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경영자는 보다 손쉽고 저렴하게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비대칭을 해소하려는 유인을 가지므로, 자본조달을 계획할 때 자발적 공시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본조달 유형을 세분하고, 그 유형에 따라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 가능성과 그 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투자자 입장에서 부채보다는 유상증자 참여 시 불확실성이 더 크고, 부채 중에서도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보다는 사채 매입 시의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이 클수록 정보비대칭의 중요성과 경영자의 정보비대칭 해소 노력도 커지게 마련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조달 계획이 있는 경영자들이 자발적 공시를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본조달 유형을 세분하였을 때, 유상증자 및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자발적 공시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상증자 및 사채발행 시 경영자 이익예측공시의 낙관적 성향이 더욱 커졌다. 셋째, 유상증자 및 사채발행 시에도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이 높아질 때 경영자의 낙관적 예측 성향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상증자나 사채와 같이 자본시장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는 경우, 경영자들은 자발적 공시를 통해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려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실질을 살펴보면 자본조달을 손쉽게 하기 위해 낙관적인 이익예측치를 발표함으로써, 사후적인 측면에서는 오히려 정보비대칭을 심화시키고 있다. 투자자들은 자본조달이 완료된 이후에야 이익예측치가 얼마나 낙관적인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영자들은 기회주의적인 동기에서 자발적 공시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신규 자본조달에 참여하는 경우,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 KCI등재

        재무분석가 수가 수시공시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고재민,조정은,김동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3

        Because analysts provide various earnings forecasts information to the markets' participants, they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and control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However, discretionary accruals that have been used to measure earnings management in prior studies have some potential problems in that the measure reflects auditors' opinions as well as managers' argu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or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alysts' forecasting activities effectively monitor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by using ‘earnings correction’ (a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the audited income).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smaller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nd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violate regulations regarding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This suggests that firms with high analyst coverage have stronger monitoring functions and effectively prevent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stock market reaction for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o understand the cause for managers' behavior. We find that the preliminary earning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market reactions when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larger magnitude of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This implies that analysts recognize firms'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and penalize these firms by showing negative market reactions. This study has following contributions:we measure managers' argument by using preliminary earnings which do not include auditors' opinions, and empirically show that analysts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lso, it suggests that analysts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corporate governance by monitoring managers'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재무분석가는 일반투자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이익예측 정보를 산출하고 시장에 제공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행위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사용한 재량적 발생액은 감사 후의 재무제표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주장 뿐 아니라 외부 감사인의 의견이 동시에 반영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량적 발생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영자의 주장만을 반영하는 수시공시의 잠정이익과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반영된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활동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수시공시 규정도 더욱 충실히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재무분석가들이 이익예측치를 발표하는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강화되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영자의 행위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재무분석가 수에 따라 잠정이익과 결산이익간의 차이가 클 경우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재무분석가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클수록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을 과대공시하거나 과소공시 할 경우 재무분석가들이 이를 인지하고 주가에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을수록 경영자는 재무분석가들의 강한 모니터링 기능을 의식하여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외부 감사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수시공시의 잠정이익을 사용하여 경영자의 주장을 측정하였고, 잠정이익과 감사 후의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가 경영자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하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재무보고 행위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