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국유사』, 「수로부인」 전승의 서사구조 분석

        고은채(Go, Eun-Chae)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2 아시아강원민속 Vol.37 No.-

        본 논문의 제 Ⅰ 장에서는 『삼국유사』 속 「기이」편의 「수로부인」의 전승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수로부인’을 연관 검색어로 하는 국내 학술논문 92편을 선별하였다. 수로부인 의 연구 논문 분석 결과 총 92편 중 56편(60.9%)이 내재적 접근 방법을 36편(39.1%)이 외재적 접근 방법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로부인」의 <헌화가>와 <해가>를 단독으로 연구 분석한 형태는 총 92편의 논문 중 37편으로 이 중 <헌화가>만을 단독으로 연구한 사례는 총 31편(33.7%)에 이르지만 <해가>를 단독으로 연구된 사례는 총 6편(6.5%) 뿐에 그치는 연구 분석의 형태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로부인의 존재에 대한 관련 논문의 연구 분석 주제양상을 보면 제의적 기능을 담당하는 인물로서 수로부인을 분석한 것이 총 92편의 논문 중 31편(33.7%), ‘자용절대’ 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것이 11편(12%)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나머지 각 항목의 논문 주제 편수는 최대 7개 이하로 「수로부인」의 서사 문맥을 연구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수로부인」 전승의 배경론적 전개를 논하기 위해 『삼국유사』의 편찬 의도와 「수로부인」의 서사 배경에 대하여 외재적 접근 및 문화 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삼국유사』의 기술체계는 한 명의 군주마다 하나의 이야기가 구성된 기술 방식(A+A ’ )과 한 명의 군주 이야기에 군주 당대의 유력한 인물의 일화를 곁들어 기술하는 방식(A+B)의 기술체계가 있는데, 이중 성덕왕 과 성덕왕 대의 수로부인 에 대한 기술체계는 의 형식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성덕왕」과 「수로부인」의 설화는 서로의 이야기가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서술 의도로 기술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일연은 성덕왕을 불교적 전제왕권의 기틀을 다진 통일신라 최초의 군주로 생각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로부인이 성덕왕이 이루어낸 과업을 도운 유력한 인물로 기술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 Ⅲ장에서는 「수로부인」의 이야기를 설화의 한 갈래인 신화로 특정하여 신화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원질 신화로서 원형을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서사 구축 틀인 ‘영웅의 제12단계를 분석의 틀로 ‘역’ 사용하여 「수로부인」의 서사구조가 인류의 보편적인 공감과 감동을 담보하는 원질 신화로서의 전승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로부인」의 서사구조는 평범한 여인이 여정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과 능력을 발견해 나가며 새로운 영웅적 면모를 발현해 나가는 영웅 성장 신화의 보편적인 서사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연은 불교적 공업을 이룬 『성덕왕』 뒤에 종교적 신성성을 지닌 신화적 인물 「수로부인」을 배치하여 (A+B)의 형식을 이루고, 이를 통해 전제왕권의 정당성을 종교적 신성성으로 확보하고자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수로부인의 신이한 이야기를 종교적 영웅의 신화적 이야기로 승화시켜, 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전제왕권의 기틀을 다진 성덕왕의 공업을 더욱 공고히 만든 서사적 전승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