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끼전>에 대한 21세기 시좌, 영화 <소리도 없이>

        고은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6

        <소리도 없이>는 <토끼전>의 ‘다시쓰기’ 사례로, <토끼전>에서 촉발된 상상력을 훌륭하게 고양하여 우리 사회가 사유해야 할 문제를 묵직하게 던진 한편 <토끼전>의 의미를 새롭게 음미하게 한 작품이다. 본고는 영화 <소리도 없이>에 드러난 <토끼전>을 바라보는 관점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의미에 접근하고, 아울러 <소리도 없이>의 시선에서 <토끼전>의 의의를 재탐색한 연구이다. 우선 <소리도 없이>가 <토끼전>을 어떻게 패러디하고 있는지 살폈다. 창복과 태인은 성실히 하루 일과를 보내는 평범한 노동자처럼 보이지만 조직폭력배가 죽인 시체를 처리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그들이 예기치 않게 11세의 초희를 납치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서사가 전개된다. 그들은 수익 창출을 우선하는 자본주의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추수하며 생활한다는 점에서 용왕에 대한 맹목적 충(忠)을 성실히 이행하는 자라의 모습과 유비된다. 한편 납치당한 상황에서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 냉철하게 대응하는 초희에게서 토끼의 재기와 생명력이 발견된다. 이 영화는 창복과 태인을 비롯한 범죄자들을 형상화할 때, 의도적으로 범죄의 이미지를 지우고 먹고살기 위해 일하는 성실한 노동자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그들처럼 그냥 일을 할 뿐인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돌아보게 한다. 생계를 위해 일을 한다고 하지만, 효율과 성장이 최고선이 되는 자본주의 논리에 무심히 동참하는 순간 자칫 괴물이 되어갈지 모를 현대인들의 위험성을 날카롭게 응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소리도 없이>의 시선으로 <토끼전>을 읽을 때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중세 지배질서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생존하기 위해 부단히 분투하는 인물들의 삶이고, 토끼의 생존 문제이다. <토끼전>은 부조리한 봉건체제와 부패한 지배층을 풍자하고 서민의 발랄한 생명력과 기지를 그려내어 성장하는 서민의식을 고취시킨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때 토끼는 각성하여 저항하는 긍정적 이미지의 민중 형상이라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여러 이본의 토끼 형상을 자세히 따져보면 긍정적 이미지의 민중, ‘이상적 민중상’이라 하기 어려운 점들이 발견된다. 토끼는 허욕에 사로잡혀 허세를 부리고, 이본에 따라서는 용왕의 헤게모니 안에서 스스로 용왕의 욕망을 욕망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이 점이 오늘날 <토끼전>을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새로운 시대의 주인공이 될 훌륭하고 선량하기만 한 ‘이상적 민중’이 아니라, 각자도생의 고단한 현실을 살아내는 미천한 처지의 결함 많은 범상한 인물이 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런 인물의 ‘생명의 무게’도 용왕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이치가 그 스스로의 의지와 기지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초희에게서 어린이의 천진난만함, 혹은 ‘피해자다움’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그가 태인의 호의를 배반한 듯 보여도, 그 상황에서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초희의 안녕이며 생명의 존엄성이듯, 미천하고 교활한 토끼의 생명도 용왕의 목숨만큼이나 소중하다는 진실을 <토끼전>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Voice of Silence> is an example of the 'rewriting' of <Tokkijeon (the story of a rabbit)>, which brilliantly elevates the imagination sparked in <Tokkijeon>, posing a difficult problem that requires our society to think about,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one to appreciate the meaning of <Tokkijeon> in a new way.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okkijeon> revealed in the movie <Voice of Silence>, approach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nd re-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okkijeon> from the perspective of <Voice of Silence>. First, how <Voice of Silence> parodied <Tokkijeon> was explored. Chang-bok and Tae-in appear to be ordinary workers who work hard every day, but they deal with the bodies killed by gangsters. As they unexpectedly kidnap 11-year-old Cho-hee, a full-fledged narrative unfolds. The two men are analogous to soft-shelled turtles who faithfully fulfill their blind loyalty to the dragon king in that they uncritically accept capitalism’s logic that prioritizes the creation of profit. On the other hand, even while being kidnapped, Cho-hee calmly responds to her situation, exhibiting a rabbit's brilliance and vital force. By portraying criminals such as Chang-bok and Tae-in and the gangsters and kidnappers with whom they associate in an ordinary light, this film intentionally erases the image of crime by emphasizing the aspect of faithful workers who work to make a living, causing us to reflect on our ordinary lives. It is staring sharply at the dangers of modern people who may become monsters the moment they carelessly join the logic of capitalism where efficiency and growth are prioritized even though they say they just work for a living. Unconstrained by ethical considerations, capitalism can kill millions out of cold indifference and greed. On the other hand, when reading <Tokkijeon> from the perspective of <Voice of Silence>,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our attention is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ho struggle to survive in the process of the dissolution of the medieval ruling order, and the challenge of the rabbit's survival. <Tokkijeon> is evaluated as a work that satirizes the absurd feudal system and corrupt ruling class and inspires a growing commoner consciousness by depicting the lively vital power and wit of the common people. At this point, rabbits are often considered to be a positive image of people who awaken and resist, but just as those who enjoyed it at the time perceived it as “a disgusting rabbit who mocked the dragon king,” a closer examination of the rabbit shapes of various versions reveals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call a positive “ideal image of the people.” The rabbit is obsessed with greed and bluffs, and, according to the different versions, desires the same as the dragon king. This is why <Tokkijeon> deserves attention again today. Rather than perfect “ideal people” who will be the protagonists of the new era, an unusual character with many flaws in a humble situation who lives the hard reality of their own life appears as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and the principle that the weight of such a character's life is no different to that of the dragon king is proven through its own will and wit. Even though Cho-hee neither demonstrates a child's innocence or “behaves like a victim,” and she appears to have betrayed Tae-in's favor, w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situation is Cho-hee's well-being and the sanctity of life. In this way, <Tokkijeon> is telling the truth that the life of a lowly and cunning rabbit, who was full of vanity and fell for the turtle's trick and seemed to deserve bad things, is just as precious as the life of the dragon king.

      • KCI등재

        <창란호연록>의 발화되지 못한 감정

        고은임 한국고소설학회 2022 古小說 硏究 Vol.54 No.-

        Changranhoyeonrok is a work that superbly depicts the inevitable gap between the inward and outward aspects of human reality. This article discusses the emotions that female characters would not dare verbalize under the norms of their society and examines how emotions are controlled. In Changranhoyeonrok, the marital conflicts between Han Nanhee and Jang Hee and between Lee Unhye and Jang Woo are tangled with another strife with in-laws. The female protagonists, Han Nanhee and Lee Unhye, face various difficulties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y show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s. Bound by traditional virtue expected of women, the two women cannot directly express their feelings of “displeasure” and “dislike” from deep inside the heart while facing their husbands who express negative emotions directly and aggressively. Still, they are superficially obedient and faithful to the principles of wives’ behavior. However, they continue to engage in passive-aggressive behavior, such as staying separate despite their husbands’ demands for emotional communication and refusing to share a bed with them. This behavior negatively affects their relationship and harms their mental health. However, this cannot be dismissed as a personal problem for Han Nanhee and Lee Unhye. Passive-aggressive behavior is typical where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is prohibited or not allowed, and it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in Joseon and the cultural education of upper-class women. Despite the unpleasant feelings that Han Nanhee and Lee Unhye experience in their married life, their emotions are not fully recognized as a social reality, regarded as disturbing, and the women are suppressed not to vocalize their emotions. As a result, they had no opportunity to resolve their unverbalized emotions, and the peace and harmony of the couple faded away.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Changranhoyeonrok has an open ending with no genuin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pouses. The emotional and physical intimacy of the female characters with their husbands is never expressed. The patriarchal order, which controls women at men’s demand, required strategies of manipulating words and actions. However, since emotions cannot be controlled easily as needed, it is impossible to suppress others and command their love at one’s convenience. <창란호연록>은 겉과 속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인간적 현실이 잘 그려진 작품으로, 본고는 규범상 감히 발화할 수 없었으나 실존했던 여성인물의 감정과 그것의 운용 양상을 살핀 논의이다. <창란호연록>에는 한난희-장희 부부, 이운혜-장우 부부의 갈등이 옹서 갈등과 얽히며 높은 비중으로 지난(至難)하게 전개되어 있다. 여성 주인공 한난희와 이운혜는 혼인 전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한난희는 부유하고 허용적인 부모 밑에서 자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거칠게 표현하고 정혼을 파기하려는 부모 뜻에 저항해 가출을 감행하는 등, 유순정정(柔順貞靜)한 미덕을 결여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런데 시부(媤父) 장두를 만나 교화되고 감정 표출을 삼가게 되면서부터, 혼인 생활 중 친정을 혐오하는 남편과 지속적으로 갈등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발화하지 못한 채 심각한 우울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운혜는 한난희와 달리 어릴 적부터 유한정정(幽閑靜貞)한 덕이 뛰어난 인물로 장우와 법도에 맞게 순조롭게 혼인한다. 그런데 장우가 혼례 전 만난 양난주를 그리워하며 이운혜를 외친내소(外親內疎)하고, 그 일에 이운혜 부친 이윤이 개입하면서 갈등이 심화된다. 이운혜는 장우의 박대와 폭행을 당하게 되는데, 그러한 상황에서도 예적 태도를 지키며 부인의 도리를 다하나, 오랜 시간 정서적 소통과 잠자리를 거부한다. 한난희와 이운혜는 부부관계에서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여도(女道)에 구속되어 있어, 부정적 감정을 직접적이고 공격적으로 표출하는 남편을 상대하며 마음 속 깊이 느끼는 ‘불쾌(不快)’, ‘불호(不好)’의 감정을 직접 발화하지 못하고 표면적으로는 순종하며 아내의 도리에 충실하다. 그러나 상대의 정서적 소통 요구에 침묵단좌하고 잠자리를 거절하는 등 수동 공격적 행동을 지속한다. 이러한 행동은 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더욱이 본인의 정신 건강도 해친다. 그런데 이는 비단 한난희와 이운혜 개인의 성격적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다. 수동 공격적 행동은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이 금지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취하게 되는 방식으로, 조선의 가부장적 유교 문화와 상층 여성의 교양 교육과 상관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한난희와 이운혜가 혼인 생활에서 느꼈던 불쾌의 감정은 그들에게 실존했으나 사회적 실재로서 온전히 시인되지 않았고, 불온한 것으로 취급되며 발화할 수 없는 것으로 억압되었다. 그 결과 그들의 발화할 수 없는 감정은 해소될 기회를 얻지 못하였고 부부 간의 화락도 요원한 일이 되었다. 이처럼 <창란호연록>은 여타 고전소설과 달리 부부 간 진정한 화해가 이뤄지지 않은 ‘미완의 구조’로 끝난다. 남편에 대한 여성인물의 정서적, 신체적 친밀감이 끝내 표현되지 않는다. 여성을 주체가 아닌 객체로 삼고 남성의 필요에 따라 여성을 제어하려던 가부장적 지배질서는 언행은 물론 감정까지 통제하는 전략을 취했지만, 감정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어서, 상대를 억압하다가 편의대로 사랑하게 할 수는 없는바, 이 소설은 그러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권력자의 복수(復讎)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고은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80

        This article is a paper discussing the revenge narratives in Soheyonseongrok, Yussisamdaerok, Myeonghaengjeonguirok. Particularly, attention was paid to the revenge made by the powerful, and its aspect and meaning were discussed und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are the revenge of Soheyonseongrok ‘So Se-pil, Yussisamdaerok' Yoo Hyun, Myeonghaengjeonguirok' Wi cheon-bo. All of them use public power to severely execute their opponents to complete private revenge. Here, the performers of revenge are those with power and prestige. They do not engross their lives in paying back their enemies, but rather provide a chance to revenge on chance. And since their opponents are weaker than their counterparts, the process of revenge using public power is easy, simple, and extreme. Thi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different from the Korean short stories such as Joungjeon and YuChungryuljeon, the Hanmun short story such as Odae Swordsman Jeon and Swordswoman. The characters in these works take their entire lives or lives and perform revenge with desperate heart. In addition, revenge as a solution to the situation using public power is very different from Confucius' revenge. In other words, the revenge performed by the characters in the Korean Classical Novel differs greatly from the Confucian ideology of Joseon and is shaped in a way that maximizes secular pleasure. These narratives appear to have formed under the political and social climat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limate is a generous and positive awareness of revenge. 본고는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에 나타난 복수 서사, 특히 권력자에 의해 자행된 복수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를 조선후기 사회문화적 배경 하에서 논의하였다. 소현성록의 소세필이 과거 자신의 친모 이옥주를 모함하는 데 가담했던 성영에게 행한 복수, 유씨삼대록의 유현이 아내를 모함한 모란에게 행한 복수, 명행정의록의 위천보가 부친의 원수 왕소삼에게 행한 복수가 그것인데, 이들은 모두 공적 권력을 사용하여 상대를 가혹하게 처형하며 사적 복수를 완수한다. 여기서 복수의 수행자들은 권력과 명망을 갖춘 이들로, 그들은 원수를 갚는 일에 평생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우연한 기회에 복수할 계기를 마련한다. 그리고 그들이 복수할 상대는 그들보다 낮은 신분의 약자들이기에 공적 권력을 사용한 복수 과정은 쉽고 간편하며, 극단적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점은 온 생애 혹은 목숨을 걸고 절박한 마음으로 수행되는 <조웅전>, <유충렬전>과 같은 한글단편소설이나, <오대검협전>, <검녀>와 같은 한문단편의 복수와는 다른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적 권력을 이용한 사정(私情)의 해소로서의 복수는 공자의 복수관, “곧음으로써 원한을 갚는다(以直報怨)”의 관념과 매우 괴리된 것이기도 하다. 즉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복수 서사는 유학의 사상적 지향, 즉 복수를 정당화하면서도 그 올바름을 고민하는 성찰적, 반성적 지점과 거리가 있고, 상층의 권력욕, 속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보이다. 이는 복수에 대해 긍정적이고 관대한 인식이 강화된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 하에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지며,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인 상층 사대부가의 욕망이 반영된 결과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