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록과 회상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비교분석 -구글 타임라인과 ‘일상’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고은성,김보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users can record their daily live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The trend is growing rapidly, but lifelogging cases are still insufficient. Google's Timeline and domestic application ‘Daily'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 Model, the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by the Reckard 7-point scale based on the Honeycomb model.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d the 7-point scale were similar, and we could see what and why users preferred the recording appl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valuate the user experience for recording application and analyzing the needs of users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assess the usability that provide a service record and recall.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서도 일상을 자동으로 기록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트렌드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중이나 아직 라이프로깅에 대한 사용성 평가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구글의 타임라인, 국내 기록 애플리케이션 ‘일상’ 두 가지의 사용성 평가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감성 인터페이스 모형을 토대로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허니콤의 6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리커드 7점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심층 면접과 7점 척도의 결과가 비슷하며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기록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며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록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얻은 사용자들의 니즈를 분석하여 기록과 회상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가능성 지도에 대한 고찰과 개선 방안 탐색

        고은성,탁병주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problems by critically examining how the chance is taught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chance and randomness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cepts of chance and randomness were first examined, and problems were presented in based on this by the literature analysis o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experience in reasoning based on data, and randomness instruction was not performed properly. In addition, as the teaching of the sample space was omitted, contradictory materials were being used. Moreo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teaching of chance is focused on a specific grade lev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chance, a teaching of the probability experiment and the sample space were mainly suggested,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contents of the data area be adjusted for the composition focused on a specific grade.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가능성 지도가 우연(chance)과 무작위성(randomness)의 개념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연과 무작위성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수학에서 가능성 지도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자료에 기반을 둔 추론의 경험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무작위성 지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표본공간의 지도가 누락되면서 모순적인 소재가 활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능성에 대한지도가 특정 학년에 편중되어 지도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확률 지도의 개선을 위해 크게 확률 실험의 지도와 표본공간의 지도를 제안하며, 또한특정 학년에 편중된 구성을 위해 자료 영역의 내용을 조절할 것을 제안한다.

      • 한국과 호주의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

        고은성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호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자료와 가능성 영역 중 자료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주 교과서는 Year4에서 이원화된 표를 도입하고 표를 읽는 방법을 학습하는 차시에서 이원화된 표를 만드는 차시로 전개된다. 둘째, 호주는 tally mark를 별도의 차시로 구성하여 표 학습에서 이를 세기 전략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실생활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이를 표로 나타내는 차시에서의 교과서 발문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넷째, 호주는 막대그래프의 특별한 형태로서 Divided bar graphs를 도입하였다. 다섯째, 꺾은선그래프의 경우 한국 교과서에서는 꺾은선그래프 이전에 막대그래프만 학습한 상태이므로 두 그래프의 특징만 비교하나, 호주 교과서에서는 꺾은선그래프 이전에 다양한 그래프를 학습한 상태이므로 다양한 그래프와 함께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Candida magnoliae에 의한 에리스리를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환경과 질소원 선별

        고은성,문관훈,한기철,유연우,서진호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0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6

        C. magnoliae M26을 이용하여 천연 감미료인 에리스리톨의 발효생산 환경의 최적화와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용 배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에리스리톨의 발효생산의 최적 조건은 28℃의 발효온도와 초기 pH 7 이었으며, 1 vvm, 500 rpm의 2.5 l jar-fermentor에서의 통기 조건이었다. C. magnoliae M26에 적합한 탄소원을 알아보기 위해 포도당, 과당, sucrose에 대하여 탄소원의 소비 경향과 에리스리톨의 생산성을 알아 본 결과, 포도당이 가장 적합했다. 에리스리톨의 효율적인 대량생산을 위해 전분가공공정의 부산물인 LSW와 CSL가 yeast extract대체 질소원으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체 질소원인 LSW와 CSL은 서로의 발효 양상과 결과는 거의 비슷했고, 대조 실험인 yeast extract 결과 (68.2 g/l)에 비하여 세포성장이 약 1.5배 정도로 세포성장은 촉진되었고 에리스리톨 생산성은 yeast extract결과 (0.966 g/l·h)의 약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에리스리톨 생산성을 보였다. 따라서 LSW와 CSL은 yeast extract 대체 질소원으로 산업화 공정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ulture conditions and nitrogen sources were optimized for production of erythritol, a natural sweetener, by Candida magnoliae M26.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found to be culture temperature of 28℃, initial pH of 7, aeration of 1 vvm and agitation speed of 500 rpm in a 2.5 l jar-fermentor. Glucose was chosen as the best carbon source based on cell growth and erythritol productivity. Light steep water (LSW) and corn steep liquor (CSL) which are by-products in starch processing from corn were tested as a nitrogen source substitute for yeast extract. The use of either LSW or CSL did not change the fermentation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LSW and CSL showed 1.5 times higher in cell growth and almost the same value inerythritol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fermentation using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ither LSW or CSL could be used as a nitrogen source in a large-scale fermentation for erythritol production.

      • SCOPUSKCI등재

        Candida magnoliae에 의한 에리스리톨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환경과 질소원 선별

        고은성,문관훈,한기철,유연우,서진호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0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6

        Culture conditions and nitrogen sources were optimized for production of erythritol, a natural sweetener, by Candida magnoliae M26.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found to be culture temperature of $28^{\circ}C$, initial pH of 7, aeration of 1 vvm and agitation speed of 500 rpm in a 2.5 1 jar-fermentor. Glucose was chosen as the best carbon cource bsed on cell growth and erythritol productivity. Kight steep water(LSW) and corn steep liquor (CSL) which are by-products in starch processing from corn were tested as a nitrogen source substitute for yeast extract. The use of either LSW or CSL did not change the fermentation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LSW and CSL showed 1.5 times higher in cell growth and almost the same value in erythritol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fermentation using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ither LSW of CSL could be used as a nitrogen source in a large-scale fermentation for erythritol production.

      • KCI우수등재

        다중 합성곱 모델을 이용한 R-EPS 차량 내부 소음 예측

        고은성,정기원,조용원,고은지,안시후,남규환,김상욱,박경환,김성범 대한산업공학회 2022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8 No.4

        Because dealing with noises in automobile becomes more important, it is valuable to predict in-vehicle noise levels and use them for the product noise desig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use deep learning models for various types of data generated in automobile industry.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in-vehicle noise levels based on deep learning model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 framework that can predict in-vehicle noise levels and identify the causes of noises. Our framework is developed to recognize in-vehicle noise levels with automobile acceleration data from various locations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s. Our deep learning framework consists of several convolutional neural backbone networks to extract representation vectors for each acceleration axis. In addition, acceleration data are converted into a spectrogram through the short-term Fourier transformation technique, and high frequency bands in the spectrogram are removed to better represent the input data. We demonstrated that our proposed framework is suitable for predicting in-vehicle noises and identifying the major causes of noises. We expect that the explanation for prediction results will be helpful in the design low-noise vehicles.

      • KCI등재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고은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on teaching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MTS). The results show that (1) teachers thought they had competency in mathematical background and mathematical ability but did not have enough competency in pedagogical knowledge for MTS, (2) teachers did not feel the burden of their teaching mixed-ability class but did not design their teaching with consideration in MTS because of time limit and ordinary and disability students, and (3) about 28% teachers provide MTS with tasks prompting deep thinking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and about 22% teachers present MTS with problems beyond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한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일반학급 내에서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나 수학적 능력은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수학영재아를 지도하는 방법 및 기술과 관련된 교수학적 지식에 대해서는 충분한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교사들은 또한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에서 수학을 지도하는 것에 대해 크게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영재아를 위해 과제를 변형할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 일반학생과 수학부진아 지도 등의 교육여건으로 인해 실제로 수업을 계획할 때 수학영재아를 위한 구체적 지도계획을 세우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급 내에 있는 수학영재아를 배려할 때 약 28%의 교사만이 진도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과제를 제공하였으며, 약 22%의 교사만이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수학심화 문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