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금속판 내고정과 함께 시행한 비골 동종골의 내재골 이식술

        고은성,조덕연,이명형 대한골절학회 1995 대한골절학회지 Vol.8 No.1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occurs more frequently in older individuals who may have advancing osteoporosis, causing the bone to weaken, even with minimal force. And, most proximal humeral fractures respond satisf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But, operative treatment is recommended in the case that poor results are anticipated by the severe displacement and comminution. In older patient with proximal humerus fracture, there was some problem such as osteopomsis, absorption of cancellous bone, cystic formation, and weakness of the mechanical support, and it has difficulties in rigid fixation and early ROM. Four cases of displaced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in older patients over 50-year-old Treated by using plate k inlay fibular allograft from Apr. 1991 to Dec. 1993 were analiz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The foii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esults of these patients were rated by the Neer's functional criteria. Of four cases, three cases had excellent results, one case had satisfactory. 2. There was no allograft 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4 graft rejection. So, in treatment of proximal humerus fracture at old individual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nation with plating and inlay graft using fibular allograft was very useful method, and it resulted in rigid fixation, early ROM. and good functional result.

      • SCOPUSKCI등재

        Candida magnoliae에 의한 에리스리를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환경과 질소원 선별

        고은성,문관훈,한기철,유연우,서진호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0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6

        C. magnoliae M26을 이용하여 천연 감미료인 에리스리톨의 발효생산 환경의 최적화와 대량생산을 위한 산업용 배지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에리스리톨의 발효생산의 최적 조건은 28℃의 발효온도와 초기 pH 7 이었으며, 1 vvm, 500 rpm의 2.5 l jar-fermentor에서의 통기 조건이었다. C. magnoliae M26에 적합한 탄소원을 알아보기 위해 포도당, 과당, sucrose에 대하여 탄소원의 소비 경향과 에리스리톨의 생산성을 알아 본 결과, 포도당이 가장 적합했다. 에리스리톨의 효율적인 대량생산을 위해 전분가공공정의 부산물인 LSW와 CSL가 yeast extract대체 질소원으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체 질소원인 LSW와 CSL은 서로의 발효 양상과 결과는 거의 비슷했고, 대조 실험인 yeast extract 결과 (68.2 g/l)에 비하여 세포성장이 약 1.5배 정도로 세포성장은 촉진되었고 에리스리톨 생산성은 yeast extract결과 (0.966 g/l·h)의 약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에리스리톨 생산성을 보였다. 따라서 LSW와 CSL은 yeast extract 대체 질소원으로 산업화 공정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ulture conditions and nitrogen sources were optimized for production of erythritol, a natural sweetener, by Candida magnoliae M26.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found to be culture temperature of 28℃, initial pH of 7, aeration of 1 vvm and agitation speed of 500 rpm in a 2.5 l jar-fermentor. Glucose was chosen as the best carbon source based on cell growth and erythritol productivity. Light steep water (LSW) and corn steep liquor (CSL) which are by-products in starch processing from corn were tested as a nitrogen source substitute for yeast extract. The use of either LSW or CSL did not change the fermentation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LSW and CSL showed 1.5 times higher in cell growth and almost the same value inerythritol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fermentation using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ither LSW or CSL could be used as a nitrogen source in a large-scale fermentation for erythritol production.

      • KCI등재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 비교분석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중심으로-

        고은성,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8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ree leading delivery applications in Korea. As using of mobile Phone increases, the frequency of delivery applications is increasing.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problems in usabilities. So the usability of three Applications were analyz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s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a 7-point scale based on Honeycomb,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with in-depth interview, indicating what and why users overwhelmingly preferred delivery applica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enhance usability of all applications by analyzing the user experience of delivery applications, deriving the strengths of each vendor, applying them to all applications, and further applying the new technological ideas gained from interviews.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배달 애플리케이션 3곳을 비교분석 하기 위한 연구이다. 모바일 사용 증가에 따라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는 나날이 늘고 있다. 그런데도 사용성에서는 아직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이렇게 세 가지의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허니콤에 기반을 둔 7점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고, 심층 면접과 7점 척도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옴으로써, 사용자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며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가 있었다. 이 연구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각 업체의 장점을 도출시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고, 더 나아가 면담을 통해 얻게 된 새로운 기술적 아이디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와 사용성을 높이는 데 의의가 있다.

      • 한국과 호주의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

        고은성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호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자료와 가능성 영역 중 자료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주 교과서는 Year4에서 이원화된 표를 도입하고 표를 읽는 방법을 학습하는 차시에서 이원화된 표를 만드는 차시로 전개된다. 둘째, 호주는 tally mark를 별도의 차시로 구성하여 표 학습에서 이를 세기 전략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실생활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이를 표로 나타내는 차시에서의 교과서 발문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넷째, 호주는 막대그래프의 특별한 형태로서 Divided bar graphs를 도입하였다. 다섯째, 꺾은선그래프의 경우 한국 교과서에서는 꺾은선그래프 이전에 막대그래프만 학습한 상태이므로 두 그래프의 특징만 비교하나, 호주 교과서에서는 꺾은선그래프 이전에 다양한 그래프를 학습한 상태이므로 다양한 그래프와 함께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 초등수학 교수학습에서 수학적 교구의 역할 분석

        고은성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1 初等敎育硏究 Vol.32 No.2

        지금까지 초등수학 교수학습과 관련된 수학적 교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국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비교 연구,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형성 등 과 관련된 인지적 연구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등과 관련된 정의적 연 구 등이 대부분이었다. 수학적 교구가 수학 교수학습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밀도 있는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 습에서 교구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매개 역할을 하는 교과서 분석 및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교구의 분석을 통해 교구 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에서 교구의 역할은 크게 4가지, 계산 원리의 구체화, 구체물의 대리, 일상의 사물과 기하학적 도형의 가교, 학 습자 아이디어의 구현 및 확인 통로로 구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속 과제의 학습 경로 분석: 넓이와 부피를 중심으로

        고은성,이은정,황지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2

        With a significant role of textbooks in shap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textbook analysis is essential to reveal these opportunities to learn the concept of area and volume. This research aims to show how the Korean textbooks pace students’ learning of area and volume across grades by scrutinizing the textbooks with students’ developmental sequences, called learning trajectories. Tasks about area and volume in all Korean elementary textbooks (grade 1 to 6) are coded with the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suggested in learning trajectories. As a result, we find considerable misalignment between the textbooks and the learning trajectories. The textbooks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evelopmental progressions of area and volume later than ages suggested in the learning trajectories. In addition, learning opportunities are significantly concentrated in grade 5 for area and grade 6 for volume with heavy emphases on applying formulas of area or volume.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concerning design of textbooks as well as improving students’ opportuniti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s. 학생의 학습기회를 형성하는 데 있어 교과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교과서 분석은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학습 경로(learning trajectory)에 제시된 넓이와 부피 개념의 이해의 발달 단계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1~6학년의 수학교과서 속의 넓이와 부피에 관한 과제들을 그 과제를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사고와 행동을 기초로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발달 단계를 이용하여 코딩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과서 속의 과제와 학습 경로 간의 상당한 불일치를 발견하였다. 우선, 교과서는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나이보다 상당히 늦게 해당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넓이의 경우 5학년, 부피의 경우 6학년에 학습 기회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런 집중된 학습 기회도 개념의 발달보다는 넓이 또는 부피의 공식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 개발뿐만 아니라 수학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기회를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무작위성 개념 이해 조사

        고은성,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학교수학 Vol.12 No.4

        Understanding of randomness is essential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derstanding of randomness prompts to under- stand natural and social phenomena from the point of view of mathematics, and plays a role of base in understanding of judgments based on rational interpretation on these phenomen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e-service teachers reco- gnize this, and they understand randomness inclu- ded in various contexts. According to results, they did not have a understanding of randomness in the context related to measuring, while they gras- ped randomness in simple and joint events. This implies that they lack the understanding of varia- bility which is essential in the context of measur- ing.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the se- ttings of measuring should be introduced into pro- 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especially that data from measuring should be analyzed focusing on the variability in the data set. 무작위성 개념에 대한 이해는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수와 학습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다루어져왔다. 무작위성 개념은 자연현상, 사회현상을 수학적인 안목에서 이해하도록 하며, 합리적인 해석에 기초하여 이들 현상을 판단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이와 같은 기회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 맥락에 포함되어 있는 무작위성 개념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연현상의 단순사건과 복합사건에 내재된 무작위성 개념은 쉽게 파악하는 반면, 측정과 관련된 맥락에서는 무작위성을 적절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측정상황의 본질인 변이성 개념의 인식이 부족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 관련 지도 관점을 다룰 때 측정상황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변이성 개념에 비추어 이를 분석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