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성풍토와 집단수준의 조직시민행동, 개인수준의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다수준 분석을 중심으로

        고욱 ( Wook Ko ),문형구 ( Hyoung Koo Moon ),최병권 ( Byoung Kwon Choi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4 질서경제저널 Vol.17 No.2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 구성원의 직무성과, 직무태도에 중요한 영향변수로 고려되었고, 특히 조직시민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결과들이 제시되어지고 있다. 사회교환이론에 따르면, 조직에서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조직이 자신에게 기대하고 있는 역할 외의 부가적인 행동들, 즉 조직시민행동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동안의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을 다룸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는 개인수준의 인식과 태도(행동)을 다루고 있어 팀 단위의 업무맥락들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의 조직운영방식에의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 수준에서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을 다루고 있다. 즉, 집단수준에서의 분배, 절차, 상호작용 공정성풍토가 개인수준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루었고, 또한 개인수준의 조직시민행동에의 영향변수로 집단수준의 조직시민행동을 다루었다. 다수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집단수준의 변수들이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였고, 또한 개인수준에서 공정성 인식이 개인수준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수준의 공정성 풍토와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수준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수준의 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는 예측과는 달리, 절차공정성풍토가 낮은 경우에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Organizational justice is a field that is continuously studied because organizational justi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nd work attitude. Prior research on OCB i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level variables that affect OCB.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ffort to consider group-level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ies to fill the research gap by examining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alo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level justice perception and individual-level OCB.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showed a positive effect of justice climate on individual-level OCB, after controlling individual-level justice perception, an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up-level OCB and individual-level OCB. Surprisingly,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ttenu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such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perception and OCB was stronger when justice climate was low.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is more salient compared to the level of justice climate. 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of OCB and organizational justice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조직의 혁신지원풍토와 혁신행동

        고욱(Ko, Wook),오승영(Oh, Seung-Young),신민정(Shin, Min-Jeo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조직에서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는 구성원들의 혁신적 업무수행 및 업무방식이 바탕이 되어야 가능하다. 이에 조직 혁신의 바탕인 새로운 아이디어 발현, 이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구성원들의 혁신 행동의 영향요인, 결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 동안 혁신지원분위기를 다룬 연구는 부족하였고, 기업 조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도 부족하였다. 뿐만 아니라 혁신지원풍토나 혁신적 조직문화를 다룬 연구일지라도 단일 차원적(Uni-dimension)으로 접근하여, 각각의 하위차원이 혁신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이 느낄 수 있는 조직의 혁신지원풍토의 하위차원요소가 조직원이 수행하는 혁신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의 직접효과와 조직자긍심과 과업도전성을 조절 변수로 하여 혁신지원분위기의 하위 변수와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기업종사자 230명 및 직속상사 230명을 대상으로 한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혁신지원풍토 중 창의적 지원 및 혁신 보상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혁신지원풍토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과업도전성은 특히 창의적 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혁신 보상과 혁신행동의 관계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과업도전성의 중요성을 밝혔다. 셋째, 구성원들의 조직자긍심의 조절역할로, 특히 혁신보상과 혁신행동관계에서 조직자긍심이 높을수록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결과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혁신행동을 위하여 어떻게 조직풍토를 형성할 것인지, 직무설계 및 직무부여에 있어 구성원의 태도의 중요성과 조직에 대한 애착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Recently, continuous getting competitive advantage should be based on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 management and way of working. In line with this tre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emergence of idea,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considering innovation support climate and providing practical managerial implication. Even though innovation support climate research, there is no study considering multi-dimension of innovation support climate rather most of prior research used uni-dimension, which leads to have limitation each dimension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mpirically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dimension of innovation support climat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is study identifies boundary condition of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OBSE) and task challenge. That is the direct effect of innovation support climate which can b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BSE and task challe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support climate and innovative behavior. [Methodology] This study using 212 member-supervisor dyad with moderation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Firstly, creativity support and innovation-rewar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innovation behavior which was measures by supervisors. Secondly, task challenge showed the enhancing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reward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ly, OBSE also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such that high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reward showed when OBSE is also higher level.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 to make organization climate for innovative behaviors and the importance of job structure and assignment besides employees’ a affective attitudes towards their organization.

      • KCI등재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와 집단수준의 조직시민행동

        고욱(Wook Ko),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1

        그동안의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OCB)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수준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와 OCB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과 OCB의 관계에 대하여 다룸으로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최근 집단(팀)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조직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수준에서의 공정성풍토가 분배, 절차, 상호작용 유형에서 모두 존재하는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이러한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에 대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국내의 79개 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수준에서 분배, 절차, 상호작용공정성풍토가 모두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집단수준의 공정성풍토가 집단수준의 OCB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팀몰입은 상호작용공정성 풍토가 집단수준의 대인대상 OCB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가짐을 밝혔다. 특히 분배와 절차, 상호작용과 절차공정성풍토의 팀몰입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공정성과 OCB 연구의 분석수준을 집단수준으로 확대하였다는 점, 둘째, 여러 유형의 공정성풍토 및 팀몰입이 집단수준의 OCB에 대하여 갖는 긍정적 효과의 규명하였다는 점, 셋째, 집단수준에서의 팀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t a group-level. Prior researche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level. Hence,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level of analysis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organizations are recently adopting a team-based work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we tried to identify whether justice climate existed in all three types, namely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existed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s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we pioneered the underlying mechanism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ally, we examined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hose of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e sampled 79 teams from 17 Korean firms in several industries. The resul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rganization (OCB-O), and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individual (OCB-I). Also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I was significant.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between interactional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The positive influence of procedural justice climate on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was low. Also when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wa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was stronger. We provided here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we identified several types of justice climate and team commitment as antecedents of group-level OCB. Second, we expanded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group-level phenomenon. Also, we fou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climate and group-level OCB. We also presen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고욱(Wook Ko)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조직공정성은 모든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쏟아 온 주제이다. 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의 정도가 조직 속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지난 15여 년간 조직공정성에 대한 국내 경영학계의 연구는 인사고과, 보상, 조직변화 등 다양한 상황 속의 조직공정성을 다루어 왔다. 국내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돌이켜보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고민하는 노력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지난 15년간 이루어진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행동 및 인사ㆍ조직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총 62편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구성은 전반적 연구현황,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반적 연구 현황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을 연구 편수, 연구 유형, 연구대상 등을 기술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론ㆍ유형ㆍ연구형태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이론 및 유형, 연구의 형태 그리고 연구방법 등과 관련한 이슈 및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 조직공정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조직공정성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국내 실증 연구 결과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의 조직공정성 연구는 서구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첫째 조직공정성 이론의 활용에 있어 특정 이론에 치우쳐 있다는 점, 둘째 조직공정성의 유형 중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으나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조직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결과는 서구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서구 연구에 비해 다양한 결과변수가 연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의 향후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이론의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에 관한 다양한 이론의 활용,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이론의 개발, 조직공정성 유형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불공정성 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2) 조직공정성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조직공정성의 유형뿐만 아니라 조직공정성의 원천(공정성을 인식하는 대상, 즉 무엇에 대한 공정성인지)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정보공정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유형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3) 연구형태 측면에서는 조직공정성 유형들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정성적 연구의 필요성, 분석수준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4) 마지막으로 실질적 분석에서는 조직 공정성의 다양한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예를 들면 스트레스 혹은 직장 가정 갈등), 조직공정성의 선행 요인에 대해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 조직공정성 인식 및 결과에 있어서 개인차와 감정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맺음말에서는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향후 과제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Organizational justice is a topic that has drawn much attention by all areas of social sciences. The great influenc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has on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is cited as the main reason for this heightened interest. For the last 25 years, domestic research has studied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context of many areas, such as performance appraisal, compensation and organizational change. Domestic literatur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but has suffered some qualitative flaws. Specifically, there is an absence of research that critically reviews past studie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critically examine the past 25 years of domestic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us present a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62 studies on organizational justice, drawn from academic journals 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ur system of analysis consists of a general overview of the research; an analysis of the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a substantive analysis. In the general overview, we describe a number of trends found in the past 25 years of research, according to quantity, research type, and subject of research. In the analysis of theories, models and dimensions, we consider the relevant issues and limitations regarding the theories, dimensions, study models and research methods for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substantive analysis, we prese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focusing on aspects such as antecedents &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ediating and/or moderating effects of justice,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y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that distinguish domestic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from its Western counterpart. First, the research tends to focus on certain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instead of covering a wider range. Second,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re actively discussed, while there is virtually no mention of informational justice, which is highly relevant today. Third, while the research regar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have yielded similar results domestically and in the West, domestic studies on the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re relatively weak. In this study, we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1) Theory-utilize a wide arra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develop theories that are tailored to domestic circumstances within Korea,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injustice; 2) Organizational Justice Types-conduct research that encompasses both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and the sources of justi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justice inquiry), commence studies on informational justice, and improve the tools that are us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justice models; 3) Research Models-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ffects among different organizational justice types, recognize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expand the breadth of analysis; and 4) Substantive Analysis-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following topics:the various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such as stress or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justice antecedents, the effect of personal differences and emotion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implications of societ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justice. In conclusion, we summarize the issues that will need to be addressed in f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