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도(珍島) 용장성(龍藏城)의 구조와 성격

        고용규(Ko Youngky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3

        진도 용장성(龍藏城)은 13세기 말 삼별초군이 여몽연합군을 상대로 치열한 투쟁을 전개하였던 대표적인 항몽유적지로 알려져 있다. 고산자 김정호(金正浩)가 삼별초군이 진도에 도착한 후 궁전과 성곽을 축조하였다는 견해를 밝힌 이래 지금까지도 별다른 문제제기 없이 통용되어 왔다. 진도 용장성은 1985년 지표조사를 통해 대략적인 분포현황이 파악된데 이어 1989~2017년 본격적인 학술발굴조사를 통해 土壘로 축조한 내성(宮城·宮牆)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물지를 비롯하여 석성(石城)으로 된 외성(羅城)과 제사유적 등이 확인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유구(遺構)와 출토유물 등 고고자료의 분석을 통해 용장성의 축조시기와 사용 시기를 검토하고, 각 시기별 기능과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성(宮城·宮牆)은 외성 남벽구간의 협소한 곡간지(해발 57~90m)에 둘레 425m, 높이 1.5~2m 규모로 둘러싸고 있는 석심토축(石心土築)의 토루(土壘)와 3m 높이의 축대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 장장형의 내부는 남고북저형의 곡간지를 18단의 계단식으로 정지하여 구획한 후 건물을 배치하였다. 본래 9세기 말~10세기 초의 나말여초기에 창건하여 운영되어 온 금사사(金沙寺) 또는 대사(大寺)의 산지가람(D·E·F·P·G·H·I·M지구 하층)을 1270년(원종 10) 삼별초군의 진도 입거 이전에 폐쇄하거나 일부를 개조하고, 공간을 대규모로 확장하여 59개소의 건물을 배치하였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들 건물지는 사전기획에 따라 왕의 거주공간(A지구)과 회랑(B지구), 제사를 지내던 의례공간(P지구), 숙소공간(K·L·G지구), 취사공간, 기타 건물지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물들이 체계적인 배수 및 동선체계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성(羅城)에 해당하는 산성(山城)은 문헌을 근거로 복원한 규모는 둘레 38,741자(18.1km), 높이 5자(2.3m)이다. 그러나 바다와 접하고 있는 북벽과 서벽 및 동벽의 일부는 만을 제외한 곶(串)지형에만 축조한 까닭에 실제 규모는 13km이다. 협축법(夾築法)으로 축조된 석성으로 동벽과 북벽, 제2서문지에서 출토된 「계묘삼월대장혜인(癸卯三月大匠惠印」명(銘) 기와와 공반유물로 보아 1243년(고종 30) 무렵에 축조되어 해도입보(海島入保用) 산성으로 활용되다가, 삼별초군의 진도 입거와 더불어 용장성의 외성으로 기능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진도 용장성은 내·외성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의 도성체제(都城體制)를 갖추었으며, 이듬해 5월 여몽연합군의 공격에 의해 폐쇄되면서 기능을 다한 것으로 보았다. Jin-do(珍島) Yong-jang-seong(龍藏城) is known the famous remain from the battle between Sam-byul-cho and Koryeo-Mongolian combined forces. Since Kim Jeong-ho said his opinion, (That Sam-byul-cho built the palace and castle after they arrive Jin-do) it has accepted to present days. The distribution status of Jin-do Yong-jang-seong was found by field survey in 1985. And also from excavations in 1989~2017, they have found inner castle(內城) made with to-roo(土壘), various building relics, the outer castle(外城) with form of stone fortress and ritual site. This thesis will go over the time that Yong-jang-seong has build and used, with the archeological relics and structure of the castle. The inner castle(內城, 宮城, 宮牆) is built in valley areas in southern wall of outer castle. It consists of to-roo(土壘) with 425m in circumference, 1.5 to 2m in height, 3m high embankment. The buildings are arranged in a terraced way on south high north low type valley. Originally, it was the mountain located temple(山地伽藍)(The low layers of district D·E·F·P·G·H·I·M) of kum-sa-sa(金沙寺) or dae-sa(大寺). And it has already closed or remodeled some parts, and expanded the space and built 59 buildings. These building relics such as the living space of the King(district A), the corridor(district B), the space for rituals(district P), the space for lodgings(district K·L·G), and the space for cooking are organically connected by advanced planning. The outer castle(外城) or mountain fortress(山城), is restored based on the books. The size of restored outer castle is 18.1km in circumference and 2.3m in height. But, the castle is only built on cape, excluding the bay in northern, western and eastern wall. So the actual size of castle is 13km. Also can see this castle was build about 1243, from the stone fortress in eastern, northern walls are constructed by the form of Hyubchuk-bup(夾築法) And 「kye-myo-sam-wol-dae-jang-hye-in」(癸卯三月大匠惠印) roof tile, found in the site of second west gate. Originally, this castle was build as stone fortress for resettlements in island(海島入保用 山城), but after Sam-byul-cho entered, it used as the outer castle of Yong-jang-seong. So Jin-do Yong-jang-seong has form of capital city, composed with two castles. Yong-jang-seong has ended it’s facility by the attack of Koryeo-Mongolian combined fo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