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력 주제 STS 웹 기반 수업 자료 개발

        고영준,최준섭,유재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web-based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nstruction materials of which subject is the wind pow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four phases, that i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The developed instruction material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Study will be able to use not only for Creativities class but also for instructions' the depth and supplemental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one STS Web-bas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s follows;First, the instruc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with the utilization of the STS integrated approach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student's thinking skill. Second, the instruc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so that it would be easily accessible for all students to stud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ird, according to the class procedures of instruction, development, consolidation, and evaluation phases, a package of instruc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diversely, for teacher to make instructional design, flash files, handouts and referential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풍력 주제 STS 웹 기반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개선의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으며 고등학교 재량활동시간 뿐만 아니라 풍력과 관련된 과학, 기술, 사회 교과의 보충ㆍ심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고등학생용 풍력 주제의 STS 웹 기반 수업 자료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확산적인 사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과학, 기술, 사회과 연관된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습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교사가 수업 진행시 도입, 전개, 정리, 평가의 학습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안, 교수-학습 내용, 학습 활동지,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였다.

      • KCI등재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교육의 인식론

        고영준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2 No.2

        Hegel's epistemological view is the theoretical approach that i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knowledge in terms of education as a self-determining activity(Bildung) in which the concept comes into being and develops its proper meaning and character. In this regard, his epistemological view can be called 'epistemology of education'. In contrast, Kant's view can be called 'epistemology of reflection'. For, it is an approach that is to elucidate the concept by analyzing generally admitted knowledges and inferring their 'condition' of how they are possible, in a regressive but critical way. In this way, it confirms that they can be established only on a pirori condition of Reason(Vernünft)'s Idea which is the unknowable beyond them, and then they are valid only on objects within the boundary of experience, not on knowing-subject itself. On the contrary, the epistemology of education is to expose that each of which were determined as object-knowledges by such negative reflection can regain its original identity in terms of mind's sequential hierarchy form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In this exposition, Hegel reviews each of them as a moment abstracted out of the sequence of Consciousness(Bewusstein)' developmental movement through self-negation or self-test, returns it into the original state and thereby reveals it as a turning point in the sequence in which it awakens Reason implicit in itself and, through Reason's own conceptual thinking, knows itself as Spirit(Geist). And finally he shows up that the original identity of all the object-knowledges is Reason's self-knowledge of which the content is Spirit's Science(Wissenschaft)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헤겔의 인식론은 지식의 개념을 교육의 과정에서 그것이 어떻게 생성되고 발달하게 되는가에 비추어 해명하려는 이론적 시도이다. 이 점에서 그것은 ‘교육의 인식론’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고, 칸트의 비판철학을 정점으로 한 헤겔 이전의 인식론, 이 글의 용어로는 ‘반성의 인식론’과 명백히 대비를 이루는 것이다. 즉, 반성의 인식론에서는 우리가 객관 타당한 인식으로 간주하는 어떤 ‘인식의 사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반성함으로써 그것에 비추어 지식의 개념을 해명하려고 한다. 반면에, 교육의 인식론에서는 반성의 인식론에서 제시하는 모든 지식의 관념은 교육의 과정에서 확인되는 ‘마음의 발달계열’에 상응하여 위계를 이루는 경우에만 본래의 의미와 정당성을 보장받는다는 것, 교육의 과정에서 확인되는 진정한 의미의 인식은 ‘개념적 사고’를 핵심으로 하는 ‘이성의 자기인식’이고 이 자기인식의 내용은 ‘정신 수준의 학문체계’라는 것을 해명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헤겔의 교육의 인식론은 반성의 인식론에서처럼 ‘지식’과 ‘지식획득활동’ 또는 ‘지식’과 ‘지식획득과정’을 구분하여 후자를 전자가 전달되는 ‘통로’나 ‘매개체’로 간주하는 경우에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의 핵심적 측면, 이를테면 ‘자기검사를 통한 발달’의 측면과 ‘이성의 자기지식’의 측면을 드러낸다.

      • KCI등재

        책임성 기제의 재선에 대한 영향과 정치적 경쟁의 조절효과: 투명성과 청렴성을 중심으로

        고영준,김지연,이한 서울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3 No.4

        The accountability mechanism that operates 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is supplemented not only through the election system but also through a system based on transparency and anti-corruption, thereby achieving democracy and efficiency. In addition, the process of accountability mechanism can be different in complex political interest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level of transparency and anti-corruption of local governments on re-ele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tical competition for the incumbent heads of local governments who ran in two local elections (6th and 7th). As a result of the study, transparency ha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re-election, while anti-corruption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re-election and vote share. In addition, political competition controlled the impact of transparency and anti-corruption on re-election, respectively. Fin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and anti-corruption, this study present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ccountability mechanism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대의민주주의는 선거제도를 바탕으로 임기 내 성과에 대한 책임을 물음으로써 민주성과 능률성을 달성한다. 그러나 책임성 기제는 선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투명성과 청렴성 등 규범적으로 강조되는 가치에 근거를 둔 제도를 통해 보완된다. 또한, 복잡한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책임성 기제의 작동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기의 지방선거(제6회, 제7회)에 출마한 현직 기초단체장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투명성과 청렴성 수준이 재선에 미치는 영향과 정치적 경쟁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투명성은 재선 당선 여부에 부(-)의 관계가 나타난 반면, 청렴성은 재선 당선과 득표율에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정치적 경쟁은 투명성과 청렴성의 재선과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투명성과 청렴성의 차별적인 특성에 초점을 두고,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기제와 정치적 환경에 관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쌍곡선 실린더형 반사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시스템 및 차량용 AVM 시스템을 위한 영상 보정 알고리즘

        고영준,이수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Around-View Monitoering (AVM) system that displays images around the vehicle in real time in order to assist driver's safe driving is being studied. In order to acquire images around the vehicle, a method of stitching image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s generally used. When multiple cameras are used, the load on the hardware and software side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ing system that can obtain a wide angle of view using a single camera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The proposed imaging system is a catadioptric imaging system using a hyperbolic cylindrical reflector with a camera.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image at a single view point in which the viewpoint of the image is fixed by designing the reflector in hyperbola form. If a hyperbolic cylindrical reflector is used, severe distortion is seen in the image. In order to get rid of the distortion, a geometric optics model of the image system was constructed, and an algorithm for reconstructing the image with the bird's-eye image through the optical tracking process was designed and tested.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차량 주변을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AVM(Around-View Monitoering)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합하는 과정을 사용한다. 다수의 카메라를 운용하게 되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의 부하가 많아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보다 넓은 화각을 얻을 수 있는 영상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영상 시스템은 카메라와 함께 쌍곡선 실린더형 반사체를 이용한 굴절 반사(catadioptric) 영상 시스템이다. 반사체를 쌍곡선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영상의 시점이 고정된 단일 시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쌍곡선 실린더형 반사체를 이용하게 되면 영상에 심한 왜곡이 나타나게 된다. 왜곡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 시스템의 기하 광학 모델을 구축하고, 광 추적과정을 통하여 조감도 영상으로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KCI등재

        자기복조 효과를 이용한 초지향성 음향트랜스듀서 제작

        고영준,남효덕,서희돈,장호경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4 No.9

        Higher directivity acoustic transducer using the self-demodulation effect was fabricated. The structure of transducer was designed such as dimension and support typ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vibrating metal plate, and the housing case. Based on the design, the transducer was fabricated and measured its acoustic characteristics. Also, AM modulated driving circuit was designed for using the self-demodulation effect. The piezoelectric sounder with 200kHz resonant frequency and 20kHz bandwidth wa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sharp directivity and the sound pressure. The design and fabrication method work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development of various speakers with higher directivity and broader bandwid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