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日本の障害者條例 - 偏見と差別に対する法の役割 -

        고영아 ( Goh Youngah ) 아세아여성법학회 2018 아세아여성법학 Vol.21 No.-

        日本では障害者差別解消法が制定される前から、多くの地方公共団体が障害のある人もない人も共に暮らしやすい社会づくりを目指して、障がい者差別を禁止する条例をつくってきた。 条例では、法律で定められていない部分についても定めることができ、法律より強い実効性をもたらす規定を置くことも可能である。しかし、このような条例の実施には慎重にならなければならない。 多くの条例では障害を理由とする差別を禁止するだけではなく、障害のある人もない人も共に暮らしやすい社会づくりを目標としている。十分な理解なしで禁止するだけでは、障害のある人への差別と偏見はなくならない。どのような行為が障害への差別あるいは不利益をもたらす行為なるのか、合理的な配慮はどのような範囲でなされるべきか、みんなが協議して納得できる基準をづくていくことが求められる。 In Japan, the Act for Eliminating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enacted by the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06, but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first ordinance was enacted in Japan in 2006, and since then, man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enforcing the ordinance of prohibiting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ith the aim of creating a society where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n live together. This move has also had a major impact on the Act on Removing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 with Disabilities enacted in 2013. In the ordinance,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any parts that are not prescribed by the law,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y regulation that makes it more effective than the law. However, it should be cautious to implement an ordinance. Many ordinances prohibit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disability, but also aim to create a society where non-disabled people can live together.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do not disappear just by forbidding suc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without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issues about what kind of behavior is an act that brings discrimination or disadvantage to the disability and to what extent the reasonable consideration should be don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that can be discussed and understood by all of them.

      • 일본에서의 고령자의 경제적 안정을 위한 지원의 현상황과 과제

        고영아 ( Goh Youngah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7 아세아여성법학 Vol.20 No.-

        근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고령자의 빈곤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로 되고 있다. 고령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주거의 안정과 생활비의 확보가 불가결하다. 고령자의 주거에 대한 지원책으로서 서비스형 고령자주택제도는 최소한의 서비스도 제공받지 못하는 고령자수가 감소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다. 고령자를 위한 취로지원은 각 연령에 맞는 취업교육이나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행정 측의 지원체제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것이 필요하다. As the aging rapidly progresses in recent years, the poverty problem of the elderly becomes serious social problem. To stabilize the lives of the elderly,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ir housing and living expenses. As a support for housing for the elderly, the serviced housing for the elderly system is positive in the aspect that the numbers of the elderly who are not provided with the least services will be reduced. Work support for the elderly should be smoothly linked to employment education suitable for each age group and communit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ill clearly establish a support system.

      • 한국의 저출산,고령사회 정책과 여성의 권리

        고영아 ( Youngah Goh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5 아세아여성법학 Vol.18 No.-

        한국의 인구정책은 시대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의 베이비 붐에 의하여 인구가 급격히 늘자, 한국에서는 1962년부터 국가사업으로 가족계획정책을 실시하였다. 초기 가족계획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인구증가를 억제하였지만, 이에따라 성비불균형이 나타나, 1990년대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책으로 목표가 변화하였다. 한국 정부는 2005년에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설치하여, 5년마다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책정하게 되었다. 이 기본계획에는 ①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② 기간별 주요 추진과제와 그 추진방법, ③ 필요한 재원의 규모와 조달방안, ④ 그 밖에 저출산·고령사회정책으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10년 동안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여 왔지만, 그다지 효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오랫동안 계속된 초저출산은 고용불안정에 의한 만혼·비혼의 증가와 가사·육아의 부담을 떠안은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 어렵기 때문이다. 저출산, 고용불안정, 고령화 등의 문제는 각각이 개별적인 문제가 아니라 전부 연결되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시적인 보조금 지원보다 정규직을 늘리고, 여성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 또한 육아의 책임을 여성에게만 맡기지 않고, 육아기의 근로시간 단축 등을 남녀에게 모두 인정하고, 출산·육아 휴가나 육아기의 근로시간 단축제를 이용하는 근로자에게 나쁜 평가를 하지 않도록 철저히 감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Korean population policy has changed with the change of times. Korean government carried out Family Planning since 1962 caused by increase in population by baby boom after the Korean War. The target of Early Family Planning was to control increase in population. But the goal of today is increase of population. In 2005,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asic law of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and has carried out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every 5 years. This Plan must include ① the basic goal of Low Birthrate, Aging Society Policy and it`s enforcement, ② main purpose of the Policy subjected by period, scale and means of the basic plan, ③ fund of the basic plan, ④ other accredited items necessary to ``the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In spite of various policies and enormous budgets for 10 years, the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has not attained its sufficient level of Childcare. What is most important, is to secure the conditions of working wome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인쇄광고의 정보내용, 크리에이티브전략, 표현요소별 유형에 대한 내용분석

        이철영 ( Chull Young Yi ),고영아 ( Youngah Go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지자체를 알리기 위한 광고홍보 활동은 지역정체성과 이미지 제고 차원을 넘어 경영자립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도시마케팅 광고는 기업의 그것과는 성격상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브랜드 광고에서 활용한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 최근 2년간 집행된 지자체 인쇄광고물 250점을 대상으로 5가지 차원의 41개 분석유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자체 광고는 이성적 사실정보 중심으로 일반소비자 또는 자치단체장 위주의 모델을 활용하고, 문화관광상품, 투자산업유치 내용을 주장제안과 단정적 헤드라인 형태의 사실주의적 비주얼로 주로 표현하고 있다. 최근 지자체 광고캠페인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서 아직 단순 정보제공 또는 사실고지 수준이며, 지자체 특색이 광고표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자체 브랜드 홍보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보다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표현을 실행해야 지자체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목적에 좀 더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purpose is to analyze creative elements and strategies of advertising campaigns of local governments and to suggest proper measures to improve public relations marketing communications effects. 250 ad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sampled from for the content analysis with 41 analysis items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advertising appeal, creative strategy, advertising model, information content, and creative style. As results, local government advertising are in large informational in that they try to deliver information about cultural tourism goods or investment industry attraction through direct headlines in realistic visuality. This demonstrated that advertising for local self-government are rather simple in that they tend to provide information, but do not seem to take much into accounts local characteristics in their creative 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local government ads need to be much improved to differentiate from the competitors and to contribute more to what`s required in attaining the overall marketing communication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