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기도 이천 안흥사(安興寺)와 이천향교(利川鄕校)의 역사와 인물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경기도 이천 안흥사와 이천향교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안흥사는 경기도 이천(利涉大川)의 안흥동과 갈산동의 경계에 있던 절이다. 통일신라 말 내지 고려 초기에 세워져 고려시대 내내 흥성하다가 고려 말엽 내지 조선 초기에 폐사된 사찰로 추정된다. 이 절터에는 통일신라 말 내지 고려 초기에 세워진 5층 쌍탑이 있었다. 안흥사는 이들 고층 석탑 조성의 상황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는 상당한 사격을 지닌 거찰이었음이 분명하다. 이곳에는 고려 초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고승들과 관련된 인물이 주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걸쳐 경기 남부지역의 정치 문화적 기반은 대개 경기 북부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 특히 고려초기 이래 개성과 한양을 아우르고 있는 경기 북부는 양주의 도봉원(영국사, 법안선 惠炬)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고, 경기 남부는 여주의 고달원(고달사, 봉림산문 璨幽)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 서산 보원사(화엄학 坦文)와 문경 희양원(봉암사, 희양산문 兢讓)은 고려 태조 이래 광종에게 큰 영향을 준 사찰들이었다. 안흥사 또한 당시 고려 불교계의 주축이었던 화엄학과 선학 및 법안선풍을 주도한 고승들과 일정한 관계 속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천에는 여러 인물들이 있지만 역사성을 남긴 인물로는 서신일(徐神逸), 서필(徐弼), 서희(徐熙, 942~998), 서눌(徐訥), 서원(徐遠), 서공(徐公)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서필은 신라시대 서신일의 아들인데 광종(光宗) 때 활동하였다. 그는 광종 때에 벼슬이 내의령(內議令)에 이르고 정민(貞敏)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개국공신으로서 성종 13년(994)에 광종의 묘정에 유신성(劉新城)과 함께 배향되었다. 또 서희는 조선후기에 이관의(李寬義)와 김안국(金安國)과 함께 설봉서원에 배향되었다. 불교 성소였던 안흥사터를 고려 창왕 때(1389) 유교 성소로 탈바꿈시킨 현감 이우(李堣)는 이곳에 안흥정사를 지어 학생들을 모으고 강학을 시작하였다. 조선 태조 때(1401) 감무 변인달(邊仁達)은 이곳 서북부 1리에 이천향교를 지었다. 전의(全義) 이세관(李世珤)은 이천에 애련정을 지어 한양 주변의 지식인들을 불러와 이곳을 살롱(The Salon)으로 만들었다. 경기 남부의 이천 안흥사가 안흥정사(安興精舍)를 거쳐 이천향교가 된 이래 이 공간은 지금 유교의 성소로 기억되고 있다. 이곳의 당간지주석이 사라지고 오층 석탑이 경복궁과 일본의 오쿠라 슈고칸(大倉集古館) 정원으로 반출된 이후 이곳이 더 이상 불교의 성소임을 환기시켜 내지 못하고 있다. 1998년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2004년 중앙문화재연구원이 이곳을 발굴 조사할 때 ‘안흥사’(安興寺)라고 새겨진 기와 명문(銘文)이 출토되어 여기가 절터임을 확인해 줄 뿐이다. 시절 인연이 도래하여 용산 국립박물관에 반출되어 있는 석탑뿐만 아니라 일본으로 반출된 석탑 모두가 안흥사지로 되돌아와 안흥사의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염원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Anhung Buddhist Temple and Ichun Hyang-gyo, at Ichon, Gyeong-gi province and the leading figures associated with it. Anhung Buddhist Temple was located in the city of Ichon on the border of Anhung-dong and Gilsan-dong.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establish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or early Goryo dynasties, prospered for hundreds of years, and was then abandoned during the late Goryo or early Chosun dynasties. It had twin five story stupas that are assumed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Unified Silla or early Goryo dynasties. Because of their size, this temple is considered to be a mega-sized temple and to have been relatively important. It is also believed that it must have had high priests residing in it, who were influential in the Buddhist circle during the early Goryo dynasty. Considering the political-cultural situation at the time, it is assumed that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Gyeong-gi province would have been closely related. It is also assumed that Dobongwon Temple (also known as Young-Gook Temple, represented by Bubansun Hyegeo) was dominant in the north, and Godalwon (also known as Godalsa Temple, represented by Chanyoo of Bonglim-Sanmum) took the lead in the south.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Seosan Bowon Temple (represented by Tanmoon of the Huayan school) and Hui-yang-won in Moon-gyong (also known as Bong-am Temple, represented by Gung-Yang of Hunyang-Sanmoon) were temples that were greatly influenced by King Gwang-Jong, after the founding of Goryo by King Tae-Jo. Anhung Buddhist Temple would have had good connections with the high priests of the Huayan, Seon, and Buban Seon schools, who led the Buddhist circle of Goryo. Some of the famous leading figures in the history of Ichon include Shinil Seo, Pil Seo, Hee Seo, Nool Seo, Won Seo, and Gong Seo. Pil Seo was a son of Shinil Seo. He lived during the Silla dynasty and was active in the era of King Gwang-Jong. He rose to the government position of Nae-Ui-Ryong and was given the posthumous name of Jungmin after being enshrined in King Gwang-Jong’s shrine as a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the dynasty in 994 (the 13th year of King Sung-Jong) with Shinsung Yoo. Hee Seo was enshrined in the Seol-Bong school with Gwan-Ui Lee and An-Gook Kim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Hyungam of the municipal government, Woo Lee, turned the site of the Anhung Buddhist Temple into a Confucian shrine and named it the Anhung school. Soon afterwards, he gathered students and started to lecture in 1389, during the era of King Chang of Goryo. In 1401 (the era of King Taejo of Chosun), Gamboo In-Dal Byun founded Ichon Hyang-Gyo at the same site, the 1st Ri of the north western region. Junee Se-Gwan Lee built Ae-Ryun-Jung and converted it into a Salon, a place where intellectuals who lived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could meet and converse. From the moment the Anhung Buddhist Temple became Ichon Hyang-Gyo, it was recognized as a sacred place for Confucians. The supporting rocks for the temple flag pole had disappeared, and the stupas were relocated to other sites; one of the five-story stupas was sent to the Gyong-Bok Palace, and the other to the garden of Okura-Shugokan in Japan. Since that time, there has been nothing to remind us that the place was previously a Buddhist sanctuary. It was only verified as a Buddhist temple site when roof tiles with the inscription of the Anhung Buddhist Temple were excavated in 1998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in 2004 by the Central Heritage Administration. I hope Anhung Temple can be restored by having everything returned to the original site.

      • KCI등재후보

        효성 조명기의 불교사상사 연구 -"총화론"과 "화쟁론"을 중심으로-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3 No.-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학자이자 불교학자였던 효성 조명기(曉城趙明基, 1905~1988)는 평생을 한국의 인문학 불교학 발전을 위해 온몸을 바쳤다. 그는 원효 저술의 발굴과 『원효전집』의 편집 출간, 『고려대장경』의 영인 간행과 『한글대장경』의 기획 편찬 등 불교연구의 기초자료인 서지류(書誌類)와 금석문(金石文) 발굴과 집성을 위해 생평을 보냈다. 효성은 신라불교와 고려불교에 대한 깊이 있는 논저를 출간하여 이 분야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원효학 연구의 기반을 다졌고, 의천학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 아울러 효성은 불교사상사와 불교문화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여 한국불교사상사 정립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으며, 불교의 유신과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던 만해의 글들을 집대성하여 『한용운전집』을 편찬하였다. 효성은 불교의 중도론을 화(和)와 쟁(諍)의 연동적(連動的) 인식에 의한 ‘총화사상’ 또는 ‘통화사상’으로 파악하고 원효의 화쟁에 상응시킨다. 그는 붓다의 중도법문을 ‘총화론’과 ‘화쟁론’을 통해 한국불교사상사를 탐구하면서 한국불교를 ‘대소승을 초월한 통불교’로 파악하였다. 효성은 육당의 ‘결론적 불교론’을 심화 확장하여 통불교론으로 더욱 발전시켰다. 그의 통불교론은 이후 한국불교의 성격 규명에서 주요 담론으로 자리하게 되었으며, 김동화, 이기영, 안계현, 김영태 등으로 계승되었다. 효성의 총화론 또는 화쟁론은 역동적인 개념이며 진행형의 개념이다. 그는 원효의 화쟁론을 총화론 혹은 통화사상으로 재해석하여 불교 즉 한국불교의 성격 혹은 한국불교사상의 특질로 규정하였다. 그리하여 효성은 한국불교사상사를 총화론 혹은 화쟁론의 시각에서 조망하고 있다. 효성은 해방직후 경봉, 용담, 석주 선사를 비롯해 이종익, 장상곤 거사 등과 함께 불교혁신운동에 동참하였다. 그는 일제강점기를 지나오면서 왜색화 된 한국불교 개혁에도 앞장섰다. 그 뿐만 아니라 효성은 동국대학교의 남산 교사 이전에 결정적 물꼬를 열었다. 이어 그는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동국사상연구회의 발족, 불교문화연구소의 개소, 한국불교 학회의 창설 등 불교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또 효성은 경기대학교의 전신인 조양 사범전문학교를 개교하여 행정과 경영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와 교육 및 행정과 경영 모두에서 역량을 보여주었다. 만년에 효성은 사단법인 한국불교문화연구원을 개원하여 저술에 매진하였으며 『한국불교사학대사전』과 『불교학대사전』 편찬을 위해 노심초사 하였다. 그는 장경호 거사가 설립한 불교계 최초의 교양대학인 대원불교 대학 학장을 맡아 재가불자 교육에도 일익을 담당하는 등 불교대중화 운동에도 관심을 가졌다. 효성은 이러한 불교 대중화뿐만 아니라 『불교학대요』와 『불교학사략』 등을 저술하고 간행하여 마지막까지도 한국불교학 발전을 위한 정진의 고삐를 내려놓지 않은 대학자였으며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The representative human science scholar and Buddhist scholar, Hyoseong Jo Myeong-Gi (1905~1988)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Study. He spent his whole life to discover the book of Wonhyo, edit & publish 『Wonhyo Collection』, photoprint & publish 『Goryeodaejanggyeong』 and plan & compile 『Korean Daejanggyeong』.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the discovery and collection of bobliography class(書誌類) and epigraphy sentence(金石文), which are basic data for Buddhist study. Hyoseong published in-depth thesis about Sinra Buddhism and Goryeo Buddhism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the field study. In this way, he firmed the foundation of Wonhyo Science Study and enlarged the base of Uicheon Science. Furthermore, Hyoseong enlarged the horizon of the study on Buddhist philosophy history and Buddhist culture history to play the pivotal role for establishing Korean Buddhist philosophy history. He compiled 『Han Yong-Un Collection』 by collecting the books of Manhae who devoted himself to the reformation of Buddhism and people`s independence. Hyoseong interlocked control harmony theory the middle way control harmony theory the middle of Buddhism with harmony(和) and controversy(諍) and grasped it as ‘total harmony theory’(總和論) or ‘control harmony thoweory’(統和思想) and matched it with Wonhyo`s harmony controversy. He researched Korean Buddhist philosophy history through ‘total harmony theory’ and ‘harmony controversy theory`` which are Buddha`s the middle way embrace Buddhism(中道法門) and grasped Korean Buddhism as ‘integration Buddhism(通佛敎) transcending Mahayana and Hinayana doctrine``. Hyoseong deepened and expanded ``concluding Buddhism theory`` of Yukdang` and developed it into integration Buddhism theory. His integration Buddhism theory became the main discussion in the proces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in the future and it was succeeded to Kim Dong-Hwa, Lee Ki-Young, Ahn Gye-Hyun, Kim Young-Tae, etc. Hyoseong`s total harmony theory or harmony controversy theory is a dynamic and on-going concept. He reinterpreted Wonhyo`s harmony controversy theory as total harmony theory or integration harmony thought(統和思想) and regulated it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or Korean Buddhist thought. Therefore, Hyoseong considered Korean Buddhist philosophy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total harmony theory or harmony controversy theory. Right after liberation, Hyoseong participated in Buddhism Reformation Movement along with Priest Gyeongbong, Yongdam and Seokju and Layman Lee Jong-Ik and Jang Sang-Gon. While passing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he led the reform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was changed into Japanese style. In addition, he triggered the movement of Namsan school building of Dongguk University. After that, he became the principal of Dongguk University and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by beginning Dongguk Thought Research Institution, opening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founding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In addition, Hyoseong founded Joyang Teacher`s School, which was a former body of Kyonggi University, participated i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showed his ability in study,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In his later life, he opened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to devote himself to writing. He made his best to compile 『Korean Buddhist History Dictionary』 and 『Buddhist Science Dictionary』. Hyoseong was a principal of Daewon Buddhist College, which was the first Buddhist college founded by Layman Jang Gyeong-Ho and played the partial role in the education of lay disciples. In this way, he paid attention to Buddhism Popularization Movement. Besides the effort for Buddhism popularization, he wrote and published 『Bulgyohakdaeyo』and 『Bulgyohaksaryak』 and he made constant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Study.

      •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란 무엇인가? ― 분황 원효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8 불교 철학 Vol.2 No.-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 元曉, 617~686)의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을 ‘일심지원’(本覺)과 ‘일심’(眞如)의 기호를 통해 구명한 글이다. 우리는 고타마 붓다가 보여준 자유롭게 사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불자이자 불제자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오늘 이곳에서 보다 더 자유롭게 살수 있을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중생인 우리와 부처인 고타마의 거리를 최소화시키고 무화시킬 수 있을까? 우리의 깨침 혹은 깨달음 담론은 신라의 원효가 보여준 활로를 통해 조금씩 다가가 볼 수 있었다. 원효는 일심지원과 일심, 본각과 진여의 구도를 통해 중생과 부처가 하나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중생이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진여문과 생멸문, 즉 구극적 진리와 방편적 진리를 아우르는 일심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함을 몸소 보여주었다. 그는 내가 있다는 ‘작은 나’[有我]를 넘어서 내가 없다는 ‘덜 큰 나’[無我]를 거쳐 내가 있다와 내가 없다를 넘어선 ‘더 큰 나’[大我,眞我]를 향해 나아가는 길이 곧 부처와 중생이 하나되는 길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일심지원’ 즉 ‘비인비과로서 일심’인 ‘본법으로서 일심’으로 적멸으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아우르는 것이었다. 원효가 일심지원과 일심을 상통하면서도 상이한 것으로 파악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그는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차이성을 강조하면서도, 여래장과 일심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일심과 여래장의 차이성을 분명히 하였다. 대개 ‘수행을 하지 않는 중생이 부처’라고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또 ‘부처와 중생은 분명히 다르다’고만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때문에 ‘수행을 하여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부처와 중생의 경계는 다르다’고 함으로써 수행의 질적 전환을 촉구하였다. 원효는 오늘 이곳에서 중생과 부처가 만나고 소통하기 위해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필요성을 환기하면서도, 부처와 중생은 같지 않다는 일깨움을 통해 더 높은 단계의 ‘깨침’으로 나아가는 통로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오늘 이곳에 사는 우리가 부처와 중생임을 자각하게 하고, 지금 여기에 사는 우리가 중생과 부처의 통로를 여는 것이 급선무임을 일깨워 주었다. 그는 부처와 중생의 자각과 중생과 부처의 소통의 길을 열었으며, 부처와 중생의 평등성을 인정하면서도 중생과 부처의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원효는 진망화합식을 통해 일심의 평등성에서 비롯되는 ‘깨달음’을 인정하고, 자성청정심을 통해 일심의 차이성에 의거하는 ‘깨침’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원효 깨침 사상의 구심과 원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entral idea of Bunhwang Wonhyo (ca. 617-686) by comparing the concept of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We are Buddhists who practice Buddha’s teaching to become liberated from all the compulsions in life. But how can we liberate ourselves from the compulsions here, today? How can we reduce the distance between us, the unenlightened people, and Buddha, the enlightened person? We could move forward toward that goal by the path that Wonhyo of Silla provided us. Wonhyo has offered us a way through which an unenlightened person can become an enlightened being, a Buddha. Wonhyo’s approach to attain enlightenment is by discovering One Mind, which has two aspects of truth: fundamental truth and expediential truth; in other words, the true thusness aspect and the arising-and-ceasing aspect of One Mind. His approach to reach the stage of greater self begins with the small self pausing at the stage of absence of self. That is, the stage of greater self is beyond the two previous stages, where the self once existed then disappears to eventually reach the fundamental goal of greater self. This is the stage where the Buddha and the unenlightened being become one. Here, the concept of Origin of One Mind, or One Mind as original enlightenment, includes both the concept of One Mind as Nirvana and One Mind as an embryo that will become Buddha. It is at this point that Wonhyo considered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to be both same and different. H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consciousness and tathãgathagarbha. But he did not recognize any difference between tathãgathagarbha and One Mind; however, once a practitioner reaches a certain level, Wonhyo changes his words and recognizes the difference. The reason would be probably this: If somebody said that any sentient being is originally a Buddha, nobody would find any necessity to practice becoming enlightened. As well, if somebody said that a sentient being is different from Buddha, people would just give up and not practice. Therefore, the right way to lead people toward practice would have been to tell people that “you can become enlightened through practice.” However, when they reach a certain point, it would have been proper to tell them that Buddha and sentient beings are different. This would have been an appropriate method to lead people to make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erefore, we can find that Wonhyo has presented us with two scenarios here. In the first one, he says that we are inherently Buddha, although living as unenlightened beings. Here he emphasizes the natural equality between us and Buddha. However, in the second scenario, he 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enlightenment and unenlightenment, although he admits to their natural equality. Within the concept of One Mind as consciousness in which the true and false are merged, Wonhyo presents us with the natural equality existing between enlightenment and unenlightenment. However, within the concept of One Mind as an inherently undefiled mind, he presents the supreme enlightenment aspect of One Mind, which is different from unenlightenment. This is the central idea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Wonhyo’s enlightenment.

      • KCI등재

        분황(芬皇) 원효(元曉)의 일심사상(一心思想) - 기신학의 일심(一心)과 삼매론의 일미(一味)와 관련하여 -

        고영섭 ( Ko Young - Seop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7 禪文化硏究 Vol.23 No.-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핵심사유는 일심(一心) 사상으로 대표된다. 그의 사유는 『대승기신론소』의 ‘이문일심’(二門一心) 혹은 ‘무량무변’(無量無邊), 『금강삼매경론』의 ‘일미관행’(一味觀行) 혹은 ‘십중법문’(十重法門) 또는 ‘무이중도’(無二中道), 『화엄경소』의 ‘일체 무애’(一切無碍), 『열반종요』의 ‘이문일미’(二門一味) 혹은 ‘부주열반’(不住涅槃), 『십문화쟁론』의 ‘화쟁회통’(和諍會通) 사상(논법)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현을 하나로 꿰는 상위의 기호는 일심 사상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가 평생 모색했던 ‘귀일심원(歸一心源) 요익중생(饒益衆生)’은 ‘상홍불법(上弘佛法) 하화중생(下化衆生)’의 기호로도 표현되며 이것은 불교의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우리의 마음은 심층마음과 표층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층의 마음이 아뢰야식과 여래장으로 설명된다면, 표층의 의식은 전오식과 제육식 및 제칠식의 구조로 해명된다. 원효는 심층마음과 표층의식으로 이루어진 일심을 적멸으로서 일심(심진여문)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심생멸문)으로 해명하고 있다. 『능가경』(10권)의 교설처럼 적멸으로서 일심은 진여의 교문이고, 여래장으로서 일심은 생멸의 교문이다. 이 두 측면의 일심은 하나[一]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두나[二]도 아니다. 중생의 마음은 마음의 생멸문을 들어서 언급한 것이고, 생멸문에 의거해서 진여문을 나타내고 있다. 진여문에서 보면 본성은 본래 공적하지만 이 두 개의 교문은 그 본체에서 둘이 아니므로 모든 것이 다 일심법이라고 할 수 있다. 원효의 일심사상은 그의 대표작이자 만년작인 『대승기신론소』와 『금강삼매경론』에 집약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일심의 구조는 기신학과 삼매론에 나타난 일심의 지형도를 읽어내어야만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원효는 기신학에서 ‘적멸으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이위(異位)로 구분하고, 삼매론에서 일심의 근원과 삼공의 바다를 통해 존재론적인 측면과 인식론적인 측면을 가려본 뒤 이것을 다시 통섭해 나가고 있다. 그런 뒤에 ‘본법(本法)으로서 일심’을 시설하여 여래장 개념과 구분되는 상위개념으로서 일심 개념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원효는 적멸으로서 일심과 우주적 마음으로서 일심을 통섭한 행법(行法)과 여래장으로서 일심과 세상의 바다로서 일심을 통섭한 관법(觀法)으로 통로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적멸과 일심지원을 통섭한 행법과 여래장과 삼공 지해를 통섭(通攝)한 관법은 그의 일심(一心)사상과 일미(一味)사상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원효의 일심사상이 기신학의 일심과 삼매론의 일미의 통섭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지형을 통해 원효의 핵심사유는 일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Bunhwang Wonhyo’s(617~686) doctrine of One Mind, which was his central doctrine and thus represents all of his Buddhist thought. His Buddhist thought was expressed through many of his writings in different terms, such as “one mind, two aspects,” and “countless and limitless” i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 “one taste observation and action,” “tenfold dharma gate,” and “non - dual middle way” in the Vajrasamadhi - sutra ; “unconstrained to anything” in the Commentaries on the Huayan Sutra ; “two gates and one taste” and “Nirvana of no abiding” in the Doctrinal Essentials of the Nirvana Sutra ; and “reconciling disputes and uniting various doctrines” in the Ten Gates in Reconciling Disputes. However, the core doctrine that connects all these concepts is the doctrine of One Mind. This is also the reason his life - long motive to “return to the origin of One Mind” and “bring benefit to sentient beings” can also be understood to “aim at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and “emancipate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Our mind is composed of two levels: subconscious mind and present consciousness. When subconscious mind is understood as Alaya consciousness, and the Buddha - nature inherent in all beings, present consciousness is understood as 5 senses and 6th and 7th consciousness. Wonhyo explains that One Mind is the combination of both subconscious and present mind. He establishes two gates in explaining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One Mind; one of which is the gate of complete extinction, Nirvana, and the other of which is the gate of birth and death. As stated in the Lankavatara Sutra, One Mind as Nirvana represents the ultimately empty aspect of One Mind, while One Mind as life and death shows its phenomenal aspect. These two aspects of One Mind cannot be separated because the phenomenal aspect of One Mind is explained by the Gate of mind as life and death, and the ultimately empty state of mind is explained by the Gate of mind as Nirvana. The best place we can find the essence of Wonhyo’s doctrine of One Mind is in his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and Vajrasamadhi - sutra. The structure of Wonhyo’s One Mind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se two writings. In the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he divided One Mind into these two levels, and in the Vajrasamadhi - sutra, he also gave thought to an ontological aspect and a cognitive aspect of mind. He also introduces another aspect of One Mind by setting up the concept of “One Mind as the Origin of Everything” and distinguishing it from its other aspec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the concept of One Mind has developed throughout his life, we can understand that the core doctrine of Wonhyo is One Mind

      • KCI등재

        芬皇(분황) 元曉(원효) 本覺(본각)의 決定性(결정성) 탐구

        고영섭(Young Seop K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붓다가 깨친 자내증(自內證)은 십이연기와 사성제 즉 연기법과 중도행이었다. 이중도행은 이론적 중도인 십이연기설과 실천적 중도인 팔정도를 통일시키는 사성제라는 하나의 체계를 이룬다. 이들 중도의 흐름을 다시 꿰어낸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는 『중론『과 『십이문론『 등의 이론적 중도와 『유가론『과 『섭대승론『 등의 실천적 중도를 아우르는 『대승기신론『과 『금강삼매경『 등의 해석을 통해 일심(一心)의 신해성(神解性)과 본각(本覺)의 결정성(決定性) 개념으로 깨침 혹은 깨달음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이론적 중도인 십이연기설과 실천적 중도인 팔정도를 통일시키는 사성제를 아울러 꿰어 일심(一心)과 일심지원(一心之源)의 개념으로 깨침 혹은 깨달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원효는 일심과 일심지원을 구분하면서도 이들 사이를 잇는 ‘신묘한 성질’ 즉 신해성을 상정하고 있다. 그는 일심의 ‘신해성’을 제9 아마라식과 제8 아라야식을 넘나드는 매개 개념으로 활용하여 팔식설과 구식설 모두를 수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심’과 ‘일심지원’ 사이의 관계를 해명해 주는 ‘신해성’의 규명은 분황의 일심 개념을 이해하는 길잡이가 되고 있다. 또 일심의 몸체인 본각의 결정성 즉 결정의 본성을 통해 일심지원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때문에 본각의 결정성 개념 역시 일심 개념을 이해하는 마중물이 되고 있다. 원효는 이 ‘일심(一心)의 몸체를 본각(本覺)으로 규정하고 무명에 따라서 움직여 생멸을 일으키기 때문에 여래장(如來藏)이라고 한다’면서 일심을 여래장과 연결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영묘하게 이해함’ 혹은 ‘신령스럽게 알아차림’이란 뜻을 지닌 신해(神解)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분황은 자신의 일심 이해의 지평에 ‘신해’ 혹은 ‘신해성’의 의미를 끌어들여 종래의 일심 이해에 탄력성을 부여하고 있다. 분황은 무정물을 취하지 않는 보신불의 속성 위에서 신해성을 설명하고 있다. 원효는 진여의 불변의 측면이 아닌 진여의 변화의 측면과 생멸의 변화의 측면이 아닌 생멸의 불변의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일심의 신해성과 본각의 결정성의 개념을 원용하였다. 무엇보다도 그는 의혹(疑惑)과 사견(邪見)을 끊어내야만 모든 것의 근거인 일심과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자기 철학의 구심점이자 자기 사상의 원심점인 일심은 신해성을 통해 구심의 아마라식으로 수렴해 가고, 일심지원인 본각의 결정성을 통해 원심의 아라야식으로 나가려 했다. 따라서 분황 원효는 종래의 해석과 달리 일심의 신해성과 본각의 결정성을 원용하여 새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붓다의 자내증의 다른 표현인 일심 이해의 지형도를 크게 확장시키고 있다. The dharma enlightened by Buddha wer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and Four Noble Truths, namely link method and the Right Way actions. The Right Way actions constitutes the one system called the four varna system that unites the theoretical middle way (twelve links theory) and the practical middle way (eight fold path). Bunhwang Wonhyo(617~686) who compiled the flow of the middle way explained the enlightenment with the concept of ‘Mystical Understanding’(神解性)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by analyzing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the Mahayana Faith』and 『Vajra- samadhi Sutra』encompassing the theoretical middle way such as『Madhyamika-sastra』 and 『Treatise of the Twelve Aspects』 and the practical middle way such as 『Treatise on the Stages of Yoga Practice』and 『Summary of the Great Vehicle』. In this way, he explained the enlightenment with the concept of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一心之源) by compiling Four Noble Truths that unities the theoretical middle way (twelve links theory) and the practical middle way(eight fold path). However, Bunhwang introduced ‘Mystical Understanding’, the miraculous property connecting one mind to ‘Origin of One Mind’, while classifying them. He used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s the medium concept encompassing the 9th amala-vijnana and the 8th alaya-vijnana to adopt both of eight-fold vijnana and nine-fold vijnana. Because of this reason, the clarification of ‘Mystical Understanding’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 became the guide to understand the one mind concept of Bunhwang. In addition, the concept of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also became the priming wat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one mind. Bunhwang connected one mind to womb of the tathagata, mentioning that ``it is called womb of the tathagata because the main body of one mind is defined as original enlightenment and it generates birth and death while being changed according to ignorance. For the purpose, he used the expression of Mystical Understanding containing the meaning of ‘outstanding understanding’ or ‘miraculous recognition’. In this way, Bunhwang brought the meaning of ‘Mystical Understanding’ or ‘Mystical Understanding’ to the horizontal of one mind understanding to grant the elasticity to existing one mind understanding. Bunhwang explained ‘Mystical Understanding’ on the property of the Buddhas of maturity or recompense that did not adopt the object without emotion. Bunhwang cited the concept of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in order to explain the changed aspect of suchness rather than its unchanged aspect and the unchanged aspect of birth and death rather than its changed aspect. Above all, Bunhwang asserted that we can go back to one mind and origin of one mind, which are bases of all things by cutting doubtfulness and personal opinion out. When it comes to him, one mind is the centripetal force of philosophy and the centrifugal force of thought. Therefore, one mind is converged to amala-vijnana of centripetal force via ‘Mystical Understanding’ and ‘Origin of One Mind’ goes to alaya-vijnana of centripetal force via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refore he expanded the territory of one mind understanding by citing Mystical Understanding of one mind and determinacy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granting new meaning to them unlike existing interpretation.

      • KCI등재후보

        불교의 지형과 불교학의 방법 ―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의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와 미래 - ‘연기적 앎’에서 ‘중도적 삶’으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논문은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에 붓다의 중도 자비와 연기 지혜에서 비롯된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 지형과 미래 방법에 대해 고민한 글이다. 고타마 붓다는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고통인 생(로병)사의 과제를 해결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주었다. 붓다가 성취한 깨침의 완성 즉 생사의 극복은 붓다 내면의 성취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의 성취는 인류의 지혜였으며 오늘 여기와 바로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고통의 해결과 다르기 않기 때문이다. 불교의 중도행과 연기법 및 사선정과 삼명육통, 불교학의 연기론과 일승론, 불타론과 보살설, 심식설과 불성론, 수도론과 열반론 등은 붓다가 성취한 깨침으로 나아가는 우리들의 과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제가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만 할까? 먼저 우리의 피부에 가까이 다가오는 사성제의 고통의 자각-진단-처방-치유의 지형과 방법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대의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과제는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고통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과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제시된 것이 살아있는 불교학일 것이다. 살아있는 불교학은 불교학 고유의 주제들에 대해 궁구하면서도 동시대 사람들의 이해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서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학문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등장하는 문제들과 접목해서 해석하고 해명해야 할 것이다.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현재와 미래의 화두 또한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의 기반에 의거한 불교생사철학과 불교경제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토대에 의거한 불교생태철학과 불교경영학 등과 같은 간주관적(inter subjectivity)이고 융복합적(cross over)인 학문을 통한 상호 소통과 상호 실현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고통에 대한 자각-진단-처방-치유의 과정을 통해 진리의 확신-이해-수행-체증의 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요청된다. 결국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화두는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어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에 대해 널리 화쟁하고 깊이 회통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가는 것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landscape and future method of Buddhist stud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and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This method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iddle Way of Compassion and Wisdo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a. Gotama Buddha showed us the way of wisdom by resolving the suffering caused by the cyclic existence of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that human beings face. The great enlightenment that Buddha accomplished ―in other words, the attainment of release from the world of recurring rebirth ―was not his only accomplishment. Because the wisdom that he attained became the wisdom of humanity, the suffering he resolved is the very suffering that we face now to resolve. The teaching of Buddha’s Middle Way, Dependent Origination, four stages of meditation, three kinds of wisdom, and six supernormal powers is what we must practice to attain Buddha’s enlightenment. Theories of Buddhist studies, such as Dependent Origination, one vehicle, Buddha and Bodhisattva, mind and consciousness, Buddha nature, path of cultivation, and nirvana, lead us to the same path. Is there any more tangible way to accomplish this goal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To become more active and enthusiastic in striving for this outcome, we can use the four stages of method: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healing. The current challenge of Humanist-and Buddhist-studies of this era is identifying the fundamental solution and specific method for real-life situations and resolving the great suffering we face at present. Only when an idea suggests the solution for the suffering in this era will it be qualified to be called living Buddhist studies. Therefore, to become living Buddhist studies, a solution must interact with people and understand people’s needs. To do so, Buddhist studies must be able to interpret and explain ideas that are relevant to the real-life issues that people face,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science, technolog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nd future koan of Humanist- and Buddhist-studies scholars will b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intersubjective studies ―such as pure, theoretical Buddhist studies ―and cross-over Buddhist studies, such as applied Buddhist studies, practical Buddhist studies, Buddhist life and death philosophy,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philosoph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To resolve this issue, Buddhist studies must undergo the aforementioned four stages of process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 - healing) in real-life issues; this process will correspond to the four stages of practice in the Mahayana era (faith - understanding - practice - enlightenment to the truth). Eventually, this fundamental koan should open the path of wisdom by moving beyond these theories to help people get released from the suffering in the present era.

      • KCI등재후보

        ‘가야’(Gaya) 명칭의 어원(語源)과 가야불교의 시원(始原)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에 맞섰던 ‘가야’(Gaya)의 명칭과 가야불교의 시원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한반도 남부에 자리했던 가야는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에 맞서며 왜국까지 경략하였던 제4의 제국이었다. 수로왕은 붓다의 성도지이자 우리의 영원한 고향인 ‘부다(보드)가야’를 의식하여 나라 이름을 불교식 국명인 ‘가야국’ 혹은 ‘대가락’(가락은 가야의 이명)으로 정하였다. 나아가 수로왕은 가야의 새로운 왕성터를 ‘십육 나한이 살만한 곳’이자 ‘일곱 성인이 살만한 곳’이라는 불교적 왕성 비정을 통해 국제적으로 앞선 선진문물인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수로왕이 대륙에서 서해를 건너온 서기 42년은 가야국의 건국 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왕에 의해 법제적으로 공인된 가야불교의 시원년이기도 하다. 수로왕의 8대손인 질지왕은 수로왕의 뜻을 받들어 대왕사와 왕후사를 건립함으로써 불교 공인을 재천명 하였고 재확인 하였다. 이후 가야는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통치하면서도 철기문화와 조선(造船)기술을 주축으로 대륙과 해양과 교역하여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에 필적하는 사국시대를 안착시켰다. 그리하여 전기의 금관가야 및 아라가야와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반도와 대륙과 교역하였던 후기의 대가야는 고대의 한일 및 한중 관계사에서 매우 주요한 족적을 남겼다. 따라서 전기의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및 후기의 대가야는 가야제국을 주도한 나라였다는 점에서 이들 나라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들의 정신문화를 꽃피웠던 불교의 전래와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도 요청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name of the country Gaya and the origin of Gayan Buddhism. Gaya, a country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one of the Four Kingdoms, not only equally competitive with other three kingdoms but also strong enough to invade Japan. King Suro named the country “Gaya,” or “Great Gaya,” after Buddha Gaya where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us became the spiritual home of Buddhists. King Suro called the new palace site of Gaya both “a place where 16 arhats will live” and “a place where 7 saints will live.” By presenting such a Buddhistic view of the name of the new palace site, he showed his intention to build a country that would be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ch was considered an advance in civilization from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e year AD 42, when King Suro arrived at Gaya by sailing the West Sea, was both the year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the first year of Gayan Buddhism. King Suro’s eighth-generation descendant, King Jilji, reconfirmed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by founding the Daewang and Wanghu temples. After that, Gaya was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le focusing on advanced culture such as iron technology and shipbuilding, which led the country to expand its trade range overseas. As a result, Gaya opened the Period of the Four Kingdoms by becoming a country equally competent to the other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hilla. Thus, Golden Crown Gaya as well as Ara Gaya of the early Gaya period and Great Gaya of the latter Gaya period, which carried on commerce with mainland China, left a very important imprint on the ancient history of Gaya in terms of relations amo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se were the major Gaya kingdoms. Therefor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se kingdoms is required as well as a more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which was their spiritual culture.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불학과 선학의 변화 -심성(心性) 및 사기(私記) 논변과 선교(禪敎) 및 선지(禪旨) 논변-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8 No.-

        건국이후 약 200여 년간 조선사회는 명나라 중심의 국제 질서 속에서 안주해 왔다. 하지만 조선중기를 넘어서면서 새롭게 부상한 일본의 왜란과 후금(청)의 호란을 경험하면서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의 재편을 새롭게 의식하였다. 조선사회는 급변하는 국제질서를 의식하면서 변화에 대처해나가기 시작하였다. 유교계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과 율곡 이이(栗谷李珥, 1536~1584)를 주축으로 성리학의 심화를 이루어내면서 리학과기학의 사상적 진전을 경험하였다. 반면 불교계의 교가에서는 운봉 대지(雲峰大智, 1606?~1690?)의 진성(眞性)의 일성(一性)과 다성(多性) 여부를 논한 진성일다논변(眞性一多論辨), 묵암 최눌(默庵最訥, 1717~1790)과 연담 유일(蓮潭有一, 1720~1799)의 심성(心性) 논변, 또 연담 유일과 인악 의첨(仁嶽義沾, 1746~1796)의 사기(私記) 논변 등이 일어났다. 또 선가에서는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과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의 선교(禪敎) 논변과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과 초의 의순(草衣, 1786~1866) 등의 선지(禪旨) 논변을 통해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그 중에서도 중인들과 거사들의 활약은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중인들과 재가불자들의 자의식과 존재감 확대는 유자들의 대사회적 입지를 의식하면서 불교에 대한 인식도 달라져 갔다. 중인들은 더 이상 시대정신을 이끌어가지 못하는 유학보다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겸비한 불학에 친연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들의 활약으로 문자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면서 유자들과 불자들 뿐만 아니라 계층 간의 소통도 본격화되었다. 사찰 재정의 안정은 곧 불자의 자의식을 심화시켰으며 고승 비문의 수립과 문집의 편집 및 불서의 간행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출가자뿐만 아니라 재가자의 대사회적 존재감을 확대시켰다. 18세기 후반의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의 활약과 19세기 전반기의 월창 김대현, 혜월유성종(유운), 오경석, 유대치, 이침산(李枕山) 거사 등의 활동은 새로운 집단지성들의 출현을 의미하였다. 이들은 불도유(佛道儒)삼교를 넘나들면서도 점차 불자로서의 자의식을 심화시켰다. 그 결과 불교의 대사회적 입지는 확대되었으며 불학과 선학의 입지도 확장되어 갔다. 유자들 중에서는 중인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으며 불교계도 거사들의 활동이 본격화 되었다. 이들은 불학과 유학의 소통을 모색하며 새로운 시대를 모색해 나갔다. Joseon society has settled for status quo in international order led by Ming Dynasty for about 2 centuries after establishment of Joseon Dynasty. However, Joseon society had a renewed awareness towards realignment of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after witnessing rise of Japan and experiencing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invasion by Qing Dynasty in middle part of Joseon Dynasty. Joseon society began to be conscious of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and cope with changes. Confucian circles took Neo-Confucianism to a higher level, led by Teogye Lee Hwang(1501~1570) and Yulgok Yi Yi(1536~1584), thereby experiencing ideological advancement of Lihak(Mind & Heart studies) and vexillology. In Buddhist circles, a series of arguments occurred, including Jinseong Ilda(mono/multiple properties of truth)argument of Unbong Daeji(1606?~ 1690?) who discussed existence of mono property and multiple properties of truth, nature argument of Mukam Choi Nul(1717~1790) and Yeondam Yu-il(1720~1799), and Sagi argument of Yeondam Yu-il and Inak Eui Cheom(1746~1796). In Taoist circles, a wind of new changes was blowing within Buddhist circles through Taoistic argument of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and Chusa Kim Jeong-hee(1786~1856) and Seonji(essence or gist of Seon or meditation) argument of Baekpa Geungseon and Choeui Euisun(1786~1866). Among others, activities of middle class people and great scholar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Particularly, increased selfconsciousness and sense of existence among middle class people and monk laymen led to a change in awareness towards Buddhism as social position of Confucian scholars was recognized. Middle-class people felt a stronger affinity to Buddhist study that provided deeper insight into humanity and world than Confucianism did which failed to lead the spirit of the times. Their activities led to renewed recognition of characters, leading to a full-fledged communication among people of different classes, as well as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s. Stable financial conditions of Buddhist temples reinforced self-consciousness of Buddhists and resulted in erection of e pitaph dedicated to high priests of Buddhism, edition of anthologies, and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ose series of processes helped expand the sense of existence in laymen, as well as secular monks, towards society. New collective intelligence emerged from activities of great scholars, including Dasan Jeong Yak-yong and Chusa Kim Jeong-hee in late 18th century and Wolchang Kim Dae-hyeon, HyeWol Yoo Sung-jong(Yoo Woon), Oh Gyeong-seok, Yoo Dae-chi, Lee Chim-san, etc., in early 19th century. They hovered among three teachings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and deepened self-consciousness as Buddhists gradually over time. As a result, social position of Buddhism expanded, and furthermore, the position of Buddhist studies and Taoist studies also expanded. The activities of middle class people were noticeable among Confucian scholars, and at the same time, great scholars of Buddhism started to be involved in visible activities in full scale. They explored communication between Buddhist study and Confucian study, seeking to open up new era.

      • KCI등재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고영섭(Ko Young 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Geumgangsan that is the influential ground for determining the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evaluated as a mountain Buddhism, as native Buddhism. The reason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could maintain certain formalities under the Buddhism suppressing policy of Joseon government is that government selected Geonbongsa, Singyesa, Yujeomsa, Pyohunsa, etc. as the places for royal prayers. Furthermore, the reason that Geumgangsan and its temples are discriminated from the temples of other are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that they were the places containing special meaning for religion and training so that it was tradition for Buddhism lead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mperor of Korea to stay at Mahayeon for a season. Recently,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ctively supported the recovery of Singyesa and completed Buddha-work because it desired the succession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this area, which has shared large por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has established its characteristic as the system of Sammunsuhak(三門修學) was maintained. Pyohunsa was the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Dharma Vessel religion based on Hwaeom Thought and its sudden enlightenment approach. Yujeomsa was famous for chamseondoryeong(參禪道場)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Singyesa was reborn as chamseondoryeong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on the foundation of Faith in Amitābha. Traditionally, Manilyeombulhoi(萬日念佛會) based on Faith in Amitābha was popular in Geonbongsa.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lecture and meditation has been founded since the 19th century. Like that,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was the place where Beophwa Cheontai, Hwaeom Bohyeon, Jeongto Yeombul, Seonbeop Chamseon, Esoteric Buddhism and Odaesan religion are concentrated. Top 4 temples of Geumgangsan have maintained unique training traditions. For Pyohunsa, Pyohun, Sinrim, and Neungin have succeeded practical Hwaeom Thought of Uisang since the Era of Unified Silla and it made traditional clue of Seonkyoilwon(禪敎一元) or Seonkyogyeomsu(禪敎兼修), which formed the main flow of Korean Buddhism. For Yujeomsa,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Samyeong Yujeong, who was the founder of this temple, maintained the tradition of his teacher, Cheongheo Hyujeong, ‘Enters to seonbeop(禪法) through kyobup(敎法)'. For Singyesa, When considering the annotation of Tanmoon, who was the Hwaeom person of the early Goryeo age, adopted Beopanseon(法眼禪) and practiced thought of Buddhism of Myocheong, it seems that the temple has emphasized the training system of Kyoseonilchi(敎禪一致), focusing on doctrine and studying seonbeop(禪法) additionally. For Geonbongsa, Yujeomsa, When considering that the temple has succeeded the tradition of founder Baljing Hwasang, jungchangjo(重創祖) Doseon and Naong Hyegeun, it is estimated that the temple maintained the training tradition where Faith in Amitābha and seonbeop(禪法) are combined. Therefore, the temples of Geumgangsan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he furnaces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places where Buddhism religions were concentrated and assemblies of religions so that national religions could be specialized in a certain area. The area contains the peak name, rock name, valley name and waterfall name with Taoist background as well as Gwaneum(觀音) Munsu(文殊) believe(信仰) and the faith of Amitābha Maitreya that formed popular foundation of Buddhism religion. Like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holy places of Buddhism and assemblies of all religions. 이 논문은 산중불교로 평가받는 조선시대불교를 자생불교로 파악 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이기도 한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조선 정부의 억불 정책 아래서도 금강산 사찰들이 일정한 사격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스스로가 금강산 지역의 건봉사, 신계사, 유점사, 표훈사 등을 왕실 기도처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국불교사에서 금강산과 금강산 사찰들이 여타의 지역 사찰들과 변별되는 까닭은 조선후기 및 대한시대 이래 불교 수좌들이 마하연(摩訶衍) 선방으로 가서 한 철 나는 것을 전통으로 삼아왔을 정도로 신앙과 수행에 대해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이 신계사 등의 복원을 적극 지원하여 불사를 마무리 한 것도 한국불교사에서 이 지역이 차지해 왔던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계승에 대한 남다른 염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금강산 사찰의 불교신앙은 삼문수학(三門修學) 체계가 정비되면서 특성을 확립해 갔다. 표훈사는 화엄사상에 기초한 법기(法起)신앙과 화엄의 원돈문(圓頓門)을 기반으로 다져진 사찰이었다. 유점사는 경절문(徑截門)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이름을 떨쳤다. 신계사는 미타신앙의 기반 위에서 경절문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거듭 났다. 건봉사는 전통적으로 미타신앙에 입각한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가 성행했으며 19세기 이후 강학전통을 세워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금강산의 불교신앙은 법화 천태계와 화엄 보현계 및 정토 염불계와 선법 참선계통에 밀교 및 오대산 신앙이 결합된 모든 불교신앙의 집중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산의 4대 사찰은 저마다 개성적인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다. 표훈사는 통일신라 이래 표훈과 신림(神琳) 및 능인(能仁) 등이 의상(義湘)의 실천적 화엄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은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 선교일원(禪敎一元) 혹은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전통의 실마리를 놓았다. 유점사는 이 절의 중창조인 사명 유정(四溟惟政)의 가풍이 스승인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가풍인 ‘선교겸학’(禪敎兼學)의 수행체계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계사는 고려 초기 화엄가이자 법안선(法眼禪)을 수용한 탄문(坦文)이나 불교사상을 실천하였던 묘청(妙淸)이 주석한 것으로 보아 교학을 주로 하고 선법을 종으로 하는 교선일치(敎禪一致)의 수행체계를 강조해 왔을 것으로 보인다. 건봉사는 창건주인 발징(發澄)화상에서부터 중창조인 도선(道詵)과 나옹 혜근(懶翁惠勤) 등의 가풍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타신앙과 선법이 결합된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금강산 사찰은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용광로라고 할 수 있다. 금강산 사찰은 전국에 산재하는 모든 신앙을 금강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에 특화시킨 불교 신앙의 집중처이자 종교신앙의 모음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불교 신앙의 대중적 기반을 지닌 관음문수신앙과 미타 미륵신앙 뿐만 아니라 도교적인 배경에서 이루어진 봉우리 이름과 바위이름 및 골짜기 이름과 폭포 이름도 있다. 이처럼 금강산 사찰은 불교의 성지이면서 모든 종교의 신앙을 아우르는 집합체이기도 했다. 대한불교 이래 금강산이라는 공간이 갖는 특성 역시 척박한 조선조 불교의 지형에서 수행 전통이 드물게 살아있는 독자적 지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앞으로 금강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금강산 불교의 개념, 불교사상, 불교역사, 불교문화, 불교수행 등의 분야까지 검토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