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악 제1 및 제2소구치의 발치공간 폐쇄기전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의 비교 연구

        고신애,임원희,박선형,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6

        교정 치료에서 발치공간 폐쇄는 치열을 이루는 모든 치아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전은 복잡하다. 특히 전치부 치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구치부 고정원을 조절하는 과정은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입체적 분석을 통한 치아이동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유한요소 분석은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하여 치아 이동 양상을 예측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러한 양상만으로 정확한 치아이동 결과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입체적인 이동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사면체 요소의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0.017" x 0.025" 스테인레스 강 호선에 제작된 bull 루프 후방에 10˚의 gable bend를 부여하고 한 번에 2mm씩 12회 활성화시켜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그 결과 제1소구치를 발치한 경우 제2소구치 발치에 비해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았으며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전치부에서는 제1, 2소구치 발치 모두 비슷한 미약한 정출을 동반하였고 치축의 변화량은 제1소구치 발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2소구치 발치 시 고정원의 협측 이동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losing extraction spaces between maxillary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s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Maxillary artificial teeth were selected according to Wheeler's dental anatomy. The size and shape of each tooth, bracket and archwire were made from captured real images by a 3D laser scanner and FEA was performed with a 10-noded tetrahedron. A 10˚ gable bend was placed behind the bull loop on a 0.017" x 0.025" archwire. The extraction space was then closed through 12 repeated activating processes for each 2mm of space.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was less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than for the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anterior teeth showed a controlled tipping movement with slight extrusion, and the posterior teeth showed a mesial-in rotational movement.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bucc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was highly increased.

      • KCI등재

        상악 제1 및 제2소구치의 발치공간 폐쇄기전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의 비교 연구

        고신애(Shin-Ae Koh),임원희(Won-Hee Im),박선형(Sun-Hyung Park),전윤식(Youn-Sic Chun)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losing extraction spaces between maxillary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s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A).<br> Methods:Maxillary artificial teeth were selected according to Wheeler’s dental anatomy. The size and shape of each tooth, bracket and archwire were made from captured real images by a 3D laser scanner and FEA was performed with a 10-noded tetrahedron. A 10° gable bend was placed behind the bull loop on a 0.017 x 0 .025 archwire. The extraction space was then closed through 12 repeated activating processes for each 2mm of space.<br>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was less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than for the first premolar extraction. The anterior teeth showed a controlled tipping movement with slight extrusion, and the posterior teeth showed a mesial-in rotational movement. For the second premolar extraction, bucc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was highly increased. 교정 치료에서 발치공간 폐쇄는 치열을 이루는 모든 치아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전은 복잡하다. 특히 전치부 치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구치부 고정원을 조절하는 과정은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입체적 분석을 통한 치아이동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유한요소 분석은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하여 치아 이동양상을 예측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러한 양상만으로 정확한 치아이동 결과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입체적인 이동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사면체 요소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0.017 x 0.025 스테인레스 강 호선에 제작된 bull 루프 후방에 10° 의 gable bend를 부여하고 한 번에 2 mm씩 12회 활성화시켜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그 결과 제1소구치를 발치한 경우 제2소구치 발치에 비해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았으며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전치부에서는 제f, 2소구치 발치 모두 비슷한 미약한 정출을 동반하였고 치축의 변화량은 제1소구치 발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2소구치 발치 시 고정원의 협측 이동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카메라폰을 이용한 식이섭취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

        장은재(Un Jae Chang),고신애(Shin Ae Ko)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7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using a cameraphone for a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The subjects were 28 female college students. After eating a standard lunch meal which consisted of plain rice,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the quantity of dietary intake, calorie intake & nutrients intake were analyzed by weighed method, diet recor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 with &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ntity of 6 foods intake between weighted method and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 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 cucumber salad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the quantity of seaweed soup, bulgogi, cucumber salad, roasted anchovy and kimchi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lorie intake and nutrients intake between the weighted method and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However, protein, calcium, iron, phosphorous, Vitamin A, Vitamin B2, Vitamin E and cholesterol intake analyzed by diet record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And fat and Vitamin B2 intake analyzed by the camera phone method by dietitians without cameraphone analysis train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eighed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the camerephone may be a valid and convenient method for evaluating a dietary intake survey. However, systematic and standard education is necessary about the size and volume of dishes and angle of photo for more accurate res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2) : 198~205,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