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품력 검증을 위한 평가 지표에 대한 연구

        고승곤,Ko, Seoung-Gon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6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는 시장에 소개되기 전에 기술적 검증과 사용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를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기업에서는 경험적으로 확인된 다양한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올바른 상품력(Power of Product Service)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상품력은 특정 기능 또는 개별 특성에 대한 평가 보다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 사항에 기초한 여러 특성이나 기능들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을 때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고승곤 (2008)은 품질 평가 방법인 시그마 수준(Sigma Level)을 확장하여 다양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MSL(Multi-characteristic Sigma level)을 소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SL과 새로운 고객 선호 일치도를 반영하는 BOI(Blue Ocean Index)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품력 평가 방법을 확인해 보고 이를 통해 실무적 그리고 통계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Products and/or services should be objectively verified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and use-conditional considerations before entering a market. Every organization or company tries to find the better procedur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re needs of customer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market and looks for continuous ways to evaluate the power of products and services(PoP). They also prefer the overall evaluation of indices that could reflect various customer needs, rather than a separate evaluation index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 or service. S. Ko (2008) proposes a Multi-characteristics Sigma Level(MSL) that can simultaneously evaluate many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r service. In this research, using MSL and a new Blue Ocean Index(BOI), an application of NPS, mobile phone field test is considered from a practical and statis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모바일 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식스 시그마 방법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고승곤,Ko, Seoung-Gon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6

        모바일 제품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SW)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모바일 제품 시장에서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고 적용되는 SW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SW 개별 모듈의 결함 관리보다는 고객 사용 환경과 시장 품질의 관점에서 SW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폰 분야에서 실행된 103개의 SW 개선 프로젝트를 검토하여 프로세스 개선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식스 시그마 방법의 SW 분야 적용 가능성과 통계적 도구와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process of Embedded Software (SW) is gathering interest due to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W in mobile products. According to tough competition and the growing size of the Embedded SW, there is a demand for a new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SW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customer and market quality aspects, rather than focusing on defect removals in individual SW modules. We review 103 SW improvement projects from the area of mobile phone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Six Sigma which is the standard for the process improvement statistical tools and methods.

      • KCI등재

        R&D 분야의 목표 시그마 수준 설정과 설계 공차의 강건 한계 결정에 대한 연구

        고승곤,Ko, Seoung-gon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2

        시그마 수준(sigma level)이란 미국 모토롤라사에 의해 소개된 프로세스 능력 지수로서 1970년대 이후 널리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수들 중의 하나이다. 이는 다른 지수들과 비교할 때 모 프로세스의 확률 분포에 기초한다는 장점을 갖지만 양산 단계를 가정한 것으로 R&D 분야의 시제품 그리고/또는 초도 양산품 단계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시그마 수준을 계산할 때 가정하는 치우침에 대한 통계적 고찰을 통하여 양산단계에서 6 시그마 품질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개발 단계의 시제품 그리고/또는 초도 양산품의 목표 시그마 수준 설정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개발과 양산 단계에서 경제성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 공차의 강건 한계 도출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Sigma Level, proposed by Motorola Inc., is one of the many Process Capability Index (PCI)'s that have been presented since the 1970's. It is used to evaluate process capability and unlike other PCI's, i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uses population probability distribution. However, it is originally designed for mass production and is inadequate to evaluate prototypes or early products in the R&D stages. For use in such cases, we propose an R&D target Sigma Level, derived by considering 1.5 sigma shifts in traditional sigma level from a statistical point of view. We also explain the way to find robust limits for design tolerance because the sigma level or defect probability is useful to establish economical tolerance limits at the R&D stage and mass production.

      • 공정능력지수의 실무 활용 지침

        고승곤(Seoung Gon Ko),황재문(Jae Moon Hwang),김응석(Yung Seok Kim) 한국품질경영학회 2001 품질혁신 Vol.2 No.1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ices)는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정 능력 진단 및 평가 도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지수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특정 지수를 어떤 경우에 사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현장에서 자주 제기 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각 지수의 특징과 해석 시 유의사항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공정 능력의 객관적 평가 지침을 제공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기업 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고승곤(Seoung-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4

        1990년대 소개된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이하 DS)는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X)과 함께 기업의 새로운 화두이다. 이는 IT와 DB 관련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환경에 기초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등장과 같은 사회적 변화와 Big Data에 대한 체계적 분석 방법 개발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의 유용성과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DS의 유용성은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한 의사 결정 방법의 개선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s; 이하 DSt)는 복잡한 구조와 상호 작용을 갖는 수많은 변수들로 구성된 데이터로부터 해석 가능한 패턴과 명확한 규칙(들)을 도출하여 조직 내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각 기업의 중요 사업 영역/활동에 적합한 DSt를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고용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데이터에 기초한 과학적 의사 결정 문화의 정착을 기대하는 기업들에게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기업의 올바른 의사 결정은 사업 환경의 이해 그리고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과 지식을 전제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꼭 필요한 전문가의 외부 고용과 함께 기업의 사업 환경과 업무 영역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데이터의 의미와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내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기업 내 DSt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이 대안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학의 파생 관점에서 DS 교육 과정을 설명하고 기업 내 DSt의 역량 범위를 기준으로 훈련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반영해야 할 핵심 주제들과 비중 그리고 사내 전개 시 주의 사항을 논의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의 기본이 되는 통계적 학습과 기계적 학습간의 실무적 차이점을 설명하고, 시각화와 모형화 관점에서의 핵심 개념과 도구를 소개한다. 또한 DS를 적용하는 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실행 오류를 제시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Introduced in the 1990s, Data Science(hereinafter referred to as DS) is a new topic for companies along with Digital Transform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DX). This is a natural phenomenon as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large-capacity data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nalysis method for Big Data and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IT and DB-related technologies,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based on the mobile environment. The usefulness of DS depends on whether the decision-making method using a variety of large amounts of data is improved and Data Scientists(hereinafter referred to as DSt) should be able to help decision-making within the organization by deriving interpretable patterns and clear rule(s) from data composed of numerous variables with complex structures and interactions. However, there is a physical limit to continuously hiring a DSt suitable for each company s important business area/activity from outside and it is undesirable for companies that expect to establish a data-based scientific decision-making culture. This is because the correct decision-making of a company is possibl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business environment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in related fields. Therefore, it may be an alternative to systematically training DSt within the company for internal member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the company s business environment and work area, and who understand the meaning of data and the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along with external hiring of essential experts. In this paper, the DS training process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erivation of statistics, and the core topics and weights that must be reflected in the training process based on the competency range of DSt within the company are discussed, and precautions when developing in-house. It also explains the practical differences between statistical learning and mechanical learning, which are the basis of data analysis, and introduces key concepts and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ization and modeling. It also presents common execution errors that can occur in companies that apply DS and provides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m.

      • SCOPUSKCI등재

        $3{\times}2$ 교차설계법에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통계분석

        박상규,김정일,채성산,고승곤,오현숙,양완연,김동섭,최영욱,Park, Sang-Gue,Kim, Jeong-Il,Chae, Sung-San,Ko, Seoung-Gon,Oh, Hyun-Sook,Yang, Wan-Youn,Kim, Dong-Sup,Choi, Young-Wook 한국약제학회 1998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28 No.4

        A $3{\times}2$ crossover design is considered for the bioequivalence of two test formulations with a control. It could be considered as a better choice over $3{\times}3$ crossover design because of the cost and experimental duration. Oh et al.(1998) derived $3{\times}2$ crossover design and discussed its benefits over the typical crossover designs. We consider here the statistical models for $3{\times}2$ crossover design and show its statistical properties. The statistical procedures for the bioequivalence in $3{\times}2$ crossover design are shown through an example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y satisfying the 3 standards that propos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Bioequivalence.

      • KCI등재

        디지털 광고 효과 향상을 위한 Big Data 기반의 목표 그룹 세분화에 대한 연구

        박현진(Hyeon Jin Park),고승곤(Seoung 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0 창조와 혁신 Vol.13 No.4

        Smart TV 보급 확대에 따른 TV 시청 정보 데이터와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기술에 의한 로그(log) 데이터의 증가는 디지털 광고 시장을 확대하였고 현재 미국의 IT 기업인 구글(google Inc.)과 아마존(Amazon, Inc.)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 또한 국내 생산 업체의 세계 Smart TV 시장 점유율 증가와 함께 국내외의 다양한 TV 시청 정보 데이터의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이를 통한 디지털 광고 시장의 국내 기업 진출도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광고 사업의 플랫폼과 수집 가능한 TV 시청 정보에 대하여 소개하고 수집된 Big Data를 활용하여 디지털 광고 효과의 핵심 요소인 광고 대상 세분화에대한 통계적 분류 방법과 사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Growing equipment log data from Smart TV with subsequent improvement in the collection of TV viewing data and ACR technology have expanded the digital advertising market. The trend is currently led by U.S. tech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Amazon. However, as domestic smart TV manufactures increase their global market share, they are gaining more access to diverse se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V viewing data. With increased accessibility, domestic firms are gaining stronger positions in the digital advertisement market. This paper introduces platforms from the digital advertisement industry and types of TV viewing data that can be possibly collected. By utilizing log-based Big Data, the methods and examples of target audience segmentation, a core component of digital advertisement effect, are studied.

      • KCI등재

        자동차 IT 전장 분야 품질 혁신을 위한 식스 시그마 개선 방법의 적용

        남현우(Hyun Woo Nam),고승곤(Seoung 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4

        최근 태동한 국내 자동차 IT 전장 사업의 성공 전략은 국제 협력 기구의 자동차 부품 인증 시스템의 올바른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은 1980년대부터 개별 부품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1990년대 후반 국제 통합 부품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후발 주자인 국내 업체들은 이러한 인증 제도에 신속히 대응을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대표적인 국제 인증 표준인 ISO/TS 16949와 ISO 26262의 구성과 특징 그리고 공통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인증 체계의 핵심 단계에 적용 가능한 식스 시그마 프로세스 개선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는 곧 전개될 전기 그리고 자율 주행 자동차 분야에서 국내 자동차 IT 전장 사업의 품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cess strategy in emerging automobile IT industry must start from the clear understanding of authentication system for automobile parts, established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s. Major automobile producing countries established authentication systems for individual parts in 1980s. Moreover, they were operating internationally integrated part authentication systems by late 1990s. Consequently, domestic producers, who are late entrants in the international automobile market, need innovative methods to properly and urgently react to already well-established authentication systems. The following paper will identify and outline Six Sigma improvement process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industry. In order to do so, the paper will compare and contrast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ISO/TS 16949 and ISO 26262, established authentication standards in the international automobile industry. Such approach will enhance domestic producer’s competitive advantages in surging areas of electric and/or self-driving automobiles. Domestic corporations who entered the field of automobile IT industry will be able to further advance their competitiveness by combining quality innovation from home appliance industry and newly acquired improvement process.

      • KCI등재

        유통업 Big Data를 이용한 고객 행태 분석에 대한 연구

        서현지(Hyeon Ji Seo),고승곤(Seoung 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0 창조와 혁신 Vol.13 No.3

        IT 산업과 데이터 저장 기술의 발전은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생성과 수집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통계 분석은 관심 현상에 대한 실시간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의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유통업에서도 역시 다양한 시장과 채널에서 수집되는 고객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중심의 제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로 가맹점의 고객 멤버십 그리고/또는 다양한 상품 군에 대한 거래관련 Big Data를 기업 경영에 적용하고자 시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고객관계 경영(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과 이러한 Big Data 분석의 기초가 되는 새로운 고객 세분화 기준과 고객 정보 활용 프로세스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소매 유통업의 고객/거래 관련 데이터의 수집 구조를 파악하고 단일 고객 관점(Single Customer View)에서의 고객 지표의 생성, 이를 이용한 고객 세분화 방법과 적용 가능한 통계 분석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The advancement of diverse industries and improvement of data storage technology enabled creation and collection of data on large scale. The trend presents new standard of real time decision making centered on statistical analysis. The trend is applied extensively in order to properly explain and predict multifaceted phenomena in areas of politics, social studies, economics, and culture studies. Today’s distribution industry spends significant efforts in collecting customer data through various channels in order to identify customer preferences and provide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membership and/or transaction data of individual customer will yield meaningful customer data that can be applied to management practices of organizations. This thesis studies the utility of the Big Data, innovative tool based 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order to maintain proper collection and analysis of customer data which is fundamental to substantiality of organizations. For the purpose listed above, the thesis prepares steps to comprehend customer/transaction related data collection structure in distribution industry in order to create customer index focused on Single Customer View. New customer index will be used in systemic statistical analysis and customer segmentation.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the 30TB of G distribution industry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channels within specific period of 2016. The result is presented alongside the method.

      • SCOPUSKCI등재

        3×2 교차설계법에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통계분석

        박상규(Sang Gue Park),김정일(Jeong Il Kim),채성산(Sung San Chae),고승곤(Seoung Gon Ko),오현숙(Hyun Sook Oh),양완연(Wan Youn Yang),김동섭(Dong Sup Kim),최영욱(Young Wook Choi) 한국약제학회 1998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28 No.4

        N/A A 3×2 crossover design is considered for the bioequivalence of two test formulations with a control. It could be considered as a better choice over 3×3 crossover design because of the cost and experimental duration. Oh et al.(1998) derived 3×2 crossover design and discussed its benefits over the typical crossover designs. We consider here the statistical models for 3×2 crossover design and show its statistical properties. The statistical procedures for the bioequivalence in 3×2 crossover design are shown through an example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y satisfying the 3 standards that propos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Bioequiva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