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잊혀진 정체성을 찾아 내면으로 떠나는 여행: 후안 호세 미야스의 『바보, 죽은 자, 사생아 그리고 안 보이는 자』

        고슬기 ( Sel Gie Koh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2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5 No.1

        La seguridad del ``yo`` se fue estableciendo paulatinamente a lo largo de la edad moderna hasta llegar a fraguar un cierto estado de solidez. Este proceso fue posible mediante el efecto del absolutismo de la razon. Pero a traves de los siglos XIX y XX, esa seguridad en el ``yo`` se transformo en desencanto y desnortamiento, dando origen al posmodernismo. El caracter de esa tendencia es la aceptacion de la variedad de ideas, del relativismo, la fragmentacion del centro y la destruccion de las fronteras entre diferentes conceptos. La identidad tambien ha representado un material esencial para fragmentar en esta era posmoderna. La seguridad del ``yo`` ha sido solidamente establecido en la edad moderna. Todo eso ha sido posible por la absolutivismo de la razon. Pero a traves de los siglos XIX y XX, esa seguridad se convirtio en la desencanto y desnortamiento. Asi nace el posmodernismo. La caracter de esa tendencia es la variedad, relativismo, fragmentacion del centro y destruccion de la frontera entre varios conceptos. La identidad tambien es el material esencial para fragmentar para la edad posmoderna. Juan Jose Millas empezo a publicar sus obras en el ano 1974. Al ano siguiente empieza en Espana una nueva etapa tras la muerte del dictador Francisco Franco. Un ambiente liberal se extiende entonces por todo el pais y muchas actividades culturales se puede celebrar sin ningun control de la censura, que habia imperado durante casi 35 anos. La literatura tambien comienza a disfrutar de ese ambiente creativo, y surge una nueva generacion que los criticos llaman Nueva Narrativa, o Generacion del 68. Juan Jose Millas tambien pertenece a dicha generacion de escritores jovenes que empezaron a escribir en esos anos, aunque entre ellos no mantuvieron coherencia alguna ni proyecto conjunto. Despues de esa primera novela, Cerbero son las sombras, que esta influida por el estilo del experimentalismo que regia la epoca anterior, Millas opta por un estilo simple, aunque de contenido complicado, con temas tales como la relacion realidad-fantasia, la simetria y otros, siendo el tema de la identidad el favorito del autor. Hoy nosotros podemos considerar sus intenciones de propugnacion de la fragilidad de la identidad como algo inevitable en la epoca actual del capitalismo y consumismo ilimitado. Pero el tema de la identidad no es tan simple de abordar en la obra de Millas, mas precisamente si consideramos la novela Tonto, muerto, bastardo e invisible(1995). Es especialmente en esta obra donde el autor nos ilustra con mayores detalles acerca del tema identitario. El viaje que sus personajes realizan de la busqueda de la identidad original fragmentada hace anos, se desarrolla de una manera complicada en una sociedad burocratica. El protagonista empieza a abandonar poco a poco las identidades construidas artificialmente desde la salida de su barrio de la infancia, afectando asimismo a su profesion y a su familia, para salvar a un nino desnutrido que estaba escondido en su interior. En definitiva, Millas nos ofrece un interesante planteo con varias interrogaciones acerca del estado de la identidad, y ese juego con la identidad que el escritor despliega, fundan su estilo y la cuestion principal del proposito de la literatura.

      • KCI등재

        관계의 유형과 인간 정체성 연구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69

        스페인 작가 후안 호세 미야스는 작품 속에서 정체성의 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다. 정체성의 복제에 따른 타인과의 동일성 획득도 그 중 하나이다. 동일한 인간 사이의 관계는 균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인간의 균형적인 관계를 다루면서 쌍둥이, 대척점에 있는 사람 등을 소재로 사용한다. 자신과 같은 사람이 존재 한다는 것은 실제이던 상상이던 안정감과 기묘함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또한 인간의 내면과 외부의 관계에도 균형과 불균형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미야스는 불균형이 심한, 즉 내면과 외면이 극단적으로 다른 인물들을 다루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사회 고위층들의 불균형이 더 심하다고 보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한편 한 개인과 외부환경과의 관계에도 불균형이 작용하는데 특히 사회와 개인의 관계가 불균형하면 개인은 좌절하고 불행에 빠지게 된다. 미야스는 이처럼 한쪽 으로 치우친 세상에 맞서 균형을 이루고 싶어 하고 노력하는 인물들을 몇몇 작품에서 내세웠고 또 그것과는 다르게 자신과 세상과의 균형을 깨지 않으려고 거기에 집착하면서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인물들도 등장한다. 결국 미야스는 인간 상호관계, 인간의 내면과 외부, 개인과 외부환경과의 관계의 균형과 불균형을 통해 인간의 고독과 위선, 그리고 더 나아가 실존의 문제까지도 다루고 있는 것이다. The Spanish novelist Juan Jose Millas usually deals with the subject of human identity in his works. Obtaining the same identity with other people by identity replication is one example. Representing balanced characters, the author introduces twins who are contrary to each other as main characters in his novel. Millas deals with many imbalanced characters whose inside and outside radically differ, figures who may represent social hierarchy, characterized as overemphasizing superficial visual images. On the other hand, there exists an im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her surroundings such as society. In short, Millás treats human loneliness and hypocrisy as his main subjects and expands even to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in his exploration of multiple identities, balanced and imbalanced characters based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relationship with other human beings.

      • KCI등재

        후안 호세 미야스 작품을 통해서 본 “성(性)의 변신”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인간은 누구나 남녀로 나누어진 두 가지 성(性)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순전히 우연적으로 부여된 정체성으로 이름, 국적 등과 같이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정체성과는 다르게 마음대로 바꾸기 힘들다. 물론 성전환수술과 같은 현대의학의 발전된 기술로서 성의 변신을 성취할 수 있다고는 하나 그 변신은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스페인 현대 작가인 후안 호세 미야스 Juan Jose Millas는 그의 작품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을 교환시킨다. 남성 작가인 작가 자신이 여성의 시점을 빌려 소설을 이끌어 나가기도 하고 남성 주인공이 카프카의 『변신』의 주인공처럼 갑자기 여성으로 변하기도 한다. 갑자기 변하는 경우 자신의 성기가 없어지거나 경험하지 못한 다른 종류의 성적 흥분을 느끼는 등 그 변화가 직접적이고 물리적이다. 그리고 짝과의 성별이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이 변화는 주로 심리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그리고 남성주인공이 자신의 어머니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어머니로 바뀌는 경우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취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넘어서 어머니로의 변신을 이루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런 모든 총체적인 성의 변신을 단편 「대중역학 La mecanica popular」에서 보여준다. 거기서 그는 다른 경계의 파괴와 함께 성의 경계파괴로 인한 성의 변신을 여러 차례 드러낸다. 미야스는 결국 여러 가지 개념들의 경계파괴와 함께 우리가 굳건하다고 믿는 성 정체성의 경계마저 파괴하는 것이고 그것은 또 우리가 허구의 산물인 소설을 읽는 주요 목적 중 하나인 타인이 되고자하는 호기심과 욕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ommonly,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only one sexual identity divided between man and woman which come into being spontaneously. A sexual and one fixed identity is quite different character and unchangeable compared with name, or nationality just liked acquired ones. Currently, even we accept the changeable character with a sex exchange operation balanced with advance of modern medical science, however, it still regard it as imperfect one. Juan Jose Millas, a modern Spanish writer, exchanges men"s identity for women"s identity in his works. Although he is a male writer, he is often saying in a female"s voice and sometimes male main characters suddenly change into women as a main character in The Metamophosis of Franz Kafka. When they change, their penises disappear or they feel new kinds of sexual excitement, which is physical and direct. And sometimes a person changes into his partner, this kind of change accompanies mental change. Main male characters become their own mothers, and it shows the extension of an Oedipus complex. The writer shows total sexual makeover in his work, La mecanica popular. He reveals sexual changes from boundary destruction along with identity destruction. Millas destructs lots of boundaries that are believed to be firm including sexual identity. This shows curiosity and desire to be another person, which is a main purpose of reading fictions. 인간은 누구나 남녀로 나누어진 두 가지 성(性)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순전히 우연적으로 부여된 정체성으로 이름, 국적 등과 같이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정체성과는 다르게 마음대로 바꾸기 힘들다. 물론 성전환수술과 같은 현대의학의 발전된 기술로서 성의 변신을 성취할 수 있다고는 하나 그 변신은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스페인 현대 작가인 후안 호세 미야스 Juan Jose Millas는 그의 작품 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을 교환시킨다. 남성 작가인 작가 자신이 여성의 시점을 빌려 소설을 이끌어 나가기도 하고 남성 주인공이 카프카의 『변신』의 주인공처럼 갑자기 여성으로 변하기도 한다. 갑자기 변하는 경우 자신의 성기가 없어지거나 경험하지 못한 다른 종류의 성적 흥분을 느끼는 등 그 변화가 직접적이고 물리적이다. 그리고 짝과의 성별이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이 변화는 주로 심리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그리고 남성주인공이 자신의 어머니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어머니로 바뀌는 경우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취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넘어서 어머니로의 변신을 이루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런 모든 총체적인 성의 변신을 단편 「대중역학 La mecanica popular」에서 보여준다. 거기서 그는 다른 경계의 파괴와 함께 성의 경계파괴로 인한 성의 변신을 여러 차례 드러낸다. 미야스는 결국 여러 가지 개념들의 경계파괴와 함께 우리가 굳건하다고 믿는 성 정체성의 경계마저 파괴하는 것이고 그것은 또 우리가 허구의 산물인 소설을 읽는 주요 목적 중 하나인 타인이 되고자하는 호기심과 욕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ommonly,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only one sexual identity divided between man and woman which come into being spontaneously. A sexual and one fixed identity is quite different character and unchangeable compared with name, or nationality just liked acquired ones. Currently, even we accept the changeable character with a sex exchange operation balanced with advance of modern medical science, however, it still regard it as imperfect one. Juan Jose Millas, a modern Spanish writer, exchanges men"s identity for women"s identity in his works. Although he is a male writer, he is often saying in a female"s voice and sometimes male main characters suddenly change into women as a main character in The Metamophosis of Franz Kafka. When they change, their penises disappear or they feel new kinds of sexual excitement, which is physical and direct. And sometimes a person changes into his partner, this kind of change accompanies mental change. Main male characters become their own mothers, and it shows the extension of an Oedipus complex. The writer shows total sexual makeover in his work, La mecanica popular. He reveals sexual changes from boundary destruction along with identity destruction. Millas destructs lots of boundaries that are believed to be firm including sexual identity. This shows curiosity and desire to be another person, which is a main purpose of reading fictions.

      • KCI등재

        발과 신발, 그리고 침대 밑 영역- 후안 호세 미야스의 『침대 밑을 보지 마』 연구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4

        스페인 현대 소설가 후안 호세 미야스의 1999년 작 『침대 밑을 보지 마 No mires debajo de la cama 』의 중심소재는 발과 신발이다. 이 작품에서 우선 발과 신발은 커플을 상징한다. 하지만 커플 개념은 자유롭게 깨지고 짝은 홀로서거나 교체된다. 또 발과 신발은 바닥에 닿아 있기 때문에 침대 밑과 관련이 있다. 침대 밑은 이 작품에서 다른 규칙이 지배하는 환상적인 공간이다. 그래서 발은 환상과 실재의 다리 역할을 하며 신발은 생명력을 부여받아 그 두 세계를 넘나든다. 또 발은 신체의 극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머리의 조절을 덜 받으며 그래서 쉽게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분리되는 발은 다른 개인과 교체되기도 한다. 신체의 일부는 미야스의 작품에서 정체성의 일부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정체성의 일부가 타인과 교체되어 정체성이 분열하기도 하고 확장되기도 한다. 미야스는 이 작품을 통해서도 짝과 같은 절대적인 개념을 파괴하고 있으며 실재와 환상 사이의 경계 해체나 정체성 사이의 상호 흡수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The main subjects of No mires debjajo de la cama (1999) written by Spanish contemporary novelist Juan José Millás are the feet and the shoes. Above all things and through this novel, the feet and shoes symbolize a couple. The author also sets up ‘under the bed’ as a symbolized space in which the feet and the shoes exist in our daily lives and rub the ground everytime as well. Therefore the feet could play the symbolic role as a bridge between the fantastic and the real world and the shoes move in and out of both worlds. And the feet are easily separated because they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human body and controlled less by the head. Millás reinterprets the static idea such as couple as various and other meanings and do several tests for breaking this stereotypical idea like erasing the border between fantastic and real worlds and shows us this relationship also reflects human identities as well.

      • KCI등재

        후안 호세 미야스 작품에서의 신체의 대칭과 비대칭 : 유형과 집착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생명체는 대칭형이다. 대칭은 아름다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왜냐면 정상적이고 건강한 개체가 대칭형이고,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건강한 자손을 남기길 원하므로 대칭형의 신체와 얼굴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후안 호세 미야스는 프랑코가 죽고 자유로운 창작활동이 보장되기 시작한 1975년에 데뷔했다. 초기의 가난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뒤로 하고 1990년 나달상을 수상한 이후부터는 포스트모더니즘 적인 내용을 다루기 시작한다. 여기에는 대칭과 비대칭의 주제도 포함되어 있는데 다른 개념들과 마찬가지로 해체된다. 비대칭의 신체는 절름발이, 오른손잡이-왼손잡이, 애꾸, 양쪽이 서로 다른 얼굴, 반신불수 등을 포함하며 이들 소재는 정체성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즉 정체성의 일부로서 비대칭의 신체들이 사용된다. 또 균형 잡힌 오른편의 세상에 반발하는 의미로 왼편사용과 애꾸 등의 소재가 쓰이는데 미야스의 작품에서 오른편의 세상은 진부하고 뻔하고 부조리한 반면 불균형을 상징하는 왼편의 세상은 기발하며 역동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작품들 속의 절름발이의 태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대부분의 절름발이들은 다리를 절었다 안 절었다 하기도 하며 무엇보다도 다리를 저는 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미야스는 이런 내용을 통해 아름다움과 같은 절대성을 지닌 대칭과 비례의 세상에 의문을 던지며 개성이 강한 기발하고 창의적인 세상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성격인 해체를 사용함으로서 아직까지도 굳건한 비례와 균형에 대한 개념을 깨뜨리고 있으며 획일적이고 절대적인 아름다움이 지배하는 현대 한국 사회에도 의문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All living things is symmetrical except for some minimal. The symmetrical shape is closely related with beauty. Like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they want to leave their healthy offspring and come to feel attractive to the symmetrical bodies and faces. Juan Jose Millas debuted his literary career in 1975 when Spain guaranteed the free creative activity after the collapse of authoritarian regime, such as Francisco Franco in spanish history. Passing the first period that was generally the poor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after winning the Nadal Prize in 1990, he began to deal with the postmodernism content. In this content he did include the issue of symmetry-asymmetry and like other concepts, sometimes de-constructed as well. In the asymmetrical body, such as the lame, the righty-lefty, the one-eyed, a face that has two different sides and hemiplegic characters all included. These materials are used for identity description. And using the left and the one-eyed protest against the right and balanced world is used because in the works of the Millás right world is trivial, obvious and absurd, and the left is brilliant and dynamic. This could determine the behavior of the lame, because most lame limp sometimes and sometimes not, and above all they think positively about their lameness. In this content, Millás called into a question about the harmony between the symmetrical and balanced world that has absoluteness like beauty, and seeks a world which could characterize by original creative genius. Above all, by using deconstruction method and description with basic characters of postmodernism, he breaks the concept of symmetry and balance that is much stronger and still poses a question to the current Korean society controlled by the unambiguous and absolute beauty.

      • KCI등재
      • KCI등재

        콧수염과 정체성 - 카레르, 미야스, 권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슬기 ( Koh Selgi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2 No.-

        콧수염은 성인 남성의 인중에서 돋아나는 체모의 일종이다. 또 그것은 털의 일종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일부이지만 제거하거나 다시 자라도록 놓아 둘 수 있다. 대체적으로 인간은 얼굴의 생김새에 따라 정체성이 정해지는데 콧수염은 얼굴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한 개인의 정체성을 좌우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본고는 콧수염을 다룬 각각 프랑스, 스페인, 한국 작가인 카레르, 미야스, 권리의 작품들을 분석해 보고 그 상징적 의미와 또 콧수염과 정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작가의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콧수염을 소재로 취하고 있고 또 작중인물들은 콧수염의 유무에 따라 정체성의 변화를 겪는다. 카레르의 경우 작중인물은 콧수염을 밀면서 현실의 위기를 맞게 되고, 미야스의 경우 가짜 콧수염을 부착하면서 현실을 벗어나 다른 세계로 나아간다. 그리고 권리의 경우 어느 날 여성인물은 다시 현실로 돌아오면서 자신의 콧수염을 발견한다. 세 명의 서로 다른 작가의 각각의 작품들은 콧수염이라는 이런 손가락만한 한 줌도 안되는 체모를 소재로 여러 가지 상징적인 의미를 보여주고 또 공통적으로 정체성 문제를 다루고 있다. Physically speaking, the mustache is a kind of body hairs for men and grows up on the center of the human face. It can be removed and let grow it up naturally as a type of hair and removable one at any time. However, it also represent psychological meanings and give a great influence on forming an human identity through its appearance on the human fac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with comparative ways of observing among the works of French writer Emmanuel Carrere, Spanish Juan Jose Millas and Kwon Ri as Korean female author. These authors deal with the mustache as their writing material and tried to identify what kinds of symbolic meaning it has and interesting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tache and human identity. The works of them commonly recognized that the mustache strongly impact on forming of human personages and change of identity based on whether a man has it or not. For Carrere and in his works, he interprets when a character faced a crisis, it occurred after shaving his mustache. On the other hand and for Millas, he finds out a character who recovered from hard reality after attaching a fake mustache. Kwon Ri also develop a character in his(her) works which a woman discovered her(his) identity with mustache. The works of three different authors interpreted the mustache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and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ustache and identity forming respectively.

      • KCI등재

        국내소설에 나타난 중미의 ‘축구전쟁’

        고슬기(Koh, Sel-Gi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7 중남미연구 Vol.36 No.2

        ‘축구전쟁’은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예선전에서 만난 중미의 작은 두 나라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가 세 번의 경기 일정 후에 벌인 전쟁이다. 축구가 이 전쟁의 유일한 원인이라고는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그 당시까지 두 나라 간에 축적된 원한이 축구경기라는 기폭제를 통해 폭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32년이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이 개최된다. 자국에서 열리는 월드컵을 기념하기 위해 한 여성 소설가는 축구에 관한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개막 100일 전에 소설을 완성하고 출판하기에 이른다. 이 소설『축구전쟁』이 바로 중미에서 1969년 발생한 ‘축구전쟁’을 소재로 한다. 비록 우리에게는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이지만 작가는 ‘축구전쟁’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라틴아메리카 역사를 공부했고 특히 중미의 원주민인 마야의 역사와 라틴아메리카 독립과 수탈과 현재의 역사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후에 사실과 허구를 적절히 혼합하여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은 또 문학과 스포츠와 라틴아메리카 지역학을 적절히 조화시킨 작업을 통해 문학 장르 확장에도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Football War’ is a conflict between El Salvador and Honduras, two small Mesoamerican countries, after the match day of three matches in the rankings of the World Cup in Mexico in 1970. It would not be correct that football is the cause unique, but by the matches the grudges accumulated until then were explored. Thirty-two years later, in 2002 the Korea and Japan World Cup is celebrated. To celebrate the event a Korean writer begins to write a novel. And 100 days before the inauguration she finishes it and publishes it. This novel is exactly the ‘Football War’ that happened in 1969. Although that area is not known in Korea, the author studies the Lat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that would be the basis of the ’Football War’, especially Mayan history and mythology, independence and expropriatio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n combine these factors and complete the work. In addition, we can evaluate that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extension of the genres by the appropriate mixture of sports, Latin American study and literature.

      • KCI등재

        『그림자를 훔친 남자』와 『왕자의 특권』에 나타난 정체성 변이 양상 비교연구

        고슬기 ( Koh Selgi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4 스페인어문학 Vol.- No.110

        Laura y Julio and Le fait du prince were published respectively in 2006 and 2008 in Spain and France. In two works, similarly two men and a woman appear and the love triangle is formed. And the two protagonists experience the transition of identity with the other opposite man who has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ality. In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 the determining elements of identity and then how the identity transition and the determining elements of identity reciprocate between the characters in two works by Juan José Millás and Amèlie Nothomb, with an age gap of 20 years. It appears that while Millás tries to destroy the firmness of identity, Nothomb enjoys the liquidity of identity. And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novels, these novels reveals the desire to be another person and the wish to live a different and better life. In addition, the indirect experience appears too, which is one of the purposes of reading the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