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From the peripheral point of view, it can be argued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in China has yet to be matured theoretically and still remains more sentimental than analytical. This study define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China's perception of East Asia as “an Embracing Asia Perspective,” which has been embedded in Chinese mind-set and intellectual orientation ever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sides this, China internalizes both the “representing Asia perspective” and the “China and Asia as one-body perspective”, all of which, as this paper insists,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Embracing Asia Perspective. Therefore, China rarely views peripheral states in East Asia on a horizontal perception, and instead sees itself in a hierarchical interrelationship with them. This means that China perceives East Asia, as a device or a means, not as an autonomous entity or a purpose,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US, Japan and the West. In addition, China's hierarchical view of its regional neighbors is mainly attributable to a dichotomous world-view of "China vs. the West" structure that considers China a unique counterpart matched by the West and furthermore, capable of resisting it. In this world-view, China's presence is thought to be equated with the whole of East Asia as such and peripheral states merely fall into a category of cogs or sub-system under China as a whole system. By contrast, China always draws attention to both the US and the West as a good exemplary or a bad enemy, disregarding peripheral neighbors in East Asia. Following the pan-Asianism in the 1920s,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East Asian discourse entered into a dormant phase because of the civil war and World War II. During the Cold War period, ideological standoff led to a frozen state of discussion of unresolved history questions in East Asia. It is therefore forth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that a reasonable and critical debate on a variety of East Asian issues would follow. In fact, recently, critical intellectuals have come to take part in the East Asian discourse enthusiastically than ever before. 주변부의 시각에서 비평해 보면 중국의 동아시아주의는 아직은 정서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론적 수준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근대 이래로 중국인의 문화적, 지적인 심리구조에 내면화된 동아시아관을 “포아론”적 지향이라고 정의 내리려 한다. 중국은 아직도 동아시아의 존재인식이 미국/일본/서구에 대항하는 과정에서의 수단적 의미에 머물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주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중국은 “중국의 동아시아”라는 기본적인 사고에서 “아시아대표의식”과 “중아일체의식”을 내면화 하고 있는데 이 같은 인식들은 “포아론”의 함의에 모두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중국의 동아시아사고는 동아시아 주변부에 대한 수평주의적 지향을 회피하면서 위계적인 관계성을 내재화하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위계적의식이 생성된 배경은 중국의 타자는 유일하게 서구이며 중국만이 서구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표적인 존재라는 “중국 대 서구의 이원적 세계관”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세계관에서 중국은 아시아 그 자체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의 하위에 있는 작은 단위일 따름이다. 반면에 서구에 대해서는 항상 중국이 배워야하는 모범으로서 혹은 대치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적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범아시아주의의 등장이래로 중국에서의 동아시아사고의 발전적 전개는 내전과 세계대전으로 휴지기를 맞이하였다. 이어서 냉전시대의 이념적 대치상태로 인해서 동아시아지역의 공통적인 주제-동아시아의 근대사문제-에 대한 지적이고 이성적인 토론이 정체되었다. 탈냉전은 이러한 정체상황을 토론이 가능한 상황으로 변화시켰다. 근래에는 비판적 지식인의 동아시아담론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동아시아담론':상호연관성과 쟁점의 비교 및 평가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6 No.3

        According to the East Asian discourse, East Asians have been preoccupied with “a dream for the strong nation-state” in the past century that specifically accounts for the secularized concept of modernization, “the wealth and power of the nation-state.” But rising above the dream is more desirable in both bringing peace to the region and helping carry the grand project of 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the 21st century. This is an integration initiated from the periphery (weaker states) to the center (strong states), and an integration which differs from the past Chinese empire and the Japanese Greater-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In conclusion, it is the author's firm belief that the East Asian discours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vercoming the strong nation-state myth, thereby paving the way for East Asian integration in the post-Cold War era. For the full materialization of the spirit of the East Asian discourse, the essential component is continuous dialogue among intellectuals from throughout the region to gain and improve a horizontal perspective among them and to overcome the obsolete and redundant geographical concept of the nation-state. The East Asian discourse will therefore provide a communication network to support active intellectuals in their striving to provide an academic framework capable of supporting the regional positiv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동아시아담론은 서구중심의 근대주의적 발전주의에 대한 토착적인 대안 즉 동아시아의 자주적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동아시아담론에서의 동아시아의 개념은 냉전시대의 의미를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이다. 동아시아공동체구상에서 내포하는 동아시아의 의미는 지역의 중심국에 의해 주도되는 개념이 아닌 주변국이 상상하고 제안하는 탈중심의 동아시아개념이다. 그러나 지적인 영역에서 출발하여 정치적 사회적 실천의 영역으로 발전을 추구하려는 일종의 상상의 프로젝트로서 아직은 동아시아각국의 구체적인 정책에서 지역적 차원의 실천수준으로 발전되지는 않았다. 자연적으로 비판론자들은 담론이 단지 현상에 대한 비판을 위한 비판에 머무르고 있으며 구체적 대안이 없다고 한다. 동아시아담론이 단순히 정치경제적인 상상이 아니고 지적, 문화적, 인간적 교류까지를 망라한 복합적 상상이라면 지역국가 간의 상호 수평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지역국가의 경제발전과 제도의 투명성, 시민사회와 지식인간의 대화와 활동의 네트워크구축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담론의 주창자들은 탈국경적인 시민연대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개별 국가의 지식인 그룹과 민간운동의 주체가 직면한 모순이 미국 및 지역의 중심-주변국가들 사이에 연관된 문제이고 그 영향이 지역국가의 민중에게 미치는 만큼 그 해결도 단순히 일국내부 민간단체의 사회운동 내지는 대정부 투쟁이 아니라 국경을 넘는 연대운동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동아시아의 균형과 지역 국가들 간의 수평적 관계를 증진시키며 나아가 “수평적 지역 네트워크”를 형성 할 수 있다고 필자는 믿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티베트분쟁: 중국의 담론패권 vs. 티베트인의 자유의지

        고성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4 국제지역연구 Vol.23 No.3

        Tibetan history discourse, amid China's rise, 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historical lesson derived from an ordeal of ethnic minorities, who have come under the governance mechanism of knowledge system manipulated by the Western modernity. Historically, at the threshold of great transformation of World-system there lies behind a belief in a theory of evolutionary development that sacrifices of the weaker and minorities are not avoidable and even justifiable. In the same context, China's rise in the 21st century will produce a new knowledge system by which to create a new truth effect and governance mechanism justifying sacrifices of weak nation-states and minorities. However, such a history, that plays down the significance of the weaker’s sacrifice, should not be repeated. This paper comes up with the measure that solve the Tibetan issue, comparing the history claims by Chinese government and Tibetan government-in-exile. This controversy is not related to an issue of tangible proof but an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 major trend of official view of China’s history strongly reflects Pei Shaotong's assertion, “the theory of greater-China’s multi-ethnicity one-country system.”This Sino-centric view of history may marginalize a series of history narratives that features a wide range of meaningful exchanges between the nation-states in the past and nowadays, ethnic majority and minority, resistance and struggle, and oppression and sacrifice. In the final analysis, critical intellectuals in China and abroad have been the assertion that the fate of Tibet in the future rests on its’ own will. 티베트 역사담론이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중요한 이유는 서구 근대가 구축한 주류 담론체계에 의해서 억압과 배제를 겪었던 약자의 고통이 가르쳐 준 교훈 때문이다. 즉, 역사상 세계체제의 거대한 전환에는 약자의 희생은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진화론적인 역사담론이 배후에 있었다. 같은 논리로 중국의 부상은 동아시아에서 새로운 지식체계를 생성시킬 것이고, 그에 의한 새로운 진실효과와 지배기제는 약자의 희생을 정당화 할 것이다. 그러나 거대한 세계체제와 문명의 전환기에 있어왔던 약자의 희생을 당연시하는 역사는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되며, 최대한 예방하여야 한다. 본고는 티베트 역사론에 대해서 중국 주류의 논리와 국제 학계에서의 중립적인 견해들을 비교하면서 강자의 담론에 의해 배제를 겪고 있는 약자인 티베트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려 한다. 티베트의 독립 혹은 중국에의 병합의 차이는 역사해석의 문제이지, 실증적 역사자료와 증거의 문제가 아니다. 중국의 티베트문제에 대한 주류적 해석은 페이샤오퉁(費孝通)의 ‘중화민족 다원일체구조’의 통합적 역사론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관은 중국과 주변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국가, 종교, 다수와 소수민족 간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차원의 교류사, 저항과 투쟁관계, 억압과 희생의 역사를 중국 중심적 역사론의 외투로 덮어 버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중국과 국제사회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본고의 논지와 같은 맥락에서 티베트의 장래는 ‘티베트인 자신’들이 결정해야 한다고 주창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