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江澤民 時代의 民族主義的 改革: 對外的 環境과 對內的 論爭

        고성빈(Ko Sung-Bi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3 신아세아 Vol.10 No.3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에서는 ""탈사회주의 이념화"" 현상이 증가되어 왔으며,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가속화된 세계화의 경향은 외부영향으로 작용하여 중국지도부에게 복합적이고 상호모순적인 과제, 즉 지속적인 경제적 자유화를 이룩하면서, 공산당의 지도체제와 이념적 정체성을 견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이고도 모순적인 상황하에서 강택민 지도체제의 중국은 1990년대의 정책방향을 민족주의적 개혁으로 잡게 되었다. 강택민 지도체제의 중국이 민족주의적 개혁으로 방향을 잡게된 원인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것은 1990년대 중국이 처한 외적 및 내적 조건 그리고 이러한 조건들을 활용한 공산당의 전략적 판단이라 하겠다. 첫째, 외적 조건에 대해 언급하자면, 탈냉전의 도래와 함께 시작된 1990년대의 미국을 위시한 서방국가의 대 중국 견제-중국위협론, 미·일 신안 보지침, 미사일방어체제 및 인권문제에 대한 압력 등-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외부적 압력은 중국의 지식인 및 민중들의 민족주의적 정서를 확대 재생산하게 하였다. 두번째로 언급할 수 있는 내적 조건으로는 소련과 동구공산권의 붕괴를 목격한 중국의 지식인과 민중들 사이에서 ""급격한 정치개혁은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붕괴를 가져을 수 있다""는 현실적이고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보수적 시각의 증대로 인해 지식인 사이에서도 과격한 정치개혁의 주장보다는 기성의 정치권력과 다소 타협적인 정치개혁을 주장하는 논의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공산당의 전략적 판단은 공산당이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상황을 해쳐나가는 데 민족주의를 활용했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사회주의에 대한 신념이 와해된 상태에서 현 지도체제를 유지하고 경제개혁을 수행하며, 미국 등 서구의 도전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국민적 지지를 획득하는 데에는 민족주의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전략적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 중국 공산당은 앞서 언급한 외부적 조건과 내부적 조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면서 민족주의를 사회주의 대체이념으로 부각시키게 되었으며, 이러한 전략 구사의 결과, 강택민 지도체제하의 중국은 민족주의적 정책성향을 띠게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대만 민주좌파 지식인의 국족주의 비판과 동아시아상상

        고성빈(Ko Sung 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4 亞細亞硏究 Vol.57 No.2

        Taiwan has witnessed an internal conflict derived from both a split identity between Taiwanese and mainlanders and a domestic controversy over unification and independence, which created a so-called ‘Taiwanese nationalism’ that remains an repressive mechanism for autocratic governance. But, these two factors aforementioned aside, a shadow of historical regrets of imperialism, colonialism, and cold-war system have incessantly tormented this island country. In the view of democratic-leftist intellectuals, Taiwan has still come under a threat from mainland China and an influence of America’s neo-colonialism following the Dutch, Japanese and the KMT’s rule, respectivel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ritical intellectuals have been motivated to push for an intellectual campaign that features “post-imperialismㆍpost-colonialismㆍpost-cold-war,”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East-Asian discourse in Korea. Specifically, they have been impressed with the view that the discourse in Korea draws much emphasis to the peripheral view of the reg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critical intellectuals seem to regard the East Asian discourse as a feasible way to cope with the Taiwan’s dilemma in the face of a strong pressure of the PRC.

      • KCI우수등재

        정치문화의 시각에서 고찰한 중국지식인의 비판운동

        고성빈(Ko Sung-Bin)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0 No.4

        현대 중국에 있어서의 지식인의 비판운동은 중국의 정치문화 즉 유가사상과 레닌이즘에 근원을 찾을 수 있다. 그들의 교육배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공산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현대화에 참여했다면 그들은 모두 중국 정치문화에 영향을 깊이 받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지식인들의 정치참여양상은 정치체제에 대한 끊임없는 협조와 항거의 과정이라고 본다. 이 과정에서 “보수적 지식인”과 “개혁적 지식인” 혹은 “비판적 지식인”들이 주요 역할을 하게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는데 주요한 이념이었던 레닌주의는 역설적으로 지식인들의 비판적 태도를 온양하는데 유가적 전통과 더불어 도움이 되었다. 지식인의 항거는 인민의 복지를 증진시킨다는 유가적 개혁이상과 최고지도자의 독단주의에 반대하여 조직적인 당의 지도체제를 강조하는 레닌주의적 접근에 이념적으로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자신의 이해를 사회와 국가에의 봉사로부터 분리시켜 생각하지 않았으며 최고지도자도 여기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하나의 모순을 가지고 살아간다. 즉, 그들은 지적 자주성을 추구하나 그 자주성을 국가와 최고지도자가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중국의 차세대 지식인들의 사명은 그들의 이전 세대가 확보하지 못하였던 비판의 자유와 지적 자주성을 제도적으로 확보하는데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동아시아론

        고성빈(Ko, Sung 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1

        Japan and other East Asian states have never been able to issue their own views regarding the history disputes in the region because they have served the US-led cold war system as a cog, not a major actor. In this period, Japan turned a blind eye on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the East Asian invasion, bandwagoning on the US anti-communist system inj East Asia. It was then irritating even for progressive intellectuals and political elites to mention the history of East Asia, which often leads them to a controversy over historical accountability of invasion. In addition, a rightist tendency of history prevails Japanese society as conservative Liberal Democratic Party assumes a dominant leadership for many decades. Then came Taquewuchi Yoshimi, who put forward an issue of Japanese East Asianism in an introspective way for the first time ever since the Pacific war. Based on the idea of separation of historical structure and phenomenon, he comes to terms with an intellectual project, which tries to divide Japanese East Asianism into two flows, an ideology of East Asian solidarity and an ideology of East Asian invasion. In so doing, he tries to rebuild Japanese national identity, which has gone missing since the defeat in the WW Ⅱ, and then transpose it with Asian principle. This author tries to address different interpretation on Taquewuchi’s Asian discourse, consulting some existing comments of his arguments.

      • KCI등재

        동아시아담론에 대한 비평적 회고와 전망

        고성빈(Ko, Sung-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4

        포스트 냉전시대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지식과 문화의 사조에는 ‘인정투쟁’의 숨결이 그 기저에 깔려있다. 동아시아담론도 밑바닥에는 그런 움직임이 잠재되어 있다. 서세동점 이래로 동아시아를 덮친 서구적 근대와 전후 냉전체제가 부여한 지식과 문화의 지배기제는 동아인을 저항과 순응, 혹은 기회주의적 편승의 틀 안에 묶어 놓았으며, 포스트 냉전의 도래는 이렇게 억눌렸던 동아인의 자아의 각성과 존중받고 싶은 욕망을 자극하였다. 자연히 ‘탈근대적 문제의식’에서 파생한 탈서구, 탈제국, 탈식민, 탈중심, 탈국가 의식이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서구와 패권제국에 대한 동아시아의 저항의식을 자원으로 하지만 저항을 초탈하는 동서의 상호 수평의식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담론에서는 근대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 분단체제론, 복합국가론, 동아시아 한국교차로 구상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동아담론은 한편으로는 서구가 규정하는 동아시아를 벗어나 동아시아 자신의 주체성을 찾는 일종의 계몽운동의 성격을 띠면서도 동시에 중국과 일본의 동양학에 대비되는 한국의 동아시아학을 선도하려는 의도가 혼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여러 학자들이 제기한 견해를 필자의 생각과 상호 유비하면서, 동시에 동아담론의 미래의 비전과 현실주의적 실천성의 간극을 연결시키려는 의도에서 ‘의지적 낙관주의’에 의한 ‘미래사적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In the post-cold war era, behind the intellectual and cultural tide in East Asia lies the breath of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East Asian discourse also has such a movement at the bottom. The ruling mechanism of knowledge and culture, which was given by the Western modernity and post-cold war regime that have hit East Asia since the Western powers advancing toward the East, has tied the East Asians into a framework of resistance, conformity, or opportunism, and the arrival of the post-cold war has stimulated the awakening of the self of the suppressed East Asian. Naturally, the theme of the post-imperialism, post-colonialism, post-centrism, and post-statism derived from “post-modern critical thought” emerged as important topics. The East Asian discourse regards a resistance to the Western hegemony as theoretical resource, but it is aiming at the mutual horizontal consciousness of East and West that deviates from resistance. Specifically, in the discourse of Korea, the double project of adapting to and overcoming modernity, the division system theory, the compound state theory, and the project of East Asia’s Korea intersection are being raised. The East Asian discourse, which considers the subject, seeks a kind of citizen and intellectuals’ solidarity in East Asia as well as East Asian’s own identity beyond the one defined by the West. At the same time, it is mixed with the intention to lead the East Asian studies of Korea in contrast to those of Japan and China. Significantly of all, I try to propose “future historical methodology” by “will-based optimism” in the intention to link the gap between humanistic imagination and realistic practicality, while presenting the future vision of the East Asian discourse that I think while using the opinions of various scholars in mutual use with my thoughts.

      • KCI등재

        일본의 동아시아사고

        고성빈(Ko Sung-B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亞細亞硏究 Vol.53 No.4

        Since Meiji period, Japan’s view of East Asia has been composed of two flow of perspectives: One is a “deserting-Asia” and the other is a “flourishing-Asia” perspective. The former addresses that Japan should enter into the sphere of Western civilization out of East Asian one, insisting that other East Asian neighbors are not enlightened enough to push for national modernization even in the face of the pending threat from the West at that time. The latter, by contrast, put high regard to Asian culture and tradition, which, it asserts, deserve a respect from the West. On the surface, these two trends are not in harmony but, rather, remain same logic in a real sense. In fact, both perspectives, as two faces of one coin, imply a common idea that Japan is the uniquely modernized East Asian country so that it is endowed with a historical mission to lead East Asians. This ideational pattern gradually turn into an orthodoxy that claims Japanese exclusive leadership over other East Asians and justify imperialist invasion. It can thus be argued that the interplay of these two perspectives is deeply entrenched in the Japan’s discourse of East Asia, which has led to imperialist expansion and the final collapse in 1945.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at the interplay of two ideas has taken into effect until today, which has been witnessed in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on issues of East Asian modernization and history. But, some Japanese progressive scholars, my study also stresses, present new perspective of East Asia, based on both a serious reflection on atrocities in the era of imperialist expansion and a critical view of modernization with a blinded imitation of Western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