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별 사용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자동밝기 시스템

        고민영(Minyoung Go),최용훈(Yonghun Choi),차호정(Hojung Cha)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많은 모바일 기기들이 주변밝기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는 자동화면밝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자동화면밝기 기능은 사용자가 일일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편리한 기능이다. 하지만 단순히 주변 밝기만을 고려하여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의 나이, 사용 OS 등 개별적인 특성과 현재 걷는 중인지, 어떤 앱을 사용하는 중인지 등 상황에 대한 고려가 들어가 있지 못하다. 실제로 371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약 78%의 사람들이 자동화면밝기 기능을 사용하면서 종종 불편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개별 특성에 따른 자동화면밝기 기능의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자동화면밝기 기능을 불편해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면밝기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추출한 뒤, SVR 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필요한 화면 밝기를 평균 89%의 정확도로 예측하였다.

      • 민예품 제조용 주요 만경식물 (댕댕이, 인동, 등, 칡)의 해부학적 특징

        조효진 ( Hyojin Cho ),오종섭 ( Jongseop Oh ),고민영 ( Minyoung Go ),최태호 ( Taeho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본 연구는 민예품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주요 만경식물인 댕댕이, 인동, 등, 칡의 해부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양에서 출수된 유물 중 만경식물로 제조된 민예품은 고도로 열화되어 보존처리 전 수종 동정 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3단면 관찰이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종들의 재질적, 해부학적 연구는 미미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충북대학교 내에서 자생하는 수종들을 채취하여 목부와 사부로 나누어 슐츠액(35%HNO3 100ml 당 KClO3 6g)에 침지하여 해리한 후, Astra blue-Safranin 이중염색을 하여 현미경 관찰을 통해 부위별 구성 세포를 식별하고 섬유장과 폭, Lumen 폭을 측정하여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댕댕이, 인동, 등, 칡은 각 도관 및 소도관 요소, 목섬유, 섬유상가도관, 인피섬유 그리고 표피의 기공복합체와 헤어의 형태가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 댕댕이와 등에서는 격벽목섬유가 관찰되었고, 등과 칡에서는 다실결정세포가 사부에서 관찰되었다. 수종별 도관 및 진정목섬유,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인동의 도관요소가 1.10 ㎜로 가장 길었고, 칡의 도관요소가 247.48 ㎛로 폭이 가장 넓었다. 댕댕이의 진정목섬유가 1.16 ㎜로 가장 길었고, 인동의 인피섬유가 16.45 ㎜로 가장 길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