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가족치료에 적용된 포스트모던 실천 원리에 대한 고찰

        고미영 한국가족치료학회 2011 가족과 가족치료 Vol.19 No.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developments and clinical practices that have emerged in family therapy in the postmodern era and exploredthe acceptance of postmodern therapeutic ideas among Korean family therapists. Methods: Nine Korean clinical cases were examin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six specific postmodern practice idea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herapists properly and effectively applied the specified postmodern ideas to their cases.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les requir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 narrative paradigm were used less by Korean family therapists than principles that were more consistent with Korean culture. Conclusions: Korean family therapists appear to be adopting postmodern ideas in their clinical practice and are slowly turning to a narrative paradigm. 1980년대부터 가족치료계에 도입된 포스트모더니즘은 가족치료에서 인식론의 변화와 더불어 치료자들의 실천 양식을 변화 시켰다. 포스트모던 가족치료는 거리를 둔 합리적인 대화를 지양하고 가족들에게 유용하며 적절한 의미와 현실의 구성에 초점을 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가족치료의 이론과 모델에 나타난 실천 원리가 한국 가족치료 현장에서 적절히 적용되어 실제로 한국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 실천 원리의 실용성을 가늠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trong(2000)이 제시한 포스트모던 치료에서 사용되는 여섯 가지 실천 원리를 분석틀로 사용하여 발표된 사례들을 질적으로 내용 분석하였고 그 결과 비록 소수이지만 한국 가족치료자들은 포스트모던 실천 원리를 적절히 이해하였고 사례에 실제로 적용하였음을 찾을 수 있었다. 포스트모던의 실천 원리 중 내러티브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는 의미의 협상과 초청하는 대화의 원리는 한국의 문화적 배경과의 차이로 인한 제한점으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으나 치료 상황에서 내담자의 정체성을 새롭게 하고 대화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데에 매우 영향력 있는 원리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HP를 활용한 제주특별자치도 무장애관광정책 활성화 방안

        고미영,임화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관광레저연구 Vol.35 No.2

        As modern people's right to tourism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arrier-free tourism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ctivation plan for barrier-free touris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relating to barrier-free tourism and the AHP analysis was used for deriving priorities. The AHP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6 core projects and 22 detailed tasks. As a result of the AHP analysis, the expansion of accessible tourism environment facility support,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for the tourism week, and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free tourism human service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tasks of relatively high importan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ollow-up studies in that it presented policy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survey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policy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and project promotion related to barrier-free tourism in Jeju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제주방문 중국인 관광객 쇼핑동기와 만족

        고미영 동북아관광학회 2010 동북아관광연구 Vol.6 No.1

        쇼핑은 관광경험의 구성요소이자 관광목적지에서의 주요한 여가활동으로 관광목적지 매력물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쇼핑을 통한 관광수입과 고용창출은 지역사회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쇼핑동기와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검토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는 제주국제공항에서 여행을 마치고 출국하는 중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7일부터 27일까지 21일간 실시하였다. 총 294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미기재가 많고 불성실한 답변이 많은 설문지를 제외한 25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동기와 만족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동기에 따라 쇼핑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지역의 쇼핑관광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이야기치료의 변천과 발전: 이야기확장을 추구한 마이클 화이트의 이야기치료의 여정

        고미영 한국가족치료학회 2010 가족과 가족치료 Vol.18 No.1

        이 논문은 이야기치료의 창시자인 마이클 화이트의 생애를 통해 그가 이야기치료의 발전에 기여해온 바를 고찰하면서 이야기치료 이론의 변화 추이와 함의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야기치료는 초기에는 문학적이며 인류문화학적인 사고의 영향으로 이야기의 해석과 의미를 치료에 적용하는 독특한 치료체계를 구성하였다. 이후 진보적인 구성주의 시각과 사회비평 철학을 받아들인 이야기치료는 개인 및 가족의 문제와 삶에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사회 문화적 비평을 덧붙이게 되었다. 그러나 이야기치료의 작업은 거대 담론의 비평이 아니라 개인과 가족의 친밀하고 익숙한 이야기로부터 시작된 개인과 가족의 삶과 문제들에 대한 이야기 확장을 통해 삶의 변화를 추구 했다는 점에서 한국의 실천가들에게도 시사점이 있다. 이야기치료 이론의 변화와 발전에는 마이클 화이트의 끊임없는 지적 탐구와 모험적인 임상 실천이 그 뒷받침이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The author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therapy through exploring the works of Michael White. Originally, White derived his therapeutic ideas from literary and anthropological theories. Later, he used radical constructivism and critical philosophy to endow personal lives and relationships with political meanings, criticizing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problems. Narrative work is not just a criticism of political discourse but also an effort to change the real problems of persons whose lives are in distress. Narrative therapists use the well-known and familiar narratives of their clients to develop an alternative narrative, one that is still unknown but possible in the future. The author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narrative increment has implications for Korean practitioners in Korean situations.

      • KCI등재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 적용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고미영,하경희,박정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1 No.-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empowerment practice in a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implemented to reflect the context of the practice and to grasp the w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hange as the result of the empowerment practice. The finding is that community culture emerges through constant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agency during the process of empowerment practice. The community culture includes collaborative relationship, communicatio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choice and freedom. This process is the constant exchange of diverse perspectives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through ope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such interaction are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self and growth experience for all members of the agency. 이 연구는 임파워먼트 실천을 시도하는 한 사회복귀시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실천 현장의 맥락을 반영하고 임파워먼트 실천의 시도가 가져온 기관의 변화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얻기 위하여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임파워먼트 실천의 적용 과정은 ‘공동체 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적인 상호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파워먼트 실천의 적용 과정은 협력적 관계와 소통, 참여와 기여, 선택과 자율과 같은 공동체 문화를 형성해 가는 과정이었다. 이는 기관 안에 있는 구성원들이 다양한 관점과 견해, 그리고 경험들을 서로 교환하고 협상하는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아지고 성장해나가는 경험을 하였다.

      • KCI등재

        AHP를 활용한 고령사회 노인여가정책 우선순위 설정

        고미영,송재호,오상훈 한국관광학회 2010 관광학연구 Vol.34 No.3

        Korea is facing rapid demographic transition and already entered aging society in the 2000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rtion of people order than 65 will exceed 14% of total population by 2020. This study was to select priority criteria of senior leisure polic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Data were collected from 39 senior leisure professionals using the two step delphi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20 important policy tasks of senior leisure polic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out of 20 tasks, leisure program, leisure facilities, professional staff were the most important policy task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이야기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가족치료학회 2000 가족과 가족치료 Vol.8 No.2

        한국에서는 가족치료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더군다나 이야기치료는 이제 막 소개되기 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아직까지 매우 생소한 치료다. 또한 이야기치료를 수용하는 데에는 과감한 개념적인 전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제시하는 세계관에 대한 동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수용하는 데에는 한편으로는 친근한 근대적 개념들로부터의 분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하는 모험이 필요하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거론하는 많은 논제들은 이제까지 우리에게 익숙해져 있는 가정들과 원리들에 대하여 큰 도전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야기치료가 얼마나 한국적인 상황과 문화에 정착할 수 있을 지는 아직까지 의문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야기치료가 문화적 장벽의 구애를 받지 않고 각 문화의 특성과 언어에서 자라난 이야기를 도구로 삼아 쉽게 뿌리를 내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저자의 개인적인 치료 사례를 통해 이야기 치료의 한국 문화 안에서의 적응 가능성을 서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센터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분노 조절 소집단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8 No.-

        Nine sessions of biweekly anger control group has been deliver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during summer. Four aggressive and disruptive adolescents completed the group. The intervention was based on the stress inoculation of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which addresses the cognitive preparation, skill acquisition and skill applica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anger control group. Thre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cores of Child Behavior Checklist by Achenbach, self-rating scale, and behavior observation rating. This intervention study suggests a promising treatment effect on the lowering the incident of angry outburst in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 비평가로서의 로렌스 : 그의 교훈주의를 중심으로

        고미영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8 高凰論集 Vol.22 No.-

        Lawrence is already well known in Korea as a writer through Sons and Lovers, Lady Chatterey's Lovers, Rainbow etc. While he has been well studied as a novelist or an artist, he has not been studied enough as a literary critic. Except for two books, most of his critical views appear in his prefaces to other author's books, letters to intimate friends, and essays on the value of the novel. Though his views are sometimes irrelevant, they only show his different perspectives as a writer, reader, and critic. They in no way reduce his insights into literature and criticism. His views on literature could be explained with some basic concepts such as text, morality, and sincere trust, but all of his critical writings can be seen in the light of didacticism. The most important point he offers is the insight that the text is an autonomous being with the potential for multifarious meanings. When we restore the text to the context in which Lawrence formulated it, we find an invitation to engage in a form of rivalry between reader and author, similar to that sketched by Barthes. In this rivalry, the critic is a reader, and the reader also a critic. Lawrence's comments on literary criticism are not only aesthetic judgments but also are closely related to the morals of our real world. In other words, Lawrence thought all the valuable literature should show some kind of truth that could develope our senses of right and wrong. The role of the critic should be to advise the reader on how to arrive at the didactic message that is the morality of the text. Therefore, for Lawrence, the crictic should be a man of whole character and he should necessarily have an ability to feel from the deep inner senses and to explain the critical process for reader. We, the reader, should accept a text as a being and listen to its voice through our inner senses. That's exactly what Lawrence or the text demands of us, because our reading is the activity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r truth, which is never different from the author's writing. Lawrence's critical writings are so find that they are a kind of literary works by themselves. Some critics insist Lawrence is eccentric and his literary comments are irrelevant. The reason why one would misunderstand him like this is that he didn't pay attention to the critical terms. And another reason is his literary writings consist of metaphors and symbols. Lawrence who thought that the important function of literary text should be the representation of morality, creates some difficulties by destroying the border line between aesthetic and moral judgment. He has his own psychology of human mind. Therefore, his literary and critical works need to be studied comparatively in the light of Freud, Lacan, and others. Although his writings are sometimes of uneven quality, his insights into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criticism show that he was a forerunner as a modern critic. As for Lawrence, the proper function of a critic is to save the tale from the artist who created it, because the morality of the art work was rarely to be found in the morality of the author. The most important point he offers is the insight that the text is an autonomous being with the potential for multifarious meanings. When we restore the text to the context in which Lawrence formulated it, we find an invitation to engage in a form of rivalry between reader and author, similar to that sketched by Barthes. Lawrence's comments on literary criticism are not only aesthetic judgment but also it is closely related with moral of real world. In other words, Lawrence thought all the valuable should show some kind of truth that could develope our senses of right and wrong. Therefore, the morality in text is the same didactic message that critic should advise how to arrive at it. We, the reader, should accept a text as a being and listen to its voice through our inner senses. That's exactly what Lawrence or text demands of us, because our reading is the activity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r truth, which is never different from the author's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