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지능형 입력 장치의 설계와 구현

        고등영,전병운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4

        Mos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ance machinery and tools for disorder people of Occupied are machinery and tools for a visual impairment person and software, The things which can apply to only a specification disorder type and a specification disorder part are most, A special keyboard or a special mouse device of the handicapped person that disorder rank is comparatively the hardness makes the mainstream. It is reported in diffusion rate being very low if I compare this with total disorder population. I study new 1 plan which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sorder types and disorder parts through an intelligent special input device in a study of a book and, I designed this at the real standard that I could manufacture and incarnated it. In addition, I suggested this in a base for a design of a universal supporting input device and suggestion for the side of incarnation plan and a future study direction. 국내에 보급되어 사용 중인 장애인용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대부분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기기나 소프트웨어이며, 특정 장애 유형과 특정 장애 부위에만 적용 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고, 장애정도가 비교적 경도인 장애인의 특수 키보드 또는 특수 마우스 장치가 주류를 이룬다. 이 또한 전체 장애 인구에 비하면 보급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지능적인 특수 입력장치를 통해 다양한 장애유형과 장애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연구하여, 이를 실제 제품화 가능한 수준으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더 보편적인 보조입력 장치의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위한 제안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증지체장애인을 위한 일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산업 동향

        고등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3

        이 연구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산업이 정착되어 활성화되고 있는 일본의 정보통신보조기기 산업을 장애유형, 특히 중증의 지체장애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정보통신보조기기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주요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의 법률적 근거는 무엇이고, 장애인을 위한 전반적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산업 현황과 그 속에서 중증지체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산업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증 지체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어떠한 종목의 보조공학 기기가 요구되는지를 조사하였고, 현재 보조공학 산업동향은 어떠한 발전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중증 장애인들이 사용할 보조공학 기기산업의 발전 가능선과 추구해 나가야할 지향점을 찾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일본의 정보통신 보조공학 시장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정보통신 보조기술 개발 및 보급 활성화 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 종합적인 정보통신 보조공학 정책 수립, 2) 장애유형 및 보조기기별 균형 있는 지원 정책의 수립, 3) 원천기술 및 지적재산권 사용에 대한 공유, 4) 정보통신 보조기술의 해외 경쟁력 우위 확보와 전문적인 보급 서비스 체계를 구축 등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of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Japan. This study carried the investigation of laws to foster industry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and analysis the tendency of Assistive Technology of people with severe handicap in Japan.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Japan enacts the related laws and helps the industry of assistive technology go the forward. Second,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moving to software from hardware. By observing the trend of Assistive Technology industry in Japan, the following key points are obtained to vitalize the development and supply with Assistive Technology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st of all, the whole plan to activate Assistive Technology should be made. Secondly, the policy on the balance of support to provide assistive device upon the type of disabilities and devices should be set up. Thirdly, the natural resour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must be shared. Lastly, Assistive Technology needs to be strongly competible with the one of other countries and providing service should be made into systematic and professional.

      • KCI등재

        중증장애인의 생활편의 증진을 촉진하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법규 및 제도

        고등영(Dung-Young Go),박경옥(Kyoung-Ock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0

        본 연구는 미국에서 중증장애인들에게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법과 제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에 대한 법과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시대통령의 New Freedom Initiative 정책, 재활법, 장애인법, 보조공학법 등에서 중증장애인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편의를 증진케 하기 위한 법과 제도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의 생활편의 및 재활을 촉진시키기 위한 편의 증진과 효율적인 재활공학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중증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필요도에 대한 요구조사, 정보통신 보조기기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개발 업체의 지원 및 보급 시스템에 대해 전문가들의 역할 등의 연구 분석을 통한 제도와 전문 인력 배치 및 활용의 정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various laws and systems to support IT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raw suggestions for laws and systems on the support of IT assistive devices for the ones in Korea. This study identified the details of laws and systems to provide conveniences for the engagement of the daily life and rehabilitation by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New Freedom Initiative policy of President Bush, the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Act, the US Disabilities Act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Act, and analys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from. To increase conveniences and introduce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facilitating life conven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and professional personnel through the demand survey on the need for IT assistive device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the support on the developers of IT assistive device program and hardware, the analysis on the role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service experts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조사

        고등영 ( Deung Yong Go ),박경옥 ( Kyoung Ock Park ),육주혜 ( Ju Hye Yook ),유재연 ( Jae Yea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통신보조기기 보조기기 이용 현황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인식 및 관련 정보 전달 방법 및 지원 확대 품목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좀더 체계적인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보급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2002년과 2004년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장애유형별 정보통신 보조기기 및 특수 SW 사용비율에 근거하여 비례 할당하였으며, 미사용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등록돼 있는 장애인의 성별, 지역별, 장애유형별, 장애등급별로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하여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면접 또는 전화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정책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 1인당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확대, 품목의 다양화, 관련 정보 및 교육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해 재고해보는 것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보급하기 위해 개별적 진단-처방-일상생활 적용을 연계지을 수 있는 실효성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into how the person with disability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how they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on purpose to produce the basic data and resource for making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ublic policy which was affecting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developmen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accessed and used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we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the ratio of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ecialized software by type of their di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ones, who did not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who registered on the lis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legally, a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gender, region, type of disability, grade of disability. The group for a survey was formed randomly and interviewed or phoned by a professional survey agency. A survey showed the majority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required a change for the better, such as a various support, a expanding items and numbers of the person who is aided. A lo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strongly agreed that the policy related with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supply needs to be developed, for example, increase of assistive device supply per person, the multiplicity of assistive device items and the service of rel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활성화를 위한 일본 특례자회사의 실태 및 성공 사례 고찰

        임경원,고등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if the system of th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has been succeeded and needs to be analyzed its structure and present status to apply to the system of subsidiary companies in Korea . To analyze the successful cases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and present status, I chose and studied 10 selective articles, relevant materials and documents of relevant organizations. To promote the Korean subsidiary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system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it is needed that first, revision of the related law, second, enforcement on group related system, third, double count of the employment rates of the severely disabled. After observing the excellent cases of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it appears that first, there is a rise in employment rates of disabled people, second, perform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 third, there is an increase in client reliability and company's image, and fourth, job security of the handicapped and diversification of job opportunity. From now on, it is proposed that first, diversification of available occupation, second,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of the subsidiary companies, third, seeking for diverse working hours and securing employee benefits, and fourth, improvement in handicapped people’s vocational ability and job settlement rates. The following research would be required concrete survey on the Japanese special subsidiary companies and related public agenc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특례자회사 제도의 실태와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제도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시사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본 내 관련기관의 자료와 연구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특례자회사 성공사례를 보고한 1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일본 특례자회사 제도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특례자회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관련 법률의 개정, 둘째, 그룹 적용제도의 시행, 셋째, 중증장애인의 고용율 중복계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특례자회사 성공사례를 살펴본 결과, 특례자회사의 성과는 첫째, 장애인 고용율의 상승,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셋째, 고객의 신뢰도와 기업의 이미지 상승, 넷째, 장애인의 일자리 확보와 직업영역확대로 나타났다. 향후 과제는 첫째, 직업영역 확대, 둘째, 자회사의 경영합리화, 셋째, 다양한 근무형태의 모색과 복리후생 확보, 넷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능력 향상과 직장 정착율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일본 특례자회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연구와 일본 특례자회사 관련 기관 및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김호연,고등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This study surveys the utilizing statu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electronic & information access and communica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problems reported by subjects when using the assistive tech. Originally this study was supported by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in Dec. 2006. The data for the current study was drawn from the original study and reanalyzed. First of all, almost 68 to 90% of the subjects are regular users of computer, internet and cellular phone. The subjects have needs of improvements in terms of quality of product and policies of assistive tech. Additionally this study figures out chief cause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n each product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Last, through the suggested improvement plans, three ideas were proposed for policies and industrial markets on assistive tech.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 실태 및 사용상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의해 전국 규모로 실시된 정보통신 보조기기 및 특수 SW 사용 실태 조사 중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만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새롭게 분석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은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고, 일반적인 정보통신 관련 유형 세 가지 (컴퓨터·인터넷·휴대폰)에 대한 사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 전체 90% 이상이 사용하고, 그 중에 휴대폰을 68%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 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제품 사용의 불편함 및 만족과 불만족 요인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품목 및 기능과 보급정책에 대한 낮은 인지도로서 보급상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