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 저수지 관재용수 공급시기 및 절수 방법 기초자료 설문조사 분석

        남원호,최진용,최순군,장민원,이남호,고광돈,Nam, Won-Ho,Choi, Jin-Yong,Choi, Soon-Goon,Jang, Min-Won,Lee, Nam-Ho,Ko, Kwang-D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1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8 No.1

        Agricultural reservoirs importantly role for paddy rice cultivation with about 18,000 numbers, so that understanding of operational rules for the reservoirs is quite meaningful for proper irrigation water supp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key reservoir operational elements over nationwide. The target reservoirs are mainly operated by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221 water management persons in province office of KRC were involved in this survey. The key reservoir operational elements including starting and ending time for irrigation, transplanting water supply periods, midsummer drainage periods and drought response strateg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ey elements for reservoir operation depend on weather, rice variety and cultivation conditions.

      • 저수지 가뭄지수를 활용한 농업가뭄 평가 - 2012년 가뭄을 중심으로 -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장민원 ( Min-won Jang ),고광돈 ( Kwang-don Ko ),이금준 ( Geum-jun L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농업 가뭄은 관개기의 원활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또는 작물 생장을 저해할 정도의 용수공급이 어려운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농업용 저수지와 같은 수리시설의 능력을 고려한 해당지역의 가뭄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가뭄이 발생하였을 경우 논 관개지역은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가능여부를 기준으로 가뭄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기존의 기상학적인 가뭄과는 가뭄판단 과정에서 상이한 기작을 나타낸다. 농업용 저수지는 일반적으로 비관개기동안 강수를 담수한 후에 관개기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장기간의 강수량 부족상태를 대비한다. 따라서 농업가뭄은 장기간 강수의 부족으로 가뭄상태를 평가하는 기상학적 가뭄과 비교하여 가뭄상태 반응이 지연되거나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상학적 가뭄의 경우 지속적인 강수의 부족상태를 나타내는 무강우일수를 활용하여 가뭄의 시점과 종점을 판단한다면, 농업가뭄의 경우 강수의 지속적인 부족 상황이 발생하여도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부터 관개지역의 수요량을 공급할 수 있다면 가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적 가뭄 측면에서 이러한 농업용 저수지의 기능을 포함하여 가뭄상황에 맞게 농업가뭄을 표현할 수 있는 저수지 가뭄지수 (Reservoir Drought Index)를 활용하고자 한다.

      • 웹기반 농촌홍수관리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정인균 ( Jung In Kyun ),김성준 ( Kim Seong Joon ),김대식 ( Kim Dae Sik ),고광돈 ( Ko Kwang Don ),이금준 ( Lee Geum Jun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8 No.-

        The flood risk and property damage has increased in rural areas due to the increased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vy rainfall event. The 3,320 agricultural reservoirs, which has been managed by KRC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are distributed over the rural area. However, only a few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flood control capability.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lood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KRC reservoirs during the storm periods.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ual idea for the development of web-based flood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of agricultural reservoirs which will be managed by KRC in the future.

      •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 설문조사 분석

        남원호 ( Won-ho Nam ),최진용 ( Jin-yong Choi ),이남호 ( Nam-ho Lee ),장민원 ( Min-won Jang ),유승환 ( Seung-hwan Yoo ),최순군 ( Soon-goon Choi ),고광돈 ( Kwang-don Ko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농업용 저수지 운영에 있어서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과 가뭄대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저수지의 효율적인 물관리 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 기존의 농업용수관리 방식은 각 지사에서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가뭄평가 및 대책수립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각 지사의 농촌용수 관리방식을 정보화하는 것은 가뭄의 중장기 예보와 가뭄대책 수립을 위한 필수사항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화 관리 방식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방식 개발방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뭄평가 및 대책수립 지원 시스템의 적절한 개발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농촌용수와 관련된 전문가 224명을 대상으로 농촌용수관리 실태에 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관할구역 내 저수지의 급수시기 및 급수시기 결정방법, 관할구역 내 못자리면적의 비율, 이앙용수 공급시기와 이앙용수량 결정 방법, 중간낙수를 고려한 저수지운영여부 및 중간낙수의 시기, 저수지 급수 종료시기, 절수의 방법 및 시기, 이모작이 실시되는 논의 비율 및 이모작으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등으로 구성되었다. 설문결과 급수시기 결정 방법은 주민의 요구가 41.8%, 담당자의 경험이 28.8%로 나타났으며 급수시기는 지역별로 상이하나 4월 중순 32%, 4월 하순26%로 나타났다. 중간낙수 고려여부는 86%가 고려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중간낙수시기 역시 지역적으로 상이하지만 6월 하순이 31.3%로 가장 많았으며 7월 초순이 21.0%로 나타났다. 급수 종료시기는 대체적으로 지역적 편차가 적어 9월 하순이 46.4%, 10월 초순이 24.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물 관리체계 및 가뭄극복지원시스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