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4차 교육과정기 미술 감상작품 분석

        고관희(Ko Koan Hee)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이 교과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시기를 제4차 교육과정기로 잡은 것은 정권 교체의 혼란기에 그 정당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도가 교과서에 얼만큼 관여했는지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의 변화는 정권의 교체기와 함께 이루어졌고 감상작품의 변화과정을 살피는 일은 정권의 성격이 미술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일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제4차 교육과정기의 미술 교과서 감상작품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수요목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작품 수를 알아본 결과 감상작품 수가 가장 많은 시기는 제4차 교육과정기였다. 총238점의 감상작품 중 한국 작품이 211점이나 수록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많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예술성과 우수성을 알리고자 한 의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열식의 산만한 구성과 인쇄 질의 저하로 좋은 감상을 하기에는 적절치 않았다. 둘째, 조선의 회화 작품이 다양하게 수록되었다. 4차 교육과정 이전에는 김득신과 신윤복 작품만이 미술교과서에 실렸다. 그러나 4차 교육과정에서는 김홍도와 정선의 작품이 더해져 조선시대 회화의 우수성을 더 많이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한국미술사에 대한 꾸준한 연구 성과의 결과였다. 셋째, 전통미술 작품의 수록이 많아졌다. 한국의 대표적인 탈인 <하회탈>, <북청사자놀이탈>, <양주별산대놀이탈>과 조선 후기 서민층 사이에 유행했던 민화가 처음으로 교과서에 실렸다. 서예교육도 강조되어 세 단원에 걸쳐 구성했을 정도로 학습량이 대폭 늘었다. 넷째, 민족중흥의 슬로건을 걸고 정치적 홍보성을 담은 작품이 대거 수록되었다. 박정희 정권에서 애국심을 부추기기 위해 제작했던 민족기록화가 미술교과서에서 감상작품으로 제시되었으며, 행사를 알리는 포스터 기능을 차용하여 국가 주도 사업을 전 국민에게 홍보하였다. 미술 교과서에 전 대통령의 글씨나 국가시책 홍보 포스터를 수록한 것은 전 교육과정기를 거쳐 처음 있는 일이었으며, 그 이후로도 일어나지 않았다. 제4차 교육과정기의 미술 교과서에 전통미술작품을 많이 수록함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전통미술 교육을 통하여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게 되었고, 민족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유신 독재 시대의 정신을 계승한 ‘민족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일탈적이고 불균형적인 감상작품도 다수 제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정책에 의해서 왜곡되고, 정치 편향적인 작품을 수록함으로써 미술 교육 본연의 뜻을 거슬렀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은 정치적 영향에 의해 파행적으로 실시되어서는 안 되며 보편타당성 있는 교육의 본질을 찾아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정치색을 배제한 참된 미를 표현한 감상작품을 통하여 학생들은 올바른 미술사관을 가질 것이며, 참된 미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derives from raising the questions about the effect of the policy of government on textbook. The reason why I chose the fourth period as a period of curriculum is that I would like to know how much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 to establish the legitimacy was involved in the textbook during the troubled times where the regime was changed. The change of curriculum coincided with regime change. The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artworks would be the study on how the characteristic of regime was reflected in the art textbook. First, I examined the number of artworks published in the art textbook from the pre-art curriculum period to the seventh period of curriculum. The period where the greatest number of the works is the fourth period. It is unusual that 211 works are Korean, among a total of 238 work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ought to inform a lot of works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modern period. However, the unfocused composition which listed the works and the low quality of printing are inappropriate to appreciate the works. Second, the painting during the Choson dynasty. While before the fourth curriculum, the textbook only focused on the works by Kim Deuk-sin and Shin Yun-bok, the works of Kim Hong-do and Jeong-seon were added to the textbook in the fourth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high quality of Choson painting. The untiring study on Korean art history have enabled the public to know Korean artworks and their artistic value. Third, the number of traditional artwork in the art textbook increased. Korean traditional masks were first published in the textbook, such as hahoe mask, Bukcheong Saja-nori mask, and Yangju Byeolsandae-nori mask. The education of calligraphy was highlighted, and the text book consisted of three chapters about calligraphy. This emphasis on the Korean traditional art increased the amount of the students’ education. Fourth, the works for the political propaganda which presents the slogan of the national restoration were published. in the textbook, the painting of national records were suggested as a propaganda of Park Chung-hee government to infuse patriotism. The propagandic posters of the national projects were included to promote the projects to the whole nation. It is the first case that the propagandic poster for the national projects and the calligraphy of the president were contained in the art textbook. After this curriculum period, such case has not happened. The art textbook of the fourth curriculum period included a large number of traditional art works, and it made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them and to have a national pride.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dentity’ which inherits the spirit of dictatorship was emphasized, and the asymmetric composition of the works was suggested. I would argue that including the works distorted and biased by the government went against the essential meaning of art education. The education should not be executed by political influence, but be provided according to universal standards. Students are able to set up proper view of art histo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works of genuine art, excluding political color.

      • 한국 현대 초등미술교육 변천 연구

        고관희(Ko, Koan Hee)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4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3 No.-

        이 논문은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실린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기간은 해방 이후부터 2007년까지 약 70년에 걸친 시기로, 총 9회의 교육 과정기별로 1~6학년 미술교과서 61종에 수록된 819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향은 해방 이후부터 2007년까지 교육 과정의 변천을 겪으면서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런 변화는 미술사학의 발전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작품 선정과 정치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교육 과정의 변화 주기는 일반적으로 정권 교체기와 함께 이루어졌다. 따라서 감상 작품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일은 각 정권의 성격이 미술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일이 될 것이다. 분석 방법은 각 작품을 장르와 시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사학계의 발달에 따라 교과서에 실린 감상 작품의 선정과 작품 설명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육 과정 초기의 감상 작품은 시대와 장르별 편중이 심하였고, 작품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작품명과 시대, 작가 등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미술사학과의 대학 학부 개설과 미술사 관련 연구회의 활발한 활동으로 미술사 연구가 심화되자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 작품도 시대별, 장르별로 균형있게 선별되었고, 그에 대한 설명도 명확해졌다. 이것은 미술사학자들이 교과서 편집에 관여했는지의 여부를 떠나 사회 전반적인 미술사 인식이 변화,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치 권력에 따라 감상 작품의 선정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1973년에서 1987년에 이르는 시기는 ‘민족중흥’의 슬로건을 내건 3~4차 교육과정기이다. 국민교육헌장의 이념에 따라 ‘민족주체’ 의식을 강조했고 유신 체제를 수용하게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교과서의 감상 작품에도 전쟁을 주제로 하는 ‘민족기록화’나 새마을 운동을 알리는 홍보용 포스터가 등장하였고 나중에는 전직 대통령인 박정희의 친필 현판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셋째, 사회 현상과 문화 정책에 따라 감상 작품의 내용이 심화,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1980년대 후반에서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민중미술 시대에는 벽화와 판화 작품이 교과서에 수록되었고, 국민정부 시대에는 민중 미술가인 오윤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이러한 작품 선정의 변화는 사회적인 변화가 동반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는 시지각 문화의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 교과의 목적을 단순한 표현 활동과 지식 습득에서 한걸음 나아가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게 하였다. 따라서 현대 미술사 조를 이해하기 위해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미술 작품이 소개되고, 미국이나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제3세계 미술작품도 소개하게 되었다. 미술 교과서에 실린 감상 작품은 미술사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로는 표현 활동을 돕기 위한 참고 도구로 쓰일 것이며, 때로는 감상 활동을 통해서 사회 의식과 미의식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객관적이고도 공정한 잣대로 미술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배우는 학생들이 올바른 미술사관과 미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