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경제와 지식재산

        계승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1

        본고는 공유경제와 지식재산제도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공유경제는 경제사(經濟史)적으로 의미가 있고, 이념적으로는 자본주의의 폐해성, 즉 자원낭비, 효율적이지 못한 경제 현상 등에 대한 자기반성에서 출발하였지만, 소유권제도를 부정한다든지, 모든 재산을 통제하고 사회 전체의 공유로 하자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다른 한편, 지식재산제도는기술과 과학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재산에 대한 권리와 활용 등을 논의하는 것으로 공유경제와 지식재산제도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요즈음 회자되는 제4차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 등과 공유경제, 지식재산제도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지식재산이 발전함에 따라 그동안 지역적이고 이념적인 공유경제가 글로벌화되고, 더욱 활성화되어 하나의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지식재산제도는 다른 재산권, 예를 들어 유체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인정하는 소유권과는 달리 지식재산의 속성상 공유경제의 이념에 해당되는 것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작재산권의 제한, 특허권의 강제실시, 보호기간제도, 공공저작물, 오픈 소스, 클라우딩, 지식의 공유를 의미하는 도서관제도 등 지식재산에는 내재적으로 공유경제의 이념과 일치하는 부분이 다른 재산권과 비교해 보면 이미 존재하고 있다. 지식재산제도도 공유경제의 이념에 가능하면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지식재산제도의 독점성에 대한 재검토, 권리소진이론에 대한 재검토, 플랫폼역할에 대한 관리와 감시 등 몇 가지 쟁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ing economy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Sharing economy began with an ideological reflection on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m, such as wasting resources and inefficient economic phenomena, while being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the economy. However, the sharing economy does not contradict the ownership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ppears disconnected from the sharing economy by discussing property rights and its utilization of new forms of property as technology and science developing. Howev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sharing economy, and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re closely connected. As intellectual property has developed, it can be said that the local, ideological sharing economy has become global, more active and a kind of industry. Unlike other property rights, for example, the ownership to recognize exclusive rights to material stuff,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lready has its own equivalent in terms of its nature to the ideologies of a sharing economy.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has already something in common with sharing economy, such as limitation of copyright, enforcement of patent rights, protection periods, public works, open source, clouding, and library systems, which mean sharing knowledge.

      • 영화제작자의 법률상 지위

        계승균 영산대학교법률교육연구원 2006 영산법률논총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tatus of the film-producer in korean copyright act. First of all, the Mass-Investment is specially characteristic of Filmwork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opyrighted works. Korean Copyright Act regulates the Principle of Creator on that who creator is. According to the Korean Copyright Act, film-producer is not Creator because he is not devoted to the Creation to make film. However, Filmproducer is regarded as the core person by Korean Copyright Act, because he plans the filmproducing and manages the organization as a whole, and he support finances to make film. In addition, he is responsible for the making film generally. He should enter into the contract with the other participants in his own name. At present the film-industry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Korea. It stands as symbol for korean culture, so that we must concern about film-industry.

      • KCI등재

        「산업기술 유출 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운용시 예상되는 몇 가지 문제점

        계승균 한국지식재산학회 2007 産業財産權 Vol.- No.23

        This study is devoted to the some critical comments on the Act about the technology leak preven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nd support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Act is as follows ; Industrial espionage such as smuggling industrial technology to foreign countries is pervasive in Korea. The curren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Business Secret Protection Act and the other close to this Act or regulations,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have not paved the way for the progress in prevention of technology leaks. Thus, the purpose of this Act is (ⅰ) to prevent leaked information of core technologies which could pose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ⅱ) to protect core industrial technologies by establishing a legal framework to prevent them from being leaked and strengthening a sense of security; (ⅲ) to enhance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our country by protecting and supporting science/ industrial technicians, researchers and developers; and (ⅳ) to guarantee national security and stabilize our economy. I criticise this Act fr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s of view. Theoretically, many invalid and vogue terms are provided in this Act, e.g. national security, national economics, core technology. Man can not find the exact criterium of these terms to make an application to the concrete cases. Practically, I am afraid of the bureaucratism in the sphere of industrial administration. Even though the purpose of this Act has the proper basis, the progress of technology is very fast and does not wait for the time, but the industrial administration does not back the technology environment up in the business. To my opinion, there are many Acts in connection with industrial espionage in Korea. Before the Enactment of this Act, the Korean Government had to let the lawyer or the law-professor research the relation with the other Acts or regualtions.

      • KCI등재

        대작과 저작권

        계승균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hostwriter and copyright. Historically and socially, it can be said that ghostwriting has become commonplace. Ghostwriting is that the real author hides. In the realm of creation laws, such as patent law and design protect law including copyright law, there is a system that allows true creators to be granted legal rights. In Korea, there is a provision for presumption of authors, in which the person indicated in the work is regarded as the author. In the case of a ghosterwriter agreement, there has been a discussion about whether such a ghostwriter agreement is legally valid from an early age, and the discussion is still ongoing. First of all, A ghostwriting i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principle of creator of the Korean Copyright Act, plagiarism, and the right of paternity. And in Korean Copyright Act, it is also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false indication. Because ghostwriting basically hides the true creator and indicates others as the author,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research misconduct in the academic world and creative ethics in the fields of art and literature. In addition, in Korean Civil Law, there may be a discussion on whether the ghostwriter agreement violates the provisions of Juristic Acts Contrary to Social Order. A ghostwriter is related to various fields not only in the code of ethics but also in the legal norms. This paper has tried to address all of these points as much as possible. Opinions in Korea are divided as to whether the ghostwriter agreement is valid. Opinions are also divided eve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false indication of the Korean Copyright Act. However, in Germany, such a ghostwriter agreement is regarded as a violation of Juristic Acts Contrary to Social Order in the case of academics and arts, and in the autobiography of politicians, such ghostwriter agreement is considered valid. This opinion in German seems to be conscious of the ghostwriter market. In our legal system, it is thought that the agency system is basically recogniz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Nevertheless, it is thought that Ghostwriter is related to the power harassment culture in Korea.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 the opinion to deny the ghostwriter agreement is also strong. And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new discussion is needed for the ghostwriter 이 논문은 대작과 저작권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대작은 일상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대작은 진정한 저작자가 숨는 것을 말한다. 저작권법을 비롯한 창작법의 영역에서는 진정한 창작자가 권리를 부여받도록 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작자는 저작물에 표시된 자를 저작자로 보는 저작자 추정조항이 있다. 그리고 대작합의를 하는 경우, 이러한 대작합의가 법률적으로 유효한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논의는 일찍부터 있었고, 지금도 논의가 진행 중이다. 대작은 우선 저작권법의 창작주의와 창작자주의, 표절, 성명표시권과 연관성을 가진다. 그리고 저작형법의 영역에서는 허위표시죄 성립과도 관련성을 가진다. 대작은 기본적으로 창작자를 숨기고 타인을 저작자로 내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학문의 세계에서는 연구윤리부정행위와 예술, 문학의 영역에서는 창작윤리와 연관성이 있다. 또한, 민사법의 영역에서는 대작합의가 공서양속 조항에 위반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다. 대작은 윤리규범뿐만 아니라 법규범에서도 다양한 영역과 연관성을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가능한 한 모두 언급하려고 노력하였다. 대작합의가 유효한지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이는 저작형법의 허위표시죄 성립에서도 의견이 나누어진다. 그런데 독일의 경우, 대작합의는 학문, 예술 등의 경우에는 공서양속 위반으로 파악하고, 정치가의 자서전 등에서는 이러한 대작합의는 유효한 것으로 본다. 이는 대작작가 시장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법체계상 사적 자치의 원칙상 대리제도를 기본적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대작은 갑질문화와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작합의를 부인하는 견해도 유력하다. 그리고 대작은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저작권법상 패러디에 관한 일 고찰

        계승균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東亞法學 Vol.- No.57

        This paper is devoted to examining a parody from the viewpoint of legal perspective,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Korean Copyright Law. A parody is one of the important arguing points in the copyright law of each nation, because it has many issues related to the author's moral rights and author's property rights of copyright. In addition, a parody is the most important example to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opyright and patent as well as trademark. To borrow the core contents in the protected original works of others is the clearest character which is not criticised by the author of original works. It is praised by the public, meaning means legal and new creative works, which is qualified to be protected by copyright law. However, if a man use the core contents of patented invention and protected trademark, it is considered a direct infringement under the Korean Patent Act or Trademark Act. I think that the most similar concept to parody is a plagiarism which is taking the words or expressions protected by law from other's works and use as his own without admitting one has done so. The plagiarist has a tendency to insist that his works are a parody that means original and creative works. Even though the creative structure between parody and plagiarism is similar, the direction or effect of each one is thorough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Korean Copyright Act that was revised in last year, parody is anticipated to be subject to the Fair Use Clause that has recently added. This Clause was developed over a hundred years ago in the American Copyright Law with many cases. 패러디는 저작권법상 다양한 논점을 제시하고 있다. 왜냐하면 패러디는 기존의 저작물의 핵심적인 부분을 다루면서도 저작권침해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의 법리에 따르면 타인의 저작물의 창작성이 가장 뛰어난 부분에 대한 변형을 가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저작권침해가 성립되어야 하지만, 패러디는 오히려 저작권침해가 부정되고 새로운 창작물로서 칭송을 받으며 새로운 저작권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논리적 법리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관해서 계속하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판결의 경우 아직 패러디에 대한 인정을 정면으로 다룬 사안은 없어 보이지만 아직은 보수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보인다. 창작환경의 변화는 패러디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표절이나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적당히 옮기면서 패러디라고 주장할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분 내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라고 판단되지만, 미국이나 일본, 독일 등의 사례와 이에 대한 법리적 분석 등을 통하여 하나씩 해결이 가능하다고 본다. 또한 패러디는 저작권법상의 2차적저작물, 인용조항, 동일성유지권, 공정이용, 표절 등 다양한 논점들과 부딪치고 있다. 사실 패러디를 정당화시키기 위해서 근거로 제시되고 있는 법리들의 요건을 살펴보면 패러디의 정당화를 근거지우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 그래서 인용조항이 가장 패러디정당화에 가까운 조항이라고 판단하여 왔다. 그러나 저작권법개정을 통해 미국의 공정이용조항을 도입하여 앞으로는 이 조항에 따라 패러디에 대한 법리적 심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패러디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것도 문화창달을 위한 한 방편이라는 점에서 패러디에 관한 법리적 분석과 함께 비교법적인 고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소유권행사로서 저작물폐기행위의동일성 유지권 침해여부- 서울고등법원 2012. 11. 29. 선고 2012나31842 판결(상고)을 중심으로-

        계승균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1

        대상판결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저작권과 소유권의 충돌 사건이다. 즉 무체물로서의 저작물인 미술품을 구입한 소유주가 그 저작물을 소각하여 완전히 파괴한 사건이다. 독일이나 일본의 사례를 보더라도 소유자가 저작물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은 사실상 드문 경우인데,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생하였다. 저작권법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누군가, 특히 소유자가 저작물을 완전히 파괴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하지 않았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대상판결의 특징은 저작물의 소유주가 정부라는 점이다. 문화를 후원ㆍ보존ㆍ양성하여야 할 책무를 가진 정부가 정부예산으로 구입한 미술저작물을 일방적으로 소각하여 완전히 소멸시켜버린 점에서, 개인의 취향 변화에 따른 소유권행사와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저작자는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이 현시대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창작한 그대로 전수되기를 바라는 것은 저작권법이 동일성유지권으로 보호하고 있지만, 저작물을 구입한 소유자가 자신의 의지대로 소유물을 사용, 수익, 처분하고자 하는 욕망은 민법에서 보호하고 있다. 이 양 권리가 충돌한 경우에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사회적ㆍ문화적ㆍ경제적 관점에서 바른 길인가 하는 점이 숙제로 남는다. 해결방안의 하나로서 독일에서는 독일 저작권법을 체계적으로 해석하여 저작권자의 이익과 소유자의 이익을 서로 비교형량하는 이익형량론을 통하여 해결하고 있다. 또한 동일성유지권의 내용인 변경금지라는 행위태양 속에, 저작물의 파괴 내지 폐기가 포섭될 수 있는 것인지 하는 점도 해석의 여지로 남아 있다. 특히 미술저작물이나 건축저작물과 같이 일품저작물의 경우에는 저작물의 존재자체가 중요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대상사건과 관련해서 인터넷이나 디지털이라는 기술발전에 따른 창작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저작권자의 동일성유지권을 위협하는 것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이 소유권일지도 모른다고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대상사건을 문화정책적인 면에서 바라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 정부계약과 영업비밀 및 사회적 계약의 의미

        계승균 한국지방계약학회 2013 지방계약연구 Vol.4 No.2

        우리 사회에서 냉소적 내지 자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인 ‘갑을관계’라는 용어의 사용을 정부계약 분야 특히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서 먼저 자제하고, 계약서 에 당사자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된다. 원래 계약 서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지나지 않았겠지만 이것이 그 계약의 실질적 관 계 내지 권력관계를 나타내는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되고 있다. 약간 귀찮을 수도 있다고 생 각되지만, 수직관계 내지 권력관계를 느껴지는 갑을관계보다 계약당사자의 이름을 약칭하여 사용하는 것도 그다지 나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계약심사단계 내지 계약체결단계에서 개인의 재산권인 영업비밀에 대한 침해의 소지가 많다고 판단되는데,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되고, 제도개선도 한번 연구해보는 것을 권고한다. 여러 가지의 제도적 보완책을 찾아보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여 계약단계에서 계 약상대자가 부당하게 심리적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면 정부계약 법의 발전에도 부합하고 정부계약행정에 대한 신뢰를 제고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한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현대 사회의 흐름과도 맞는 것이고, 상대에 대한 신뢰를 제고시키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사회적 계약이라는 개념은 루소가 사용한 ‘사회적 계약’이라는 용어와의 중복 내지 혼란 이 예상되므로 용어 사용을 자제하고 다른 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며, 이에 관한 내용은 이미 우리나라의 법제를 보면 다양한 형태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 제도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들이 그 목적대로 구현될 수 있고, 서로 제도의 취지가 충돌되 어 오히려 비효율적이고 부정의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를 요한 다고 판단된다. 이런 제도가 정당하고 합리적으로 운영이 되면 그 효과도 확산이 될 것이 고, 이 제도의 설립취지가 살아날 것으로 보이고 이로 인하여 지역경제 뿐만 아니라 거시적 인 국가경제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되며, 더 나아가서 사회적 만족도 내지 사회적 정의 실현에도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상품형태모방금지위반행위의 형사처벌 가능성에 관한 소고

        계승균 한국지식재산학회 2016 産業財産權 Vol.- No.50

        본고의 의도는 우리나라의 부정경쟁방지법의 형사처벌 조항 중에서 상품형태모방행위가 빠져 있는데, 이 행위 역시 비난 가능성과 가벌성이 있고, 형사처벌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품형태모방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가능성은 이미 초기 입법과정에서 논의된 것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고소․고발이 남용 내지 오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입을 주저하였던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입법으로부터 10년 이상 시간이 지났고, 우리나라도 지식재산 강국으로서 더 이상 원시적 형태의 지식재산권침해에 대해서 눈감고 있을 수는 없다고 생각되었고, 상품형태모방은 어쩌면 가장 원시적이고 원초적인 형태의 지식재산권 침해행위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일본에서 본죄에 대한 입법경위와 규정의 내용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우리와 법률문화가 다소 다른 일본에서의 형사처벌 조항의 도입경위를 먼저 설명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정경쟁방지법상에 형사처벌조항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형사법적인 관점에서 규범적 정당성이 있다는 점과 형사정책적으로도 정당성이 있다는 점을 위주로 하여 내용을 작성하였다. 내용은 지식재산에 관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형사처벌 조항은 일반 형사법의 이론에 충실하여야 하기 때문에 형사법의 이론 및 내용을 차용하여 내용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품형태모방행위라는 범죄는 재산범죄가 아니라 경제범죄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기존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범죄와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과 모방행위를 형사처벌을 하지 않을 경우에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형사정책적인 관점에서 규범누수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위에서 논의한 것과 더불어 형사처벌조항의 도입여부가 정당성이 있다는 점을 축약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legal possibility concerning criminal punishment of dead copy regulated in Korean Unfair Competition Act. In 2005, Japan, the neighboring country to Korea, revised Japanese Unfair Competition Act and introduced the criminal punishment clauses on the dead copy in Japanese Society. It is well known that Korean People prefer criminal process to civil action compared to Japanese Society. In spite of that,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control the dead copy under the law in viewpoint of criminal punishment, even though legal text is not clear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has also tried several times to introduce the clause of criminal punishment into Korean Unfair Competition Act, but de facto social barriers which mean that rates of misuse or overuse of accusation are too high in comparison with Japanese Society makes always hesitate to be under the control of law. In spite of the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I think that necessity of criminal punishment of dead copy is always justifiable in Korean Society considering from criminal policy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