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도 시대의 六合釋 연구에 관하여

        강형철,Kang. Hyong-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3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 ( 江戸 ) 시대에 활발하였던 산스크리트어의 6가지 명사복합어를 의미하는 육합석에 관한 연구의 배경과 시대적 역할에 관하여 살펴본다 . 중국의 한역 경전의 신역 시대부터 육합석에 관한 저술이 나타났고 ,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중기인 18 세기 무렵부터 이에 관한 연구가 유행하였다 .당시의 육합석에 관한 저술은 현재 17 종이 확인되는데 , 이들의 대부분이 규기( 窺基 ) 「大乘法苑義林章」의 일부분을 편집한 유통본인 「六合釋」의 주석서다 . 그 중 선구적인 저술이 유코 ( 融光 )의 「六合釋節要」키벤( 基辨 )의 「法苑義林殺三磨婆釋未詳訣」 등이며 그 외에도 호쥬( 法住 )의「分別六合釋」, 카이도 ( 快道 )의 「殺三磨婆釋未詳訣辨誤」,「六合釋精義」등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大乘法苑義林章」의 「六合釋」을 일본의 승려들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원인을 고찰하고 ,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본다 . 또한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를 찾아보고 , 이들 연구가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유와 또 갑자기 사라지게 된 이유를 알아본다 . This paper considers popularity of studies on Sanskrit grammar among many buddhist monks in the Edo Period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numerous buddhist monks in Japan made researches for Sanskrit compound, and its representative works are 六合釋節要 by Y ū k ō ( 融光 ), 法苑義林殺三磨婆 釋未詳訣 by Kiben( 基辨 ), 分別六合釋 by Hoj ū ( 法住 ) and 六合釋精義 by 快道(Kaid ō ).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be into the phenomenon, social background, and its meaning.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provided an overview of the specific character of works about sanskrit grammar in China and Japan.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have firstly examined 六合釋 included in 大乘 法苑義林章 the Yog ā c ā ra teaching materials in China written by Kuei-chi( 窺 基 ) and secondly I observed how the Kuei-chi's works held a key post of the researches among the buddhist monks on Sanskrit compound. The last two parts searched for the reason why Sanskrit grammar had popularity among Japanese monks in Edo Period and suddenly disappeared. And It made an observations of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 SCOPUSKCI등재

        마찰 멜라닌증

        강형철(Hyung Chul Kang),명기범(Ki Bum Myung),국홍일(Hong Il Kook) 대한피부과학회 198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25 No.3

        Friction melanosis is frequently developed in thin, young woman, on thc covered skin of spinc, rib, elbow, knee and tibia. These lesions range from brown to rcddish-brown in color, appear in either band shapes or reticular patterns, and exhibit no overt syrnptoms. They do not show any inflamatory changes, and the skin remains smooth.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findings, the main changcs arc perivascular melanophages on the papillary derrnis and upper dermis, and also increased melanin granules on the basal layer. The following case concern a relatively thin 20-year-o1d female patient. She had a syrwptoniless brown color changcs above the ribs of back, growing in dircction of the ribs for a period of three years. This change was band shaped, but there were no signs of inflammatory reaction, leaving the skin smooth. A biopsy was performed on the relevant tissue, and clinical-histopathological analysis was resulting in diagnosis of friction melano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엘라파트라 용왕의 수수께끼

        강형철(Hyongchol Kang)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역사 속의 붓다가 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여러 형태로 생전 붓다의 모습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 했고, 이는 불교사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일부 부파의 율장 속에서 붓다의 전기를 구성하려는 초기작업의 결과가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상좌부의 율장에 속하는 『마하박가』(Mahāvagga)와 화지부(化地部) 율장의 한역인 『彌沙塞部和醯五分律』, 법장부에 귀속되는 『四分律』에서 공통적으로 그런 시도의 성과가 보인다. 이들은 붓다의 성도 이후부터 사리불과 목건련의 출가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세 가지 판본 중에서 『오분율』과 『사분율』의 붓다전기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이야기가 있다. 나가들의 왕(Nāgarājan, 龍王)인 엘라파트라(Elāpattra, 伊羅鉢怛羅)가 등장하는 에피소드로서, 이 이야기는 후대의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에서 한 단계 변형이 있으며, 『마하바스투』(Mahāvastu),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에서는 보다 확장된 이야기로 서술된다. 또, 『담마파다 주석』(Dhammapada Aṭṭhakathā)에서도 다른 계열의 엘라파트라 설화가 소개되고 있다. 엘라파트라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해답을 제시해 줄 진정한 붓다를 찾아나서고, 끝내 붓다를 만나게 된다. 본 논문은 엘라파트라의 에피소드의 여러 판본들을 비교분석하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그 질문과 해답 속에 숨겨져 있는 내용이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붓다전기나 설화 등이 불교사를 조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After the historical Buddha passed away, his disciples tried to record the life of the Buddha in various forms, and it became a culture that pers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Vinaya of some Buddhist schools, early works to compose a biography of the Buddha can be found. Representatively, the Mahāvagga belonging to the Vinaya of Theravāda or Sthaviravāda tradition, 『彌沙塞部和醯五分律』(T1421),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Mahīśāsaka-vinaya, and 『四分律』(T1428),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Dharmaguptaka-vinaya, show results of such attempts in common. These tell the stories, from the Buddha’s enlightenment of Buddha to the conversion of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 Among these three versions, there are unique stories found only in the biography of Buddha in the Mahīśāsaka-vinaya and Dharmaguptaka-vinaya. They are episodes in which Elāpattra (伊羅鉢怛羅), the king of the Nāgas (Nāgarājan) issues riddles. Over time, these stories were tranformed in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vastu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T1451), and recreated as more expanded stories in the Mahabastu and the Abhiniṣkramaṇasūtra (『佛本行集經』, T190). Besides, another Elāpattra narrative is introduced in the Dhammapada Aṭṭhakathā of Buddhagosa on the Dhammpada 182. In these episodes, Elāpattra asks people riddles to find the Buddha, and eventually meets the Buddha.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pisode of Elāpattra and to clarify their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at, I intend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show that Buddha biographies and narratives can be provide clues to idetify the history of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방송환경 변화 아래 공익에 대한 도전과 개념변화: 한국 방송학 논문 메타 분석

        강형철 ( Hyung Cheol Ka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0 No.4

        방송통신융합이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방송학자들이 그리는 ``공익``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방송 관련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메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방송학에서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은 방송의 영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통적 시각``에 의한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시청자주권이나 경쟁을 통한 사회후생을 강조하는 ``시장주의적 시각``이 이를 대체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8년 융합미디어 IPTV 도입과 융합규제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 신설에 이르기까지 정점에 이르렀던 공익관련 논문수는 그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공익 개념과 그에 대한 논의가 융합 현상에 대한 사회적 논전의 과정에서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사실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미디어 복지`` 등 새로운 하위개념이 자주 등장하면서 공익개념은 지속적으로 지평을 넓히고 있다. 공익 개념은 과거에도 그러했듯이 끊임없는 변형을 통해 존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In situations where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is accelerating, this essay takes a look at changes in the concept of the "public interest" defined by broadcasting researchers in Korea. Results of a meta-analysis of academic papers indicates that the "traditional views" of the public interest that give an emphasis to the influence of broadcasting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in broadcasting studies. However, over time, the "market principle views" that emphasize the social welfare through competition and viewers sovereignty are showing a tendency to replace the older ones. The number of academic papers on the public interest concept which once culminated up to the launch of the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a convergent regulatory body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IPTV, a convergent medium, tends to decrease thereafter. This fact shows that the public interest has been utilized in the course of rhetoric battles for the convergence phenomenon. As new subconcepts such as "media welfare" have appeared one after the other,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to expand its horizon continuously.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interest continue to persist through continuous self-transformation as it did in the past.

      • KCI등재

        상속(santati)과 존속(avasthana) -존재의 지속요건을 둘러싼 불교와 상키야의 논쟁-

        강형철 ( Kang Hyongchol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본 논문은 Yuktidipika에서 소개된 불교와 상키야 사이의 찰나멸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의 번외편(spin-off)이라고 할 수 있는 상속(santati)과 존속(avasthana)을 둘러싼 논쟁이다. 우선은 사물이 붕괴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는 이유에 관한 불교와 상키야 간의 해석상의 차이에 대해서 다룬다. 불교측에서는 매 순간의 소멸이 반복된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사물이 자기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 순간 반복되는 소멸을 저지하는 방해 요소가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서 상키야는 잠세력(samskara)의 힘이 사물을 유지하게 하는 원인이고, 그것의 소진으로 인한 부재가 사물이 붕괴되는 원인이라고 답변한다. 다음으로 『구사론』에서의 논지와 유사한 형태로 소멸의 자발성을 통해서 상속을 설명하는 불교도에 대해서, 상키야는 인중유과론의 입장에서 소멸 자체를 부정하고 현현(vyakti)과 은몰(apagama)이라는 개념으로 현상적 존재의 전개와 사라짐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불교와 상키야가 변화에 대해서 현상에 대해서는 유사한 관점을 보이면서도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전혀 다른 해석을 내리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상속과 존속을 둘러싼 논쟁의 면면은 존재의 지속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나타나는 양자의 차이가 논쟁을 통해서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거의 유일한 사례라는 점과 『구사론』에 나타나는 찰나멸론의 전단계가 발견된다는 점에서 사상사적 자료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spute on how can be the duration (sthiti) of the entity (bh ava)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S amkhya in the Yuktidiik a, the commentary of the S amkhyak arik a. This is a spin-off of the argument around the Buddhist doctrine of momentariness (ksanika, ksanabhanga). At the first stage, the Buddhist states that there is no obstruction to destruction, so that if the object is admitted to be destroyed at last, its destruction is just after its origination, hence, if there is no obstruction to destruction, it results into the immutableness (kauthasthya) of all the objects. And the S amkhya refutes that the origination due to the past impression (samsk ara) is the launching of all the entities, and when the past impression is reduced then the entity falls down. Secondly, the Buddhist argues that all the things have the spontaneous destruction ( akasmika-vin asa). But the S amkhya emphasizes the other ideas of destruction are so-called the manifest (vyakti) and the enfolding (apagama). Finally, this dispute make us call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of the change (parin ama)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S amkhya by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santati (the continuous flow) and the avasth ana (the existing for some time).

      • 에도시대의 상키야 연구

        강형철(Kang hyong 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2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에 『金七十論』의 연구가 승려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현상에 관하여 그 소재와 사정을 탐색한다. 상키야 학파의 논서인 『金七十論』이 진제에 의해 번역된 것이 6세기이고, 일본에 전래된 것은 7∼8세기경이다. 그로부터 약 1000년 후인 에도시대 중기에 짧은 기간 동안 수많은 『金七十論』주석서가 찬술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교오 곤조(曉應嚴藏)의 『金七十論備考』, 치도 호쥬(智幢法住)의 『金七十論疏』, 코잔 슈로(香山宗朗)의 『金七十論解』, 린죠 카이도(林常快道)의 『金七十論藻鏡』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아시아 불교계 일반에서의 『金七十論』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중국에서 『金七十論』이 어떻게 읽혀지고 취급되었는지를 조사하고l 다음으로 일본에서 『金七十論』과 관련하여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의 속사정을 살펴본다. 또, 『金七十論疏』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주석방식의 특징과 이들이 취하는 입장을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상의 시대적인 의의를 찾아본다.

      • KCI등재

        융합미디어 시대 보편적 서비스와 공영방송

        강형철(Hyung Cheol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7 No.3

        이 글은 융합미디어 시대에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방송에 적용 또는 확장하자는 기존 논의의 제한점을 비판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영방송이 공영미디어로 서비스 양태를 변모해나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보편적 서비스 개념이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여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 개념이 현 시점에서 의미하는 바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그간의 보편적 서비스 개념의 방송 적용은 ‘통신적 시각’과 ‘방송적 시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경제적ㆍ물리적 차원의 보편적 서비스를 추구하던 전통으로 융합미디어의 콘텐츠를 다루다보니 보편적 서비스를 “일반적인 정보 접근의 확대”에 머물게 되고 그 범위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게 된다. 후자인 방송적 시각은 통신적 시각과 달리 사회적ㆍ가치적 차원의 보편적 서비스를 추구한다. 그러나 이 시각 또한 지상파 방송에 적용하였던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새로운 플랫폼들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차원에서만 문제를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 보니 결과적으로는 통신과 마찬가지로 공영 지상파 방송 서비스, 저소득층 지원 등 제한된 수준의 보편적 서비스에 그칠 수밖에 없다. 통신이 ‘일반적’ 정보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처럼 방송 콘텐츠의 ‘일반적’ 중요성만을 말한다면 초창기부터 지상파 방송을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필요한 특정한 방송 콘텐츠”를 서비스해 왔던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 기능을 축소하게 될 뿐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결론적으로 공영방송이 현시점에서 필요한, 즉 상업 시장 영역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특정한 방송 콘텐츠를 보편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편으로 ’공영미디어’로의 변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public service broadcasting (PSB) should be transformed into public service media (PSM)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cept of universal service in this media convergence age. If we utilize the universal service concept of telecommunications in this purpose, it inevitably constrains the concept to “access to general information” and has a limitation in its scope. In contrast, the application of the broadcast perspective leads to on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universal service obligation to new platforms, which has been applied to terrestrial broadcasting. As a result, these two approaches have no choice but to stay in limited area such as low-income assistance. Th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vert PSB to the PSM as a means of providing the socially required content universally, which commercial market cannot easily produce.

      • KCI등재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몇 가지 해석상의 문제들 __Yuktidipika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__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이 논문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룬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역사적 전후사정을 다룬다. 첫 번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논리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카츠라(桂)의 지적에 관한 것이다. 2장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 전반을 논리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당시의 논리적 배경과 사회적 상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그것을 통해 카츠라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한다. 또 다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겨냥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펼친 것으로 보이는 상키야학파의 논서 Yuktidipika에서 지엽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 불꽃·소리·인식 따위의 비순간성에 대해서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3장에서는 이에 관한 논리적 배경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문제는 긴밀한 상호관련이 있으며, 한 쪽 문제가 다른 쪽 문제를 풀어주는 매개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지니는 논리학상의 의의에 관해서 다루었다. 바수반두의 논증이 이전의 논증들과 구분되는 점들을 지적하고, 그가 배치하고자 했던 논리적 설정들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가 찰나멸을 논증함에 있어서 취했던 선택과 의도를 추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Vasubandhu``s Proof of Momentariness. To start with,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1. Is the proof of Vasubandhu an error? 2. Why does the writer of Yuktidipika deeply attach to dispute on momentariness of flame etc.? The notion ‘All the existence in the real world is impermanent’ underlies the ideas of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However, regarding the signification and application scope of anitya, various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Answers to how such impermanent things are able to maintain their appearance widely va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impermanent. Anitya is a notion that is commonly accepted by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yet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l world varies depending how differently the anitya is viewed varies. Historically, thus, there have been a lot of disputes between schools with different views. Buddhism on the basis of anitya as key doctrine suggested the most strict standards regarding the application scope of anitya. Basically, Buddhism does not accept either immortal gods nor eternal and fundamental cause for the creation of all things. Particularly since Abhidharma doctrines had the system, in the Buddhist schools,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ksanikavada) that saw that all things and facts were created and became extinct repetitively every single mo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anitya theoretically. Disputes on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in Yuktidipika proceeds in a different way from rebuttals to it by the Nyaya School or Vatsiputriya on whic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Vatsiputriya and the Nyaya school do not accept the changes every moment claimed by Sarvastivadin, Sautrantika, Yogacara and the Samkhya-Yoga school. To them, things continue to exist with self-identity and are destroyed by external causes only. Thus, in the disputes on the momentariness relating to Vatsiputriya and the Nyaya School, the changes every moment is the important subject of argument. The theory of momentariness is the core tenets that define anitya in Buddhism. The stance of the Samkhya school on momentariness has undergone transitions through the historial process. The discussion in Yuktidipika 10 is placed in the last stage of that historical process. The reason why Samkhya could not accept the momentariness while claiming the changeableness was because the notion of Buddhism and the casual relationship and the notion of the extinction did not correspond with each other, which incurred the big difference in the stance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between them. This is the reason why both Buddhism and Samkhya explain the flow of time in different ways. Samkhya in the disputes in Yuktidipika explains the reason the phenomena in front of our eyes disappear because they are melt into the origin, prakrti. Samkhya claims that the existence perpetually continues through changes, not accepting the extinction of existence. In the disputes of Yuktidipika 10, this stance of Samkhya is identified in various ma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