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이미지 매체와 시각 전달의 관계

        강현옥(Kang Hyun Ock)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99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Vol.4 No.-

        The data processing technique in the modern information-based and industrialized society is changed on the digital media,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 design area by computer graphics while digital information media replaces the position of traditional media transmitting visual information, the area of visual design comes to be influenced by multimedia and Internet communication, as a result, a new communication relation between design and computer users has come to be formed. The new digital data processing method to images has expanded the means of visual communication, developed people`s visual and perceptive abilities and formed a main end of digital design as a method of supporting the way of thinking. Thus,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on the gradually growing computer animation enhancing people`s visual and perceptive abilities by the information conveyance in the relation of these digital media and visual communication and extensively having its availability expanded to improve visual communication effects.

      • KCI등재

        미디어 융합에 따른 모션 그래픽스 하이퍼매개

        강현옥(Kang Hyunoc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뉴 미디어의 시각적 이미지는 기존의 미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 형태로 나타나거나 아니면 서로 융합되어 또 다른 형태의 미디어로 변형되어 디지털 이미지의 혼존성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J.D.Bolter와 R.Grusin의 재매개 이론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개념을 기반으로 뉴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들은 재매개 이론에서 뉴 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를 도태시키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사이에 차용(borrowing) 재현(representation) 확장(fidelity) 공격(aggressive) 흡수(absorb) 개조(refashion) 등의 다양한 유형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주장을 바탕으로 TV광고영상의 모션 그래픽스를 재매개 특성 가운데 특히 하이퍼매개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TV광고영상은 기존의 올드 미디어를 TV광고에 재매개하여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한다. 재매개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개념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 아닌 둘 사이의 상호교류적 개념이기 때문에 TV광고영상에 매개된 모션그래픽 또한 두 개념을 분리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모션그래픽은 TV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디지털 이미지의 용이한 조작과 변형 방식에 의해 매개되고 의도적으로 과장되기도 하고 인위적으로 이질성을 만들게 되면서 재매개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하이퍼매개성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Visual images of new media for communication are either based on the existing media to present new images or converged as new forms of media showing us how the different types of digital images can mingle and co-exist.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mediation theory of J.D.Bolter and R.Grusin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immediacy and hypermediacy according to various genres and presentation methods of digital media. They argued that new media instead of making old media obsolete leads to wider variety of interactions among media such as borrowing representation fidelity aggressive absorb refashion. In this study these interface elements are identified as well that hypermediacy on TV advertisement images based on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dvertisement images on TV remediate existing old media to TV advertisement grant new meanings and enabl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o enhance effect of TV advertisement motion graphics are remediated through modif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gital images sometimes intentionally exaggerated and artificially made exotic. Similarly motion graphics remediated on TV advertisement images simultaneously show both characteristics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The concepts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are neither exclusive nor interdependent.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ard to separate for explanation. Remediation has characteristics of both immediacy and hypermediacy and motion graphics underline characteristics of TV advertisement images as the latter.

      • KCI등재

        단백질분해효수의 분리정제 및 Skin turn-over에 대한 영향

        강현옥 ( Hyun-ok Kang ),정민석 ( Min-seok Juong ),최종완 ( Jong-oan Choi ) 대한화장품학회 199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23 No.2

        단백질 또는 peptide bond를 가수분해하는 protease는 현재 산업의 각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사용범위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 서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하여 그의 성질을 규명 및 skin turn-over효과를 조사하였다.

      • KCI등재

        영상텍스트 서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강현옥(Kang Hyun Oc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영상텍스트의 서사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영상의 수용자에게 그 영상의 구조를 이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의미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송신자가 의도한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의미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수신자의 입장에서 재해석되어지며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하여 영상이 어떤 서사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영상의 새로운 서사구조를 만들어가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 영상의 생산자와 수용자, 영상텍스트의 서사구조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의 틀로써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채트먼은 언어 매체에 존재하는 이야기와 이야기를 전달하는 서사적 담론의 구조는 매체의 실제적 표현들과 관계없이 공유될 수 있는 공통적 구조가 있다고 하였다. 그는 서사물의 내용이 되는 '무엇'을 의미하는 이야기는 사건, 행위, 등장인물, 배경 등에 의해서 나타나고 서사적 형식이 되는 담론인 '어떻게'는 서사적 전이 구조와 발현 매체 구조로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영상텍스트의 서사구조에서 이야기와의 담론의 관계 그리고 이에 의한 영상과 관객의 커뮤니케이션은 결국 영상을 접하게 되는 수용자가 영상과 서로 미적 감정의 교류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경험의 세계를 넓혀갈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From a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he sender intends certain things by the image, the meaning is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from the receiver's point of view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us, understand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visual text not only help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image but also means seeking a design method to effectively deliver a message of the image to audiences and enhanc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r the benefi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which narra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he image'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pecific Seymour Chatman's narrative theory of image text. He notes that the story within the linguistic medium and the narrative discourse that conveys the story have a common structure that can be shared regardless of the actual expressions in the medium. According to his classification, a story, which means 'what' and the content of a narrative, includes events, actions, characters, and setting. Moreover, the discourse, which is 'how' and the narrative form, is divided into the structure of narrative transmission and the medium of manifestation.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ory and discourse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image text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images and their viewers is ultimately a matter of how much an audience that experiences the image can engage in exchanging aesthetic emotions with the image, thereby extending the sphere of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활의 단면을 활용한 광고영상 스토리텔링

        강현옥 ( Kang Hyunoc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광고가 문화콘텐츠로서의 기능을 하는 데에는 영상의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화콘텐츠의 텍스트 구조 또한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광고영상이 지닌 외적 요소, 비주얼 스토리텔링과 그 외적 요소에 의해서 만들어진 이야기,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이 광고영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특히 생활의 단면을 이야기 배경으로 제작된 광고영상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고 문학적 서사 구조를 기준으로 텍스트 구조를 파악해 보았다. The perception of text structure, which plays a key role in appealing to the consumers` emotions, is determined by the way the implications of the contents are delivered to the consumers. In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this concept is defined as a “storytelling.” This study examines the text structure of advertisements by understanding not only their original functions, but also their role as a cultural cont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s on advertisements that are produced using daily life routines with which people are closely related and familiar as a background story. In order for the advertisement to fulfill its functions and to play a role as cultural content, external factors of advertisement, stories that were made from the visual storytelling and the external factors, and the narrative storytelling should be appropriately coordinated in an advertisement.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image conclude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xt structure is emotional and mental factors of the topic and storytelling that can appeal to the consumer`s mind.

      • KCI등재

        광고 효과를 위한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영상의 정보원

        강현옥(Kang, Hyunoc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까지 영향을 미치게되면서 기업은 소셜미디어를 효과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소셜미디어 SNS는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가 신속하게 전달되어 지속적으로 퍼지게 되는 확산 커뮤니케이션 형태이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SNS에서 광고를 확산시키는 소비자의 특성과 SNS에서 노출되어진 광고의 효과를 토대로 페이스북의 광고영상에서 나타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보원의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소셜미디어의 광고효과는 네트워크 안에서 소비자인 각 개인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확산함과 동시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된다. 소비자로써 각 개인들은 페이스북을 자신의 사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업적 행위나 정보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 페이스북이 기업에게는 하나의 마케팅의 기회를 제공하는 도구이지만 정보원으로써 페이스북을 상업과 비상업의 균형을 맞추며 각 개인의 부정적 감정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통신과 미디어가 융합된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연구한 점에 의의가 있다. 새로운 광고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소셜미디어의 SNS가 아직 그 광고의 효과 검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명확한 대상에게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마케팅 수단으로 기업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틀림이 없다. As the social media has grown influential enough to affect corporate brand images, businesses began to acknowledge social media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in advertisement. Social network services(SNS) are a form of diffusion communication that quickly delivers and continuously disseminates information through a linkage of networks. In this context, within a social media network, individuals actively spread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exposed to information as consumers, thereby creating advertising effe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which spreads advertisement on SNS and effects of advertisement exposed on SNS. In particular,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o deliver messages that appear in the image of Facebook advertisement are analyzed. Within Facebook as individual consumers are objectionable to the commercial activity or information because they think Facebook as their private space. Facebook is for another company as information sources, but a tool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marketing companies will need to maximiz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ensuring that the negative emotions of individuals happen to Facebook on the balance of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It provides a novel perspective into fortifying advertisement effect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in this era of digital convergence that fuses communication with media. SNS has been rising as a new market for advertisement, but its effectiveness has yet to be fully tested. However, businesses are clearly paying greater attention to SNS as a useful marketing tool as it enables information exposure to targeted user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 및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강현옥 ( Hyun Ok Kang ),황혜원 ( Hye Won Hw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arent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attachment and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i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play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strength perspective of family resiliency. Targeting multicultural mothers of infants aged 13 to 24 months, and who are living in Chungbuk (7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7 couples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a total of 12 sessions. Each session consisted of one hour of theoretical learning and 30 minutes of play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but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teraction with the infant, and attachment stability. Thus, through a program aimed at strengthening the parental role through infants` play activities,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ble to realize their parenting style and to change their parenting behavior to be more positive. Thos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ractical significance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arental roles of multicultural mother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