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동복지기관 종사자의 내재적 동기가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아 ( Hyun Ah K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4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ast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develops and estimat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on 353 child welfare workers of the fields of foster care,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child residential care all over the country. The study relie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 the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of SEM tests show a good fit of the proposed model. Controlling the level of salary and the working hours of the workers, the model reveals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commitment, and that career commitment i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is mediated by career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ractice and study limitations are discussed.
가정위탁양육 중도해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현아(Hyun Ah K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1
가정위탁양육제도는 친부모를 대신하여 친인척 혹은 일반 위탁부모가 정부의 양육지원금을 받으며 아동을 대신 양육해주는 제도이다. 위탁양육의 역사가 오래된 영미에서는 위탁부모가 중도에 양육을 포기하는 현상, 즉 위탁양육 중도해지(foster care disruption)에 대한 우려가 높다. 본 연구는 위탁부모의 양육 중도해지는 위탁부모-아동의 관계가 깨진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중도해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환이론에 의하면 인간관계는 기본적으로 서로의 이익이 보장되는 상호교환관계의 성립에 의해 지속된다. 그러나 Titmuss (1971)에 의하면 가정위탁제도는 위탁부모가 일방적으로 희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호교환의 성립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gift relationship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Gift relationship은 상대방에 대한 애정이나 의무감에서 비롯된 이타주의를 바탕으로 자신이 희생하더라도 상대방에게 시혜를 베푸는 관계로서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많이 나타난다. Gift relationship을 유지하는 데에 이타심을 강조한 Titmuss와는 달리 교환이론가인 Ekeh는 복지서비스를 베푼 사람에 대한 정부의 경제적 보상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환이론과 gift relationship의 실증적 검증을 통해 위탁양육 중도해지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미국 일리노이주 후견인 보조금제도 시범연구 (Illinois Subsidized Guardianship Waiver Demonstration)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방법 (secondary data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사건사분석방법(event history analysis)을 주요통계방법으로 이용하여 중도해지 위험율에 대한 상호교환의 성립(아동의 문제행동), 위탁부모의 아동에 대한 이타주의(위탁부모와 아동의 애정, 종교적/도덕적 의무감), 정부의 경제적 보상(위탁지원금)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위탁아동이 문제행동을 일으키지 않고 위탁부모에게 잘 협조할수록 아동의 중도해지 위험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상호교환의 성립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교환의 성립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위탁부모의 애정을 바탕으로 한 이타주의도 중도해지 위험율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통계모델에 투입된 변수인 정부의 양육지원금은 중도해지 위험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정위탁 서비스와 정책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This paper us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ift relationships and social exchange theory as to explore foster parents` willingness to maintain care. Foster care is a gift relationship that substitutes for parental investments and must be maintained in the absence of full reciprocity by the recipients (children) and other exchange partners (parents). The study hypothesized three factors that reinforce the maintenance of gift relationships in the absence of full reciprocity: reciprocity, altruism (affection and duty), and payment.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the Illinois Subsidized Guardianship Waiver Demonstration and administrative data of Illinois Department of Children and Family Services to model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maintenance of foster care. Measures of the factors of reciprocity, affection, duty, and payments are computed from the interview data in 1998 and from administrative data files that track placement disruptions through December 31, 2003. An affection scale was developed from caregiver responses to a series of questions about displays of affection and encouragement to the child. Duty scales were computed from responses to questions on religious devotion and family responsibility. Data on subsidy levels were extracted from administrative data.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s age and caregiver`s race, employment, and income are included as predictors as well as measures of biological relatednes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for reciprocity and affection. Controlling for the covariates, reciprocity, and affection, pay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placement disrupti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oster parent recruitment and foster care stabilization are discussed.
단보 : 솔레톤 정(잘토프로펜 80 ㎎)에 대한 삼천당잘토프로펜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강현아 ( Hyun Ah Kang ),박선애 ( Sun Ae Park ),김동호 ( Dong Ho Kim ),김환호 ( Hwan Ho Kim ),윤화 ( Hwa Yun ),김경란 ( Kyung Ran Kim ),류희두 ( Hee Doo Yoo ),박은자 ( Eun Ja Park ),조혜영 ( Hea Young Cho ),이용복 ( Yong Bok Lee ) 한국약제학회 2006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6 N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