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제조업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실천과 치아우식 위험도의 관련성에대한 융합적 평가 -CRT<sup>®</sup> bacteria를 이용하여

        강현경,허성은,Kang, Hyun-Kyung,Heo, Seong-Eun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제조업근로자의 근무특성 및 구강건강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치아 우식증 위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4년 7월1일부터~8월1일까지 부산 경남지역 일부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및 타액 내 미생물에 의한 치아우식발생요인검사(S.mutans검사, Lactobacillus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 10시간 이상이 10시간미만일 경우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으며, 잇솔질 습관이 1점 증가함에 따라 치아 우식증 발생 고위험군일 확률이 S.mutans검사에서 0.044배 낮고, Lactobacillus검사에서 0.004배 낮았다. 따라서 제조업근로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노력과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업장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such work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saliva microorganism examinations (S. mutans and Lactobacillus tests) were conducted from July 1 to August 1, 2014 targeting the manufacturing workers in the Busan and Gyungnam area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development among manufacturing workers. As a result, the risk of dental caries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workers who worked for 10 hours or longer a day than in those who worked for less than 10 hours a day, and in the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 1-point increase in the brushing pattern score resulted in 0.044 times less risk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in the S. mutans test and 0.004 times less risk in the Lactobacillus test Therefore,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manufacturing workers, along with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s.

      • KCI등재

        논에 서식하는 수서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기 비교: 채집망과 방형구 및 core

        강현경,정근,Kang, Hyun-Kyung,Chung, Ke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논의 생물다양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논 먹이망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와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논에서 채집망과 방형구, 피이프형 채집기(core)로 얻어진 자료를 비교하여 적절한 채집기를 알아보았다. 채집망은 틀이 사각형이고, 바닥이 평평하기 때문에, 채집망의 조사 면적은 토양을 훑은 길이와 망의 넓이를 곱하여 측정되었다. 모든 채집물은 두 벼줄 사이에서 채집되었다. 대형무척추동물은 춘천과 홍성에서 24, 28분류군이 채집되었다. 춘천에서 분류군수는 세 가지 채집기에서 유사했지만(17-18분류군), 추정밀도는 그렇지 않았다(채집망, $1317/m^2$; 방형구, $1368/m^2$ core, $1810/m^2$). 홍성에서는 채집망에서 분류군 수가 가장 컸었지만(채집망 25분류군; 방형구, 21분류군 core, 16분류군), 추정밀도는 core에서 가장 높았다(채집망, $1586/m^2$; 방형구; $2595/m^2$; core $3704/m^2$). 각 채집기의 효율은 분류군에 따라 달랐는데, 채집망에는 주로 수서곤충류가 많았던 것에 비해 방형구에는 빈모류나 깔따구과 등 토양 속에 서식하는 종류에 대한 효율이 높았다. 논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에 대한 정량자료와 희귀분류군에 대한 정성자료를 통시에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채집망을 이용하여 논 가장자리와 논 내부에서 각 6회 정량채집하고, 논둑 근처와 논 가운데에서 정성채집을 수행되는 것이 시간 및 노동력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 이라고 생각된다. With growing interest in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efficient sampling method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aquatic macroinvertebrates are needed because of their important role in rice paddies' food webs. For this reason, we sought a proper sampling method through comparing data collected by using aquatic net, quadrat, and core in rice paddies located in Chuncheon-si, Kangwon-do, Hongseong-gun, and Chungcheongnam-do. Because the frame of the net was rectangular and had a flat bottom, the area, sampledwith the aquatic net,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et width by the sweeping length, All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pace between the rows of rice plants. Twenty four taxa of macro invertebrates were collected in Chuncheon and 28 taxa in Hongseong. In Chuncheon, the number of taxa was similar among three sampling methods (17-18 taxa), but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different (aquatic net, $1,317/m^2$; quadrat, $1,368/m^2$; core, $1,810/m^2$. In Hongseong, the number of taxa sampled by aquatic net was the highest (aquatic net, 25 taxa; quadrat, 21 taxa; core, 16 taxa), but the core was the highest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quatic net, $1,586/m^2$; quadrat, $2,595/m^2$; core, $3,704/m^2$. The efficiency of samplers differed among taxa. Most of aquatic insect taxa were more abundant in the aquatic net, while those living on or in the paddy substratum such as Oligochaeta and Chironomidae were collected more in the quadrat sampler.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for aquatic insects as well as to produce inventory of rare taxa, we suggest, based on samplers used in this study, to take quantitative samples of 6 replications from each of the edge and inner zones of a rice paddy by using an aquatic net, and to take qualitative samples both from sides of levees and the inner zone of rice paddy by using an aquatic net.

      • KCI등재

        당진화력발전소 녹지공간의 식재현황 및 생태적 특성 분석

        강현경,이수동,한봉호,Kang Hyun-Kyung,Lee Soo-Dong,Han Bong-Ho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lanting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on spaces on the grounds of e Dangjin steam power plant.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existing vegetation, plant community structure,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Based on e vegetation analysis,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herbaceous species $(70.54\%)$, evergreen coniferous trees $(21.17\%)$, deciduous broad-leaved trees $(5.10\%)$, deciduous coniferous trees $(1.47\%)$, shrubs $(0.12\%)$, and other types $(1.59\%)$. The coal storage, office, and playground areas were community is the natural forest area where a Pinus thunbergii /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distributed in terms of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diversity,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The artificial green spaces(near the coal storage, office, playground areas) had a single-layer structur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the artificial green areas were $0.1655\~0.4807$ compared to 0.8628 in the natural forest, which presented a good growth environment. Also, the plant volume in the artificial green spa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green spac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e a multi-laye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vegetation in the natural green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amount of plant volume. The plant-damage ratio of Pinus thunbergii was $52.48\%$ in the coal storage area, and $8.48\~ 11.52\%$, in the other survey areas. Also,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was $15.45k{\Omega}$ in the coal storage areas, which indicates bad growing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soil characteristics and dust have a bad impact on growth. The investigation into deciduous tres' growth status showed that appropriate plants would be Albizzia julibrissin, Acer palmatum var. sanguineum, Acer palmatum, Malus spp., Prunus sargentii.

      • KCI등재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서울·인천·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강현경,이승제,Kang, Hyun-Kyung,Lee, Seung-Je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0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rmulate management guidelines for monumental old tree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A total of 20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s were surveyed for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environments,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among root collar conditions, tree health,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The old solitary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cluded Pinus bungeana(4 trees), Juniperus chinensis(3 trees), Ginkgo biloba(3 trees), Poncirus trifoliata(2 trees), Actinidia arguta, Wisteria floribunda, Thuja orientalis, Quercus variabilis, Sophora japonica, Fraxinus rhynchophylla,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The tree height ranged from 3.56 to 67m, and root collar diameter ranged from 1.01 to 15.2m. The monumental old trees were growing on the various sites ranging from gardens, historical sites, open agricultural fields, mountain hills, to near the ocean beaches and streams. The coverage of bald land ranged from 50 to 100%, and depth of filled soil around the root collar ranged from 0 to 50cm. Tree health was expressed as the amount of branch dieback, cavity development,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The branch dieback ranged from 5 to 20%, cavity development ranged from 10 to 100$cm^3$,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ranged from 5 to 45%, and infliction by diseases and insects ranged from 5 to 20%. Soil pH ranged from 5.9 to 8.3,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12 to 56%, phosphorus contents from 104 to 618ppm, while soil compaction ranged from 7 to 28mm.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overage of bald land was the most serious factor to deteriorate the cavity development and detachment of cambial tissue. In additi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trees.

      • KCI등재

        치과위생사와 환자의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융합적 차이 분석

        강현경,성미경,김유린,Kang, Hyun-Kyung,Seong, Mi-Gyung,Kim, Yu-Rin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narrow the view on this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s' cogni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of scaling. The study was total 202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method of analysis compared the cognition of scal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f cogni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on dental selection by stag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but one of the nine items of cognition for scaling (p<0.0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all but seven of the 19 categorie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scaling (p<0.01). Therefore, dental hygienists will have to seek ways to reduce these differences and continue to study how to explain them in scaling so that the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patients' dental clinic choices.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와 환자의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의 차이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견해를 좁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는 총 202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을 비교하였고, 치석제거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이 치석제거로 인한 치과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 9개 항목 중 1개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치석제거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19개의 항목 중 7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이러한 차이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환자의 치과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치석제거 시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책임감의 관련성 :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강현경(Hyun-Kyung Kang),김유린(Yu-Rin Kim)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20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8 No.1

        Objectives: Dental hygienists are professional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oral health of the people and should have the right job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use it as basic data to increase social responsibility. Methods: From October 01, 2019 to October 30, 2019, students of 154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ere reviewed and conduct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1041449-201908-HR-002) Statistical analysis utilised the IBM SPSS ver. 25.0 (IBM Co., Armonk, NY, USA),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verage comparison of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by grad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rrelate the three concep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metacognition by grade, it improved as grade increased (p <0.001). Metacogni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r = 0.684, p <0.001) and social responsibility (r = 0.572, p <0.001).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r = 0.654, p <0.001)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predictor variable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metacogni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β = 0.235, p <0.05),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β = 0.493, p <0.001) were all significant.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 will be able to enhance his social responsibility as a dental hygienist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en students are at the point of vocational identity and work ethic.

      • KCI등재
      • 제5분과 : 환경관리 및 도시녹지 ;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의 유형별 식생현황 조사 연구

        강현경 ( Hyun Kyung Kang ),백승준 ( Seung Jun Bac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과 같이 불특정장소에서 빗물 등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원으로, 4대강 오염 부하량의 42%~69% 정도를 차지하며,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수계내 소유역에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을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 시범설치사업은 한강수계 27개 시설, 금강수계 7개 시설, 영산강수계 7개 시설, 낙동강수계 5개 시설로 4대강수계 46개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자연형시설과 장치형시설로 구분되며 자연형시설로는 저류시설, 인공습지, 침투시설, 식생형 시설이 있으며, 장치형시설은 여과형시설, 와류형시설, 스크린형시설,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로 구분된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효율, 유지관리, 시설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강수계는 2006년부터 낙동강 수계는 2007년부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금강과 영산강의 모니터링도 실시되었다. 하지만 모니터링의 기준은 강우량, 유입/유출 유량 및 농도, 설치비, 유지관리비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형 시설의 식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대강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을 중심으로 유형별 식생현황을 파악함으로서 비점오염원 저감에 적합한 식재·유지관리 기준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4대강유역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로 식생수로 유형으로 용인 왕산리, 침투저류지로서 용인 초부리, 인공습지는 고농도 인공습지 유형으로 논산 양지리, 저농도 인공습지 유형은 공주 상서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자연형 시설의 유형별 식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준공도와 현존식생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저감효과를 위하여 9월~11월에 월 2회 식물을 채취하여 식물체내N, P흡수 저감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수로(용인 왕산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와 식생수로를 조성하고 수질개선효과를 기대하는 식물종으로 계획되었으며, 줄,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등이 식재되었으나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으로 달뿌리풀-환삼덩굴(12.0%)로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으로 환삼덩굴(63.2%)의 피복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주변부 조사에서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고마리, 돌피 등이 조사되었다. 이는 대상지가 매년 발생하는 태풍, 홍수 등의 생태적 교란이 심한 하천지역으로, 기존 식재되었던 물억새, 줄, 갈대는 도태되었으며, 달뿌리풀은 기존 식재지 면적보다 감소된 종으로 조사되어, 식재종 보다는 환삼덩굴,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피복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투저류지(용인 초부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와 저류지를 조성하고, 부처꽃, 노랑꽃창포, 쑥부쟁이, 갈대 등이 식재되었으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인 노랑꽃창포(11.7%), 갈대(3.7%) 등이 조사되었으며, 완사면부의 자연발생종인 쑥(9.0%), 돌콩(1.5%) 등의 이입식물이 발견되었으나 비교적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존 준공도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노랑꽃창포는 97.8%의 면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유지종으로 파악되며, 부처꽃은 37.9%, 갈대는 26.7%로 돌콩 등에 의하여 피압되어 면적이 감소되는 감소종으로 조사되었다. 고농도 인공습지(논산 양지리)는 기존 준공시 돼지 축사의 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하여 조성된 인공습지로서, 침강지, 침전지, 얕은습지와 깊은습지로 조성되었으며, 수질개선효과를 위하여 애기부들, 물억새, 갈대 등을 식재하였으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식재종으로 갈대(13.5%), 물억새(1.7%) 등이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인 쑥(1.5%), 환삼덩굴(1.5%), 미국개기장(0.6%) 등이 조사되었다. 기존 식재되었던 갈대는 113.4%의 면적으로 증가되어 유지·증가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물억새는 68.1%로 감소된 감소종으로 파악되었고, 애기부들 및 연꽃은 도태되어 도태종으로 나타났다. 저농도 인공습지(공주 상서리)는 기존 준공시 침강지, 얕은습지, 깊은습지, 침전지를 조성하였으며, 연꽃, 물억새, 미나리, 달뿌리풀, 갈대, 창포, 애기부들 등을 식재하였으며, 현존식생을 조사한 결과 기존 식재종인 애기부들(6.4%), 갈대(4.2%), 창포(2.6%) 등이 조사되었으며, 자연발생종으로 줄풀(1.8%), 갈대-돌콩(0.4%), 창포-줄풀(0.1%) 등으로 조사되었다. 기존 식재되었던 물억새는 257.8%, 애기부들은 159.2%, 연꽃은 136.2%, 갈대는 125.5%의 면적으로 증가되어 유지·증가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창포는 65.7%, 달뿌리 풀은 47.3%로 감소된 감소종으로 파악되었고, 미나리는 도태되어 도태종으로 나타났다. 저감효과를 위하여 식물체내 N, P흡수 저감량을 분석한 결과, 식생수로는 조사된 달뿌리풀, 물억새의 식물체내 T-N비율은 달뿌리풀이 0.364%, 물억새가 0.377%로 파악되었으며, 식물체내 T-P 비율은 달뿌리풀이 0.198%, 물억새가 0.417%로 조사되었다. 용인 초부리의 침투저류지는 현존 식생에 의해 조사된 식물인 노랑꽃창포, 갈대, 부처꽃의 식물체내 T-N 비율은 노랑꽃창포가 0.976%, 갈대가 0.35%, 부처꽃이 0.379%로 조사되었으며 노랑꽃창포의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체내 T-P 비율은 노랑꽃창포가 0.657%, 갈대가 0.134%, 부처꽃이 0.157%로 분석되었으며 T-N 비율과 같은 유형으로 조사되었다. 고농도 인공습지인 논산 양지리의 경우, 갈대와 물억새를 분석한 결과 식물체내 T-N 비율은 갈대는 0.780%, 물억새가 0.645%, 식물체내 T-P 량을 분석한 결과, 갈대는 0.181%, 물억새가 0.155%로 갈대의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상서리의 저농도 인공습지는 애기부들의 경우 수심에 따른 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깊은습지와 얕은습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식물종으로 애기부들, 물억새, 연, 달뿌리풀, 창포, 갈대로 조사하였다. 식물체내 T-N 비율은 애기부들의 경우 수심 약 1m 내외의 깊은 습지가 0.474%, 수심 20㎝ 내외의 얕은 습지가 0.324%였다. 연은 1.084%, 물억새 0.312%, 달뿌리풀 0.616%, 창포 0.910%, 갈대0.615%로 조사되었으며, 연과, 창포, 달뿌리풀의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식물체내 T-P 비율은 애기부들의 경우 수심 약 1m 내외의 깊은 습지가 0.347%, 수심 20㎝내외의 얕은 습지가 0.128%였다. 연은 0.375%, 물억새0.155%, 달뿌리풀 0.166%, 창포 0.428%, 갈대 0.150%로T-P의 경우 식물종별 크게 차이는 없지만 깊은습지의 애기 부들과 창포, 연의 저감효과가 다른 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니터링(현존식생, 종구성변화)과 저감효과를 종합분석한 결과, 적극적 관리 및 소극적 관리로 구분하였다. 이에 세부적인 내용으로 하천변의 식생수로와 고농도 인공습지는 적극적 관리를 통하여 생태교란야생식물종(환삼덩굴 등)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침투저류지, 저농도 인공습지는 소극적 관리를 도입하여 현재 생육이 양호한 식재종 유지 및 이입종 관리가 우선시 되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우선관리종, 수질정화기능 적정종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이입종 관리 및 밀도관리를 위한 방법적 측면을 고려하여 추후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치시, 적절한 식재종의 선택과 선택적 관리기법을 도입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의 인식 탐색

        강현경(Kang, Hyu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열린어린이집을 시행하고 있는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어떠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부모참여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교사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K시에 있는 가정어린이집 1곳의 교사 4명과 5개월 동안 총 9회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사들은 이해가 부족한 부모, 행사준비에의 수고로움, 또 이에 따른 처우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어려움으로 호소하고 있었고, 그럼에도 열린어린이집을 함으로써 부모의 참s여 권리가 충족되고, 영아들이 더욱 다양한 경험을 하며, 교사 자신도 발전하게 되는 긍정적인 부분을 깨닫고 있었다. 더불어 교사들은 활동에 이어 평가를 꾸준히 하면서 개선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열린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erception of the household day care center’s teachers on parental participation while operating open day care center program. To complete this purpose, 4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were interviewed 9 times for 5 months. As a result, teachers were in trouble because of ‘misunderstanding parents, hardships of preparation, and no cost according to the difficulties’, they found any beneficial parts like ‘fulfillment of parents’ authority to see, various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 effective progress of teacher themselves’, finally they have tried to ‘practical trial to improve after having any assessment tim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positiv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open day care center.

      • KCI등재후보

        저작불편 호소여부에 따른 신체활동, 정신건강, 구강건강 및 삶의 질의 관련성

        강현경(Hyun-Kyung Kang)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19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7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mental health,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hewing difficulty with the 6,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od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 25.0 (IBM Co., Armonk, NY, USA) software, and a complex sampling analysis with stratified variables, clustered variables. A total of 19,901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population. Results: In the case of proper exercise, there was less appeal of chewing(p<0.001). The higher the perceived stress, the more depressive feelings over two weeks, the more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 and the more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the higher the complaints of chewing difficulty(p<0.001).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discomfort of chewing was related to all items. Investigating the complaints of chewing difficulty could be used as an index for assessing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