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진언수행의 역사와 전개에 대한 고찰

        강향숙 ( Kang Hyang-sook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인도의 바라문 제식의례에서 기원한 만뜨라가 불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채택되어 수행되고 전개되었는지에 대하여 대승불교 경전과 밀교경전을 통하여 고찰한 것이다. 초기불교에서는 병을 다스리고, 독을 제거하기 위한 호신주를 사용했다. 대승경전에서도 특정한 불·보살의 다라니를 수지, 지송함으로써 불·보살의 가피를 통한 보호와 안락을 도모했다. 초기밀교 경전에서는 다라니와 진언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진언수행은 다라니의 염송과 의식을 병행함으로써 점차 의궤화되는 과정이 나타난다. 중기 밀교 경전에서는 만다라·진언·무드라[印法]를 갖춘 삼밀관법이 체계화되면서 진언은 종자음절, 즉 종자진언을 수행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종자진언’은 이후 후기 밀교경전에서 ‘존격진언’ 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만다라의 주존인 존격과 수행자를 합일시키는데 있어서 종자진언 수행은 필수불가결한 것이었다. 특히 밀교경전에서 구소, 식재, 조복, 이간, 경애와 같은 특정한 목적의 성취를 위해서 행하는 ‘존격진언’의 수행은 후기밀교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rough Mahayāna Buddhist scriptures and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how the mantra, which originated from the Brahmin rituals of India, was adopted, performed, and developed in Buddhism. In early Buddhism, Paritta was used to treat illness and remove poison. In the Mahayāna scriptures, protection and comfort were sought through the covering of Buddhas and Bodhisattvas by receiving and chantting the dhāraṇī of specific Buddhas and Bodhisattvas. In early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dhāraṇī and mantra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mantra practice gradually becomes ritualistic by combining dhāraṇī chanting and rituals. In the mid-perio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as the Sammilgwanbeop[三密觀法] with maṇḍala, mantra, and mudra was systematized, mantra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practicing seed syllables, that is, bīja mantra. These ‘bīja mantra’ later developed into ‘devatā mantra’ in later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practice of ‘bīja mantra’ was indispensable in uniting the practitioner and main buddha of the maṇḍala. In particular, in the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the practice of ‘devatā mantra’, which is performed to achieve specific purposes such as ākarṣaṇa[鉤召], śāntika[息災], abhicārika[調伏], vidveṣaṇa[離間], and vaśīkaraṇa[敬愛], can be said to be a prominent feature of the late Esoteric Buddhism era.

      • KCI등재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의 일 경험

        강향숙(Kang, Hyang Sook)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가 일에 대해 갖는 의미와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현재 알코올중독으로부터 회복 중이고, 정신재활시설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일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고 시도하는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에서 9월까지 실시된 심층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에게 일의 의미는 〈회복과 일의 선순환을 쌓아감〉, 〈일 앞에 놓인 장애(障礙)와 극복을 위한 노력〉, 〈일을 통해 그려보는 미래라는 시간〉의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 그리고 26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과 재활 과정에서 직업재활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하며, 이들의 욕구에 맞는 개별화된 직업재활 서비스와 함께, 취업 연계 뿐 아니라 직업 유지에 대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음주문화가 만연한 근로환경의 변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T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recovering alcoholics about job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recovering alcoholics who are in addiction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have motivation for the job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xhowed that the meaning of job for the recovering alcoholics is 3 themes and 9 sub-themes and 26 components. The 3 themes are followed. 〈Building a Virtuous Cycle of Recovery and job〉, 〈The Obstacles Ahead of Job and Efforts to Overcome〉, and 〈Time of the Future Through Job〉.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ics, suggesting the need for services not only for job linkage but also for job maintenance, along with individu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In addition, the need to change the job environment where drinking culture is prevalent is also being raised.

      • KCI등재

        독성각의 나반존자와 빈두로존자의 관계 재고

        강향숙(Kang, Hyang-Sook) 한국인도학회 2014 印度硏究 Vol.19 No.2

        본고는 독성각의 나반존자가 빈두로존자라는 기존의 설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반존자는 16나한의 특징을 집약한 나한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독성각의 성립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이 전각이 한국의 나한신앙과 관련하여 성립되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나한신앙의 주체가 국가로부터 개인의 신앙형태로 변화되면서 나반존자가 독성각에 따로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나반존자는 나한독성을 지칭하며, 독성이란 용어는 ‘홀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은 성자’가 아니라 ‘홀로 있는 성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나반존자는 아라한이며, ‘홀로 선정에 들어 있는 성자’를 가리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의례집인 『작법귀감』에 나타난 나반존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나반존자는 응공과 신통, 중생의 복전이라는 주된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이 인도의 빈두로존자와 나반존자 사이에서 어느 정도 일치할 수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나반존자는 빈두로존자와 유사한 면을 갖고 있으나, 빈두로존자의 전형적인 특징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한대례”와 “독성청”의 내용을 분석하여, 나반존자와 빈두로존자의 유사성은 양자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기보다는 오히려 16나한의 통섭적인 특징과거의 동일하다는 점을 이끌어냈다. 이런 점에서, 나반존자는 빈두로존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16나한의 특성을 집약한 존자로써, 선정의 경계에서는 그 모습을 감추고 있으나 중생의 바램에 응하여 복전이 되어주고 보살행을 실천하는 성자로 신앙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나반은 선정과 중생계의 경계에 있는 성자를 의미하며, 홀로 선정에 들어 자씨 미륵불이 출현하기를 기다리며, 중생계에서는 중생에게 복을 가져다주거나 재앙을 멸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나반존자는 자신의 해탈에만 만족하는 나한의 이미지가 아닌 대승의 보살도를 행하는 나한임을 알 수 있다. 나반존자는 정성을 다하여 공양을 올리는 자에게는 언제라도 자비신통으로 그에 응하는 응공나한인 것이다.

      • KCI등재

        후기밀교 분노존 아촉여래에 대한 고찰

        강향숙(Kang Hyang Sook)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고는 대승불교에서 자비존이었던 아촉여래가 『금강정경』의 「항삼세품」을 매개로 하여 후기밀교에서 분노존으로 이행해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기밀교 이후 후기밀교에서 불ㆍ보살들은 분노존의 모습을 취하고, 특히 아촉여래는 만다라 중앙의 중존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분노존의 수장으로 자리 잡는다. 이러한 분노존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힌두교와의 길항관계에 의한 영향이 크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 것이 『금강정경』의 「항삼세품」인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고는 먼저 대승경전에 나타난 자비존 아촉여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촉은 한 비구로서 대목여래의 설법을 듣고 무상정등각을 향한 서원을 내고 육바라밀의 보살행을 닦으며, 동방 묘희국에 머무는 타방 불국토의 불로 묘사된다. 이러한 아촉여래는 『금강정경』 의 「금강계품」에서 일체여래의 가지에 의해 대일여래와 동일한 불로 여겨지며, 힘ㆍ항복ㆍ보리를 속성으로 하는 금강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촉은 「항삼세품」에서 주존 항삼세명왕(降三世明王=금강훔가라)으로 변화하여 불교에 적대적인 힌두교의 신 마헤슈와라를 항복시키는 분노존의 성향을 드러낸다. 「항삼세품」의 이러한 내용은 이후 후기밀교 텍스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후기밀교 부딴뜨라에 속하는 󰡔비밀집회 딴뜨라󰡕에는 아촉을 중심으로 한 분노존들이 나타나는데 이들 중 숨바라자와 야만따까는 「항삼세품」의 항삼세명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은 아촉을 정수리에 화불로 장식하여 자신이 아촉의 계열에 속한다는 것을 드러내고 상대방을 위협하는 자세인 전좌세를 취하고 있으며, 손에는 금강저와 금강령을 지물로 쥐고 있다. 또한 이 분노존은 악한 마음을 지닌 적대자나 힌두교의 신들을 항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항삼세품」이 항복법을 통해 이교의 신들을 불법으로 이끌어 보리를 성취케 하는 이타를 설하고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아촉여래의 분노는 일상적인 범부의 분노와는 차이를 보인다. 즉 불ㆍ보살의 분노는 보리의 성취라는 목표아래 자신의 깨달음뿐만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지 않는 이교도들을 항복시켜 깨달음에 이르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track the process of Akṣobha, who was the Merciful Buddha in Mahāyāna Buddhism, becoming the Wrathful Buddha in Later Esoteric Buddhism based on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After the middle of Esoteric Buddhism, Buddhas and Bodhisattvas were in the form of Wrathful Buddha in Later Esoteric Buddhism. In particular, Akṣobha become the leader of wrathful Buddha, occupying the central position in maṇḍala. The advent of the wrathful Buddha was deeply affected by the antagonistic relations with Hinduism. And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well represents the background. That is why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Akṣobha, the merciful Buddha represented in the Mahāyāna sūtra. It describes that Akṣobha stayed Akṣobhya's Buddha-field in the East, making profession of Anuttara-samyak-sambodhi and taking a journey of a Bodhisattva after listening to the Buddhist sermon by Mahānetra as a Buddhist priest. Akṣobha was considered to be the same Buddha as Mahāvairocana in Vajradhātu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and was in charge of Vajra class, featuring power, submission, and Bodhicitta. However, Akṣobha revealed the nature of wrathful Buddha in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who caused Maheśvara, the god of Hinduism who was antagonistic to Buddhism, to surrender after turning into Trailokyavijaya(=Vajrahūṃkara). These contents of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are thought to impact the texts of Later Esoteric Buddhism. Wrathful Buddhas including Akṣobha appear in Guhyasamājatantra, Sumbharaja and Yamāntaka among whom were closely related to Trailokyavijaya of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They revealed that they belong to Akṣobha by marking their crown of the head with nirmāṇa-buddha and took menacing posture while holding vajra and vajra bell on their hands as a mark. And these wrathful Buddhas were to cause antagonists with and evil heart or the gods of Hinduism to surrender. This means that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tries to explain the altruism, achieving Buddhahood of the gods of pagans through the law of submission. In this regard, the wrath of Akṣobha is contrasted with that of an ordinary person. In other words, his wrath was to make the heathens find the enlightenment who did not convert to Buddhism by submission as well as his own enlightenment in pursuit of the achievement of Buddhahood.

      • KCI등재

        차례 : 헤바즈라 딴뜨라의 관정에 관한 고찰

        강향숙 ( Hyang Sook K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8 禪文化硏究 Vol.5 No.-

        본 연구는 후기밀교 母딴뜨라 계열에 속하는 『헤바즈라 딴뜨라』에 나타난 관정의례의 전체적인 구조를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설해지는 관정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母딴뜨라는 성적요가, 주살(呪殺) 등 독특한 실천원리를 표방하고 있기에, 그동안 불교 내에서 이들 문헌에 대한 인식은 평가절하 되어 왔다. 또한 거기서 설해지는 이론과 실천들이 의례적 행위를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교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던 기존의 연구에서도 그다지 주목을 끌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불교 딴뜨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만다라의례, 호마의례, 관정의례 등 일련의 의례가 딴뜨라 문헌을 접근하는데 있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관정의례를 연구의 시발점으로 잡았다. 관정의 제1단계인 아사리관정을 시작으로 제4단계인 제4관정에 이르기까지의 관정차제를 HT 원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중에서 제2단계인 비밀관정과 제3단계인 반야지 관정 속에 함축되어 있는 성교의례와 관련하여 그것이 HT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성교의례에 대한 시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의 제4관정이 HT 실천체계에서 전 단계에 속하는 두 가지 관정(비밀관정, 반야지 관정)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HT의 관정의례는 다름 아닌 제4관정에서 교시(敎示)되는 구생(俱生)의 체득을 통해 현실세계(世俗)와 절대세계(勝義)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정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tructure of consecration in the Hevajra-tantra and grasp the meaning of each state consecration. Specially, as the Mother tantra is including several common elements related with the Hindu-tantra, the value of this literature has not been acknowledged till now. Also because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t tantra accompany a series of ritual behaviour, they are not the main subject of having concern in the Buddhism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buddhistic doctrine system. But in Buddhist tantra, it is a important part to deal with the Mandala ritual, the Homa ritual and the Abhiseka ritual and so on. to understand the Buddhist tantra system. Therefore the consecration of the Hevajra-tantra is explained from the first state (Abhiseka) to the last state (Caturthabhiseka) here, And the second state (Guhyabhiseka) and the third state (Prajnabhiseka) is containing the sexual ritual. In this case, we examine whether both of them have which meaning in the Hevajra-tantra. The misunderstanding of sexual ritual which is involved in the second or third consecration will be able to be revised again through this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consecration, the aim of these stages is acquisition of not having different consciousness between myself and the other people, This non-difference consciousness is related with the Fourth consecration instructed the teaching of Sahaja, Then the Fourth consecration is not a different thing but rather a same thing with the Hevajra-tantra practice system that tried to seek the identity of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absolute world.

      • KCI등재

        알코올 중독으로부터의 회복에 대한 회복개념구성 연구: Q방법론 적용

        강향숙 ( Hyang Sook Ka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2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으로부터의 회복개념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각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회복을 위한 실천개입의 방향성을 찾고, 회복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Q방법론을 활용하여 시행되었다. 문헌 고찰과 함께 4인의 회복자, 중독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Q 샘플을 완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20명의 회복자와 중독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알코올 중독으로부터의 회복 개념의 구성요인에는 모두 4개의 유형이 존재함이 발견되었고 이들 유형은 상호 독립적인 독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각각의 유형은 그 특성에 따라 ‘보통 사람형’, ‘구덩이 탈출형’, ‘영적 성장형’, ‘내 자리 찾기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들 각 유형의 속성에 따른 개별화된 실천적 개입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study is identifying the construct of recovery among recovering alcoholics and analyzing the trait of each type in it. This research used Q methodology. Beside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the Q-popul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people in total. Then Q-sorting wit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20 P-samples in total, consisting of those who were recovering alcoholics and addiction professionals. As a result, the 4 factors were identified and each factor had independent uniqueness. Each factors were named as “ordinary human”, “escape from hole”, “spiritual growth”,“finding position” depends on their tra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ndividualize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에 대한 고찰

        강향숙(Kang, Hyang-Soo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본 연구는 밀교경전인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력수행은 대개 다라니(dhāraṇi, 陀羅尼)를 포함한 경전의 독송방식에 그 주안점을 둔다. 그러나 이 경전의 주력수행은 독송의 방식과 더불어 결계(結界)라는 의식을 병행하고 설해지는 다라니와 진언의 종류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징은 본 경전이 대승 경전에서의 다라니의 기능을 계승하면서도 밀교의 관상수행과 의식작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먼저 주력의 의미와 형태에서는 주력수행이 초기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어떤 의미와 형태로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여기서 주력수행은 세속적인 성취와 출세간적인 성취의 양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면적 특징은 밀교의 세속적인 성취인 호마법과 출세간적인 성취의 관법수행으로 연계된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불모대공작명왕경』의 주력 수행에서는 상(上)ㆍ중(中)ㆍ하(下)권에 나타난 주력수행의 방법이 설시된 진언ㆍ다라니에 따라 각기 독송, 억념(憶念), 수지(受持), 칭념(稱念)이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주력수행자가 '불모명왕다라니(佛母明王陀羅尼)'와 '불모대공작명왕진언(佛母大孔雀明王眞言)'의 독송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공덕의 유형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덕의 유형은 한편으로는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재앙과 환란을 제거하고 수명의 장수와 안락을 말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곳에 거주하는 이들이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을 이익 되게 하고, 죄와 업장의 소멸로 인한 불법의 깨달음을 내포한다. 이처럼 『불모대공장명왕경』에서의 주력수행은 다면적인 주력수행의 형태를 보여주며, 세간적 성취와 출세간적 성취의 일미(一味)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a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of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In general, vidyā power practice places emphasis on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dhāraṇi. However,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scriptures combines both reading and boundary mark ritual and its form is different from the type of the dhāraṇi and mantra given explanation in the scriptures.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this scriptures inherits the function of dhāraṇi in Mahāyāna sūtra and considers as having the elements of being able to develope visualization practice and ritual method(Homa). At first, in the meaning and form of vidyā power practice examines it to having developed as a certain meaning and form from the Early Buddhism to Mahāyāna Buddhism.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is period has both values, that is to say,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And these both values reveal the connection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for the mundane aim and visualization practice for the transcendental aim in Esoteric Buddhism. Also in the vidyā power practice of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make clear the difference of the vidyā power practice, reading, smaraṇa, dhārayati, and grahaṇa, according to dhāraṇi or mantra explained in scriptures. And the reading of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causes good deeds. For example, it removes all disaster, disarrangement occurring in people and gives long life, serenity to them. Futhermore, thanks to its practice, everything or everybody abiding everywhere causes a merciful heart and is beneficial for all living beings and at last all people achieve enlightenment. At this points, vidyā power practice in the Ārya-mahā-mayūrī vidyā-rājñī is including the various forms of vidyā power practice and it has the value of the sameness of both the mundane aim and the transcendental aim.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음주경험

        강향숙(Kang, Hyang-Sook),홍재현(Hong Iae-Hyu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음주경험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다.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음주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으로 이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범주화를 통해 3개의 주제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3개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에게는 맘 편히 ‘허락되지 않는’ 음주, 술을 통해 꿈꿔보는 ‘남들처럼’의 삶, 술 대신 선택한, 내게 허락된 ‘일상’의 행복. 그리고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음주경험의 본질은 “눈 앞에 보이는 금단의 파랑새 대신 나의 일상을 선택하다”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복지와 안녕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drinking experience of the mentally disabled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he phenomenology method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rink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ll ten,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The narrations that the participants have arranged into 8 sub-constituents and 3 final themes. The final 3 themes are as in the followed.〈Drinking alcohol which is not allowed for the mentally disabled〉,〈Dreaming a normal life through alcohol〉,〈Happiness of daily life that is allowed to me and I choose instead of alcohol〉. The essentiality penetrating all the experiences is "I select my daily life instead of the forbidden bluebird in front of me". From this present study,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ttings are deducted.

      • 한국 근대 불교문화 사진의 아카이브 구축과 향후과제 - 사진자료의 범위와 가치를 중심으로

        강향숙 ( Kang Hyang Sook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20 전자불전 Vol.22 No.-

        This paper looked back on the temporal range and value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used in the ‘Establishing Archives of Modern Korean Buddhist Culture Photos’, and looked at how the constructed photos can be us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Buddhist cultural photo archives, the reason why the modern time range was assumed to be the 1980s, which is 100 years after 1880 wa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of the fact that photographs related to Buddhist paintings or sculptures belong to the category of photographs showing Buddhist culture, not just works, I explained what the value of photographs is and how it can be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modern Buddhist culture will be expanded by understanding Korean modern culture easily and incorporating it with new fields by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not only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also in various fields through the ‘Establishing Archives of Modern Korean Buddhist Culture Phot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