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lien Hitchhiker Insect Species Detected from International Vessels Entering Korea in 2022

        강태화,김상웅,최덕수(Deuk-Soo Choi) 국립생태원 2024 국립생태원회보(PNIE) Vol.5 No.2

        Hitchhiker insect species from international vessels entering Korea in 2022 were monitored. A total of 947 samples of hitchhiker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a simple collection method by hand. Among them, 856 individuals were classified as 374 species of 86 families in 10 orders through integrative analysis with DNA barcoding and morphological examination. The rest 91 individuals were identified only to the family lev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374 species (856 individuals), 38 species (71 individuals) were confirmed as not-distributed species in Korea, including six species (11 individuals) as ‘regulated species’ listed by the Korean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Of 38 not-distributed species, 10 species were detected multiple times (at least twi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onitoring of the area around the port of entry along with continuous surveillance to prevent invasion of species detected multiple times. For monitoring alien hitchhiker insect species, this study provided detection information and biological data for alien species.

      • 국가 생물종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곤충강을 대상으로 한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현황 및 전망

        강태화,강태민,김선이,김태우,서홍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국가 생물자원 종합 인벤토리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분포 생물종의 실체를 확인하고 분류학적 정보 및 화상 자료를 포함한 표본 정보를 확보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국가 생물종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한국 분포 생물종에 대한 국내 소장 표본뿐만 아니라 외국에 반출되어 있는 표본까지도 광범위하게 조사해야 한다. 현 결과는 전체 생물 중 곤충강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2016년까지 국가 생물종 목록 기준 한국에 기록된 곤충종수는 16,993종이며, 이 중 10,693종(63%)에 대한 확증표본 정보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6,300종은 대부분 분류학적 난분류군이며, 희귀종이나 감소 추세종으로 추정되어 각 분류군 전문가의 분류학적 소견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전 곤충종에 대한 확증표본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체 및 정보 확보가 완성된다면 국가생물주권확보의 근간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국외에서 출항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보고 II

        강태화,김상웅,홍기정,김남희,조일규,최득수,Kang, Tae Hwa,Kim, Sang Woong,Hong, Ki-Jeong,Kim, Nam Hee,Cho, Il Kyu,Choi, Deuk-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3

        2018년 7월 13일부터 2019년 10월 29일까지 1년 3개월 동안, 총 306개 국외 발 국내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not-distributed hitchhiker insect pests in Korea)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805개체의 편승자 해충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합 분류학적 종동정 방법(integrative identif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12목 78과 379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7목 21과 42종 67개체의 한국 미분포종이 확인되었는데, 10종이 다중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종은 2018년도에 이어 2019년도에도 검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관리해충으로 등재되어 있는 Erthesina fullo (Pentatomidae, Hemiptera)와 Tessaratoma papilosa (Tessaratomidae, Hemiptera)가 검출되었다. 이에 따라, 검출된 미분포종의 사전 조사 및 모니터링 방안 마련뿐만 아니라 침입종(invasive species) 내지 침입 가능종(invasive likelihood species)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한 data sheet를 제공하였다. During 15 months from 13. Jul. 2018 to 29. Oct. 2019, we monitored on the hitchhiker insect pests from a total of 306 foreign vessels entering into Korea. As the results, a total of 805 samples of the hitchhiker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simply collecting method by hands and identified as 379 species of 78 families under 12 orders on the basis of integrative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them, 42 species (67 individuals) of 21 families under seven orders were detected as not-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Of the 42 not-distributed species, seven species were multiply detected in 2018 and 2019, and two species, Erthesina fullo (Pentatomidae, Hemiptera) and Tessaratoma papilosa (Tessaratomidae, Hemiptera) were discovered as regulated insect pest. Therefore, we reported on the 42 not-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with the data shee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nitoring plan on the not-distributed species and the risk assessments on invasive or invasive likelihood species.

      • KCI등재후보

        Taxonomic Study of Korean Cantharidae (Coleoptera) V. A Newly Recorded Genus and Species, Pseudoabsidia ussurica Wittmer, from Korea

        강태화,김진일 한국곤충학회 2002 Entomological Research Vol.32 No.1

        We examined newly recorded species, Pseudoabsidia ussurica Wittmer, from Korea. The species was redescribed with their color variation. Also, the photos of adult habitus and aedeagus are provided.

      • KCI등재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Lycocerus (Cantharidae: Coleoptera) in Korea, with a Newly Recorded Species, Lycocerus striatus

        강태화,김태우,서홍율 한국동물분류학회 2017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3 No.3

        A taxonomic review of the Korean Lycocerus (Cantharidae, Coleoptera) wa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otal of four species were found from Korea including a species new to Korea, Lycocerus striatus. We newly provided a key to the Korean Lycocerus species and the distributional map on each species in this study.

      • KCI등재

        국외에서 출항한 국내 입항 선박에서 검출된 한국 미분포 편승자 해충에 대한 보고

        강태화,김상웅,조일규,홍기정,박상욱,김남희,최득수,Kang, Tae Hwa,Kim, Sang Woong,Cho, Il Kyu,Hong, Ki-Jeong,Park, Sangwook,Kim, Nam Hee,Choi, Deuk-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2

        We monitored on the hitchhiker insect pests from a total of 112 foreign vessels entering into Korea during 109 days from 1. Jun. to 17. Sep. in 2018. As the results, a total of 336 samples of the hitchhiker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simply collecting method by hands, one of interception method and identified as 159 species of 47 families under nine orders on the basis of integrative species identification. Among them, 14 species of nine families under three orders were detected as un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We reported on the 14 undistributed species in South Korea with the data sheets for the risk assessments on invasive or invasive likelihood species. Also, we suggested and used the term 'not-distributed species' for avoiding confusion with 'unrecorded species', 'unreported species', or 'new reported species'. 2018년 6월 1일부터 9월 17일까지 109일 동안, 총 112개 국외 발 국내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편승자 해충(hitchhiker insect pests)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36개체의 편승자 해충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합 분류학적 종동정 방법(integrative identification method)을 이용하여 9목 47과 159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총 3목 9과 14종의 한국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이 확인되어 보고하며, 검출된 미분포종에 대해서 침입종(invasive species) 내지 침입 가능종(invasive likelihood species)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한 data sheet를 제공하였다. 또한, 미기록(unrecorded species), 미보고종(unreported species) 내지 신기록종(new recorded species)과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분포종(not-distributed species)을 제안하여 사용하였다.

      • KCI등재

        Alien hitchhiker insect species detected from the international vessels entering into Korea in 2021

        강태화,Nam Hee Kim,김상웅,최득수 국립생물자원관 2023 Journal of species research Vol.12 No.2

        We monitored the hitchhiker insect pests from the international vessels entering into Korea in 2021. As a result, total of 581 individuals were detected by the survey based on visual inspection with naked eye. Among them, 500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244 species of 65 families under 11 orders through the integrative taxonomic method with DNA barcoding and morphological reexamination, but the remaining 81 individuals were classified as only to the family level. Of the 244 species identified, 26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not-distributed species in Korea (two Orthoptera, two Hemiptera, one Megaloptera, five Coleoptera, three Hymenoptera, and 13 Lepidoptera). Among them, two species, Sagra femorata (Chrysomelidae, Coleoptera) and Dendrolimus punctatus (Lasiocampidae, Lepidoptera), were discovered as ‘Regulated species’ listed by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South Korea. Therefore, we reported on the 26 not-distributed species in Korea and provided inanimate pathway information such as navigation routes on the vessels hitchhiking the species, state of the samples at the time of detection, identification results and original distribution for the detailed monitoring and the risk analysis on the species.

      • KCI등재

        한국미기록속 및 종인 큰머리긴고목벌레(신칭)(딱정벌레목, 톱가슴긴고목벌레과)에 대한 보고

        강태화,안미영,박해철,Kang, Tae-Hwa,Ahn, Mi-Young,Park, Hae-Chul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한국미기록속인 큰머리긴고목벌레속(신칭) 및 한국미기록종인 큰머리긴고목벌레(신칭)를 보고 하고, 이들이 배속된 과명에 대한 논란과 변천을 소개하고자 한다. 큰머리긴고목벌레는 일본에서만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의 서해도서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산 긴고목벌레과는 기존에 알려진 종을 포함하여 총 5종이 기록된다. Mimemodes Reitter, 1876 and Mimemodes emmerichi Mader, 1937 are report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a historical review of the taxonomic position of this genus is provided. M. emmerichi was found on the island of Guleopdo in the West Sea of Korea, bringing the number of species within the Korean Monotomidae to five. In this study, we provide a key to the genera within the Korean Monotomidae, a redescription of M. emmerichi Mader, and illustrations of its habitus and aedeagus.

      • 한국 미기록종인 세로줄어리병대벌레(가칭)(Lycocerus striatus Kazantsev, 1994)의 보고

        강태화,김태우,서홍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2005년부터 2015년도까지 지난 10년간 채집된 병대벌레과(Cantharidae)의 표본을 정리하던 중 어리병대벌레속 (Lycocerus)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종인 세로줄어리병대벌레(가칭)(Lycocerus striatus)를 발견하였다. 이 종은 모식산지 가 한반도와 인접한‘S. Maritime Terr., Khasan Distr., Ryazanovka’이며, 국내에서는 울산을 비롯하여 경북 영주, 경북 안동, 전남 해남 등지에서 채집된 표본이 확인되었다. 유사종으로 알려져 있는 노랑줄어리병대벌레(Lycocerus nigrimembris (Kazantsev))와는 더듬이 두 번째 마디의 길이, 소순판(scutellum)의 모양, 허벅지마디(femura) 기부의 색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번 보고를 통해서 한국산 어리병대벌레속에는 이번에 보고되는 세로줄어리병대벌레(가 칭)(Lycocerus striatus)를 비롯하여 회황색병대벌레(Lycocerus vitellinus (Kiessenwetter)), 제주어리병대벌레(Lycocerus jejuensis (Kang & Okushima)), 노랑줄어리병대벌레(Lycocerus nigrimembris (Kazantsev)) 등 총 4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보고를 통해 한국산 어리병대벌레속의 검색표를 새롭게 작성하였다. 이번 연구는 국립생물자 원관의 연구과제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국립생물자원관 소장 곤충표본 분석 및 미발굴종 탐색’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 Microsatellite Marker Development of Lymantria dispar asiatica Vnukovskij, 1926 (Lepidoptera: Erebidae)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강태화,한상훈,이광수,이흥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한 분석 서열을 기반으로 매미나방의 Microsatellite loci 탐색 및 marker 개발을 수행하였다. 매미나방의 Genomic DNA 서열 분석은 MiSeq Sequencer (Illumina)의 1/8 plat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판독 된 유전자 서열의 길이는 총 3,974,358,483 bp로 평균 248.58 bp로 구성된 총 15,988,036 개의 분석단편이 확보되었으며, 이를 CLC workbench를 이용하여 총 367,397,618 bp로 조합하였다. 조합된 Genomic DNA 서열을 대상으로 반복서열 길이 2~4 bp, 반복횟수 4회 이상의 조건으로 총 1,864 개의 Microsatellite loci를 탐 색하였다. 이 중 반복횟수 6회 이상의 430 loci에 대한 marker 제작 가능성을 TM 55.5~56.5℃, GC contents 30% 이상, primer length 18~22 bp의 조건으로 Primer3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207 개의 marker를 제작하였다. 선별된 207개 marker 중 150개 마커에 대해 일반 올리고 primer set를 제작하여 PCR을 통한 유용 성 평가를 실하였으며, 그 결과 총 51개의 마커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어 Genotyping 용 형광 dye인 FAM을 부착한 분석용 마커로 제작하였다. 현재는 PCR 을 통한 결과만을 이용하여 유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추후 분석용 마커를 이용하 여 Genotyping을 통한 유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주요 검역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 매미나방의 Microsatellite 마커의 개발은 한국을 비롯한 인근 지역의 지역적 개체군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결국 식물검역에서 매미나방 의 유출 국가 및 지역에 대한 판별 분석에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