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산업보건 in(인(人)) 눈 - <2019 한국직업전망> 발표

        강태선,Gang, Tae-Seon 대한산업보건협회 2019 산업보건 Vol.374 No.-

        <2019 한국직업전망>이 발표되었다. 대표직업 196개 중 향후 10년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19개 직업에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이 포함되었다. 고용정보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상세내용을 살펴보면 오랜 시간 연구, 분석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2019 한국직업전망>에서 다른 안전 관련 직종은 없었고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만 찾아볼 수 있었다.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은 앞으로 10년동안 1만 명 정도 그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해당 분야는 '한국고용정보원 > 직업정보 > 한국직업전망 >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으로 분류돼 있다. 그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화학물질안전보건 관리에 관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과 발전 방향-도급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강태선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PSM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에 규정되어 있다. 이 법은 화학물질과 관련된 산업재해 즉 폭발, 누출 등 사고성 재해와 화학물질 만성노출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기준과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제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화학공장은 큰 부지에 여러 협력업체가 동시에 일을 하고 있고, 대정비 작업은 제조업 내에서 건설업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어, 도급 및 건설업 관련 산안법 규정이 적용된다. 안전보건관리체제에 있어서는 산안법 제18조(안전보건총괄책임자), 제29조(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에 주로 규정된 내용의 이행이 필요하고 제9조(협조의 요청), 제28조(유해작업 도급금지), 제30조(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등), 도 관련 내용을 일부 담고 있으므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이중 주목할 것은 제29조제3항이 현재 개정 중인데 도급사업주가 수급인 근로자 안전을 위한 책임이 수급인 사업주 같도록 하는 내용으로 이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하다. 화학공장에서 협력업체와의 조화로운 협업은 화학공장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PSM을 넘어 화학공장에 적용되는 산안법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대비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성이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강태선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5 교회와 사회복지 Vol.29 No.-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성이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특히 자원봉사 활동성이 영성을 매개하여 사회적 책임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영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자원 봉사활동성을 통한 사회적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교회사회사업적인 접근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S지역 중·고등학교의 학생 38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 및 사회적 책임성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 과는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성이 사회적 책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영성은 자원봉사 활동성과 사회적 책임성의 관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적 책임성을 위한 실천적 제언들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y on social responsibility. Particular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effect and mediation effect of spirituality and interac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path analysis using the data of 382 adolescents who a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 region.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has applied for creating the research model and measu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volunteer activ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while spirituality forms partial bridge between the volunteer activ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volunteer activ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adolescents are discussed.

      •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국내·외 지방정부의 노력

        강태선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미국은 2015년 「청정대기법」(Clean Air Act)에 근거하여 부지경계선 대기 중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공정시험법(EPA Method 325A/B) 마련했고 캘리포니아주는 일부 업종에 대하여 유해화학물질 부지경계선 대기모니터링 제도를 제정·시행. 각 국은 화학물질 정보공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제도를 운영하는데 미국 연방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EPA)과 유럽연합 E-PRTR홈페이지에서는 기업별 배출량 조사 데이터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지리적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 주민들이 쉽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배출량 지도(PRTR Map)’를 제공하고 있고 일본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valuation, NITE)도 배출량 지도를 서비스하고 있음.

      • KCI등재

        유통 발효유 제품에 사용된 유산균 동정 및 생균수 측정

        강태선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호상형 및 액상형 요거트 등 20개 발효유 제품의 유산균 생균수 및 사용 균주를 분석하여 제품의 표시사항과 비교하였다. 분석 제품의 생균수는 2.7×107-5.6×1010CFU/mL의 범위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제2021-26호)』의 기준치(1.0×107-1.0×108CFU/mL 이상)를 만족하였다. 순수분리된 유산균의 16S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를 미국국립보건원(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있는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함으로써 제품에 사용된 유산균의 종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는 Lactobacillus 6종(L. paracasei, L. acidophilus, L. plantarum, L. rhamnos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actococcus 1종(Lc. lactis), Streptococcus 1종(S. thermophilus)으로 모두『건강기능식 품의 기준 및 규격(고시 제2019-149호)』에서 제시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로 확인되었다. 제품별 균주 사용 빈도는 L. paracasei (n=7), L. acidophilus (n=5), L. helveticus (n=5), S. thermophilus (n=3), L. rhamnosus (n=2),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n=2), Lactobacillus plantarum (n=1), Lc. lactis (n=1) 순 으로 조사되었다. 소비자 알권리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사용된 프로바이틱스 미생물의 균주명 등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viable cell counts and species used for fermented milk products (n=20) sold on the South Korean market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ir label claims. In the case of viable cell counts, all products showed 2.7×107-5.6×1010 CFU/mL, which satisfied the standard requirements (over 1.0×107-1.0×108 CFU/mL) suggested by the Food Code of South Korea. Sequences of 16S ribosomal RNA gene amplified from pure cultures for each product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NCBI GenBank database. Identified species were Lactobacillus paracasei, L. acidophilus, L. plantarum, L. rhamnos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actococcus lact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ll of which have been approved as probiotic microorganisms in South Korea. The frequency in use of these lactic acid bacteria was as follows: L. paracasei (n=7), L. acidophilus (n=5), L. helveticus (n=5), S. thermophilus (n=3), L. rhamnosus (n=2),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n=2), L. plantarum (n=1), and Lc. lactis (n=1). Therefore, labeling information declaring probiotic species used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nsumer rights and trust.

      • KCI등재

        국내 대형 초밥 뷔페에서 사용되는 수산물의 원재료 모니터링 연구

        강태선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1

        In this study, seafood products (n=26) sold on sushi buffet restaurants in the city of Wonju were monitored by analyzing sequences of DNA barcode markers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and 16S ribosomal RNA genes). NCBI BLAST database was screened with the barcode sequences analyzed as a query for species identification. The BLAST search revealed that fifteen samples (58%) analyzed were consistent with their labeling information; however, the ingredients used in seven samples (27%) were not compliant with their labe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se mislabeled products, ingredients for sutchi catfish sushi and cherry bass sashimi were identified as Pangasianodon hypophthalmus and Lampris guttatus, respectively. For Japanese flying-fish roe sushi and Pacific herring roe sushi, roe of Mallotus villosus was used as an ingredient. Amphioctopus fangsiao and A. membranaceus were used in octopus sushi and soybean-marinated squid products, respectively. This monitoring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consumer rights and the reduction of fraudulent practices in the foo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