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범죄예방지도사(가칭) 자격제도의 도입방안

        강철하,최규호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6 법무보호연구 Vol.2 No.

        범죄에 대한 사전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범죄예방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범죄예방분야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부족하여 민 간자원의 활용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변화된 범죄환경에 대처하고 여전히 높은 수준의 재범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범죄예방 대책의 시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범죄예방 대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 예방활동을 수행하는 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요청된다는 점에서 전문자격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기존의 범죄예방과 관련된 유사 자격제도의 경우에는 일반인, 우범자, 범 죄자를 아우르는 범죄예방전문가 양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로 ‘심리 상담’ 분야에 치우친 교육 시행으로 범죄예방에 필요한 균형 있는 학습이 부족하다는 문제 점 등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①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② 범죄예방분야 에서 현재 활동하고 법무부(보호관찰소)․검찰․경찰․법무보호복지공단 등의 관련 종사 자, 법사랑위원 등의 민간자원봉사자, 기타 범죄예방전문가로 활동하고자 하는 자 등 을 대상으로 ③ 법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범죄학 등의 범죄예방 관련 이론의 균형 있는 학습에 기초하여 ‘지식의 이해력’, ‘분석력’, ‘판단력’, ‘종합적 실무능력’을 평가 함으로써 ④ 그 성취도에 따라 전문가 자격을 부여(1급, 2급)하는 새로운 자격제도 모델로서 이른바 ‘범죄예방지도사’ 자격제도의 개발 및 시행을 제안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rime is emphasize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a shortage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rime prevention, so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lement crime pre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pe with a changed crime environment and prevent recidivism.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and systematic crime prevention measure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performing the preventive activities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might be a breakthrough. But those similar qualifying system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re not enough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in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raining wide-scoped specialists for the citizen, the offender, and the recidivist, and that those systems are biased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lacking a balanc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o-called ‘crime prevention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as a new qualification A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rime is emphasize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a shortage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rime prevention, so that there is a high need for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lement crime prevention measures in order to cope with a changed crime environment and prevent recidivism.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and systematic crime prevention measure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performing the preventive activities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might be a breakthrough. But those similar qualifying system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re not enough to raise the expertise of the manpower, in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raining wide-scoped specialists for the citizen, the offender, and the recidivist, and that those systems are biased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lacking a balanc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so-called ‘crime prevention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as a new qualification model. Aiming at “realizing a safe and healthy society”, this system, by testing knowledges and analytical, practical, and judgmental abilities in regard of the study of law, psychology, social welfare and criminology, is designed to qualify those who are now in charge of the crime prevention task and wish to work as a staff of Ministry of Justice(especially the Probation office), the Prosecution service, the Police agency, a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or as a civilian volunteer, etc.

      • KCI등재

        전자(화)문서의 증거활용성 제고방안

        강철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集 Vol.24 No.2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lectronic transactions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are becoming commonplace. As a result of these circumstances, the inefficiency of the recording and archiving method by paper documents has become a problem, and on the contrary, the necessity of legal action or evidence utilization by electronic documents is increasing. However,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to identify “paper documents, which are traditionally expressed ideas and ideas,” and “records in electronic form.” On this issue, the “functional equivalent approach” recognizes the intrinsic differences that arise in the concept of paper and electronic documents. However, if the electronic recor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paper document in terms of the functional features of the document, the electronic record is recognized as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is theory suggests an approach that looks the same as the existing document. Similarly, legislation on electronic documents from around the world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unctional equivalent approach. Korea already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Electronic Transactions in 1999 and encouraged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However, despite the legislative efforts on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due to lack of legislation, document holders keep the original paper documents together to prepare for future legal dispute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electronic documents or scanned documents in litigation,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use of such a evidence.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자 거래와 전자적 의사소통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 속에서 종이 문서에 의한 기록이나 보관 방법은 지나치게 비 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문서에 의한 법률행위 또는 증거 활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문서의 사용은 전통적으로 사상과 관념이 표시된 유체물인 종이문서 와 전자적 형태의 기록물을 어떻게 동일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을 발 생시키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하여 이른바 ‘기능적 등가치론(functional equivalent approach)’ 은 전자기록이 문서의 기능적 측면에서 종이 문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그 전자기록을 전자문서로 인식(문서성 인정)하고, 그 취급에 있어서도 기존의 문서 와 동일하게 보는 접근방식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상당수 국가의 전자문서 에 관한 법률은 이러한 ‘기능적 등가치론’에 입각하여 마련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1999년에 「전자거래 기본법」을 제정하여 전자문서의 사용을 장려해 왔다. 하지만 전자문서 활용에 대한 그간의 입법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송절차상 전자문 서 또는 전자화문서 활용의 법적 근가가 미비하여 개인이나 기업 등의 소송당사자는 원본 서류를 함께 보관하여 향후 법적 분쟁에 대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송절차에서 전자문서 또는 전자화문서의 증거활용과 관 련된 법적 쟁점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법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화)문서의 증거활용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개정 형소법 제313조의 해석론 : 전자진술서의 증거능력을 중심으로

        강철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8 法學論集 Vol.22 No.4

        종래 형사소송법 제313조 적용에 있어 ‘디지털정보에 대한 과학적 분석결과’보다 ‘진술자의 인정 진술’에 의존하면서 만일 작성자 또는 진술자가 성립의 진정을 부정하게 되면 디지털자료의 증거 사용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2016년 5월에 ‘진술서’ 및 그에 준하는 ‘디지털 증거’의 진정성립은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도 인정할 수 있도록 형소법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자료에 대한 진정성립 인정기준의 미비, ‘객관적 방법’ 개념의 모호성 등 개정 조항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실제 법적용상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ⅰ) 개정 제313조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법 적용상의 혼란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다 명확한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예컨대, 전자정보가 진술증거로 사용되는 경우 형식적 진정성립 및 실질적 진정성립의 의미를 밝히고, ‘객관적 방법’의 의미와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ⅱ) 일정부분 형사절차상의 합리성이 인정되더라도 피고인에게 불리한 증거채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라는 형사소송법상의 원칙에 따라 과도한 해석론을 자제하고 법률의 문언과 법체계를 고려하여 해석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다만 개선 필요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입법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제2항 본문에서 작성자가 부인하는 경우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등 객관적 방법’으로 성립의 진정함을 증명할 수 있는 대상을 우선 법률의 문언에 따라 ‘진술서’에 한정하고 ‘진술기재서류’는 배제하되, 향후 ‘진술기재서류’를 포함한 개선 입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달리 (ⅲ) 형사절차상의 합리성이 인정되고 그러한 해석론이 피고인의 이익에도 부합하는 경우에는 현행법의 형식적 문구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범위 내에서 확장된 해석론을 제시하였는데, 예컨대 반대신문권 보장과 관련하여 제2항 단서에서 ‘진술서’만을 규정하고 있더라도 ‘진술서’에는 ‘진술기재서류’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보장범위를 확대하는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In the past, in applying Article 31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evidence of digital data if the person who prepared the statement or document or stater denied the authenticity of its formation by relying on the statement rather than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digital information”. Due to these problems,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amended in May 2016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formation of digital evidence as an 'objective method such as digital forensics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results'. However, despite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applicat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law. In this paper, therefore, (i) a clearer interpretation of the unambiguous parts of Article 313 is presented. For example, when electronic information is used as statement evidence, it reveals the meaning of the authenticity of formation and embodies meaning of 'objective method'. In the meantime, in this paper, (ⅱ) even if the rationality in the criminal procedure is recognized, the interpretation theory is derived in the direction of restraining excessiv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in dubio pro reo' principle when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unfavorable evidence to the defendant. In addition, the legal improvement direction is also suggested for areas wher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On the contrary, (iii) In case the rationality of the criminal procedure is recognized and the defendant 's interests can be protected, such as the extension of cross-examination coverage, the extended interpretation is presented within a reasonable limits.

      • KCI등재후보

        사용자제작컨텐츠 이용확산에 따른 사회적 유해성 예측과 법 제도적 대응방안 연구

        강철하 경찰대학교 2007 경찰학연구 Vol.7 No.2

        Our world overcoming time and space limi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near future is so called “Ubiquitous Society” which is possible on two way transmission. The 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changes from information customer to information producer with the promo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in person. It makes the appearance of prosumer’ together with UCC that is natural states by the level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However, after years illegal harmful contents are going to increase with the use of UCC, also in reality the reverse function caused to ‘the middle school girl’s rape incident’. Accordingly my study is focused on immature UCC fields that are necessary, useful work. In this study 1 would like to predict the social maleficence about UCC and derive a legal • institutional counterplan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 KCI등재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국외이전의 법적 쟁점과 개선방향

        강철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제규제와 법 Vol.10 No.2

        ‘Cloud computing’ mean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flexibly use integrated and shared resour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uch as devi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s, and software,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users’ requirements or demands. Cloud computing service, which is an on-demand service of IT resources using the Internet, does not need to purchase or install a server or software directly and does not need to maintain or repair the system. For this reason, the use of companies or individuals has been widespread recently, and it is likely to be used as a core infra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However, in spite of various advantages of cloud computing,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can be processed in the process of using cloud servic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in remote computer resources according to ‘distributed data processing technology’ which is a core technology of cloud computing, If a domestic Cloud Service Provider (CSP) utilizes the computing resources as overseas data center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to other countries. By the way, various legal issues that have not been anticipated in the past are caused such as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legal status and the appl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notices, etc.) in the cloud environment. Furthermore, in Korea, beside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Its Users”, the only law in the world, has been enacted, causing complications related to legal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variou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transborder flow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loud environment and suggests direction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to overcome the problems.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집적⋅공유된정보통신기기, 정보통신설비,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자원을 이용자의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신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체계를 말한다. 이처럼 ‘인터넷을 이용한 IT 자원의 주문형 서비스’인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는 직접 서버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설치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을 유지⋅보수할 필요가 없어비용절감 효과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기업 또는 개인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와 같은 클라우드컴퓨팅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클라우드서비스 이용과정에서처리될 수 있고, 클라우드컴퓨팅의 핵심기술인 ‘분산처리기술’ 및 ‘가상화기술’에 따라 원격지의 전산자원에서 개인정보가 처리될 수도 있으며, 특히 국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제공자(Cloud Service Provider)가 해외의 데이터센터와같은 전산자원을 활용할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국외이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의 국외이전문제는 분산처리기술 및 가상화기술 등의 독특한 기술, 임대형 이용방식 및 복잡한 법체계 등에 따라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지위, 개인정보 국외이전 요건(정보주체 동의, 고지)의 적용가능성 등 종래에 예상하지 못했던 다양한 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개인정보보호법 이외에도 세계에서 유일한 클라우드 단일법인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제정되어 법 해석 및 적용에 있어서 복잡성과 어려움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국외이전과 관련된 국내외 법제의 비교검토를 통해 다양한 법적 쟁점을 분석해 보고, 도출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 현황과 개선 시사점 - 정보통신분야를 중심으로 -

        강철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2 No.3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growth potential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the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ll be integrated into the economy and society and bring about revolutionary change(hyper connectivity・super intelligence).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information mobility must be guaranteed in order to achieve achievements such as manufacturing innovation, distribution innovation, new scientific discovery, efficienc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overcoming incurable disease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data innovation that we expect. Likewise, the adverse eff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dependence on a specific technology company(vendor lock-in), reduction of consumer choice, information asymmetry and power imbalance problems by the new digital(data) divide, can also be solved by ensuring openness and mobility of information. Of course,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the risk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 process, and to strengthen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at each information distribution stage. In this regard, in order to protect the freedom and rights of individuals, Korea has enact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a variety of law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each industrial area, and has been steadily strengthening measur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ata subject.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xisting information protection law is too complicated and rigid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which is mov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intelligent age', and it is hindering the progres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I will briefly review the current stat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in Korea and the laws applicable to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in particular(Ⅱ). Next, I will draw up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including legal issues related to the key area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Cloud Computing(Ⅲ). Then I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in Korea(Ⅳ).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초연결・초지능)를 가져올 것이라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성장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기대하는 4차 산업혁명 또는 데이터 혁신에 의한 제조혁신, 유통혁신, 새로운 과학적 발견, 공공행정의 효율화 및 난치병 극복과 같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보의 유통성 보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의 역기능으로 예상되는 특정 기술기업에 대한 종속, 소비자 선택권 축소, 새로운 디지털(데이터) 디바이드에 따른 정보 비대칭과 힘의 불균형 문제도 정보의 개방성・유통성 보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의 긍정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부정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정보유통성은 보장될 필요가 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당연히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에 대한 침해위험을 방지하고, 정보유통 단계별로 정보보안 조치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 동안 우리나라는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을 비롯해 개별 영역별로 다양한 개별법을 제정하여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대책을 꾸준히 강화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정보화 시대’를 넘어 ‘지능화 시대’로 이행하고 있는 정보기술 환경 속에서 기존의 개인정보보호법제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경직되어 있어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의 진행을 지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 현황과 특히 정보통신분야에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을 간략히 검토해 본 후(Ⅱ), 정보통신분야에 적용되는 현행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상의 문제점,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분야로 인식되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에 있어서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을 도출해 보고(Ⅲ), 그 개선 시사점을 제시한다(Ⅳ).

      • 전자금융거래법상 접근매체 불법획득ㆍ사용자에 대한 형사책임

        강철하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명지법학 Vol.17 No.1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of financial servic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such as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are often used in our lives. To secure safe and trustworthy transactions in increasing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legislative action about unique legal relations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while systematically ruling the order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is necessary so that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has enacted and enforced. In particular, this act has considerable rules about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such as issuing of electronic money, pre-paid electronic payment token, and direct electronic payment, and regarding this, there may be crimes of extorting other people's possessions like illegal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highly developed technologies including hacking and distribution of malignant code. Accordingly, the current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protects necessary means of access in terms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tensifies safety of the use to prevent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crimes.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means of access and to prevent illegal use, this paper reviews the legal analysis of related clauses and case analysis (court precedent), and suggests for improvement of penal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illegal use of means of access. 그동안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 최근의 핀테크 (FinTech)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자금융서비스가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생활 속 에서 전자금융거래 이용이 증가하고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나타남에 따라 안전하고 신뢰 할 수 있는 거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금융거래법」이 2006년 4월 28일 제정되고,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물론 동법에서는 전자화폐 발행,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직불전자지급수단과 같은 새로 운 유형의 전자금융거래에 대한 상당한 조항을 두어 전자금융거래 체계를 규율하고 있 으며, 동시에 전자금융거래의 정확성, 신뢰성, 안전성을 침해하는 범죄에 대한 형사적 대응수단도 마련해 두고 있다. 그런데 전자금융거래의 정확성, 신뢰성,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자 금융거래의 거래지시 수단이면서 거래내용의 진실성과 정확성을 담보하는 ‘접근매체’의 엄격한 보호와 관리가 요구된다. 이는 최근 해킹 또는 악성코드 유포와 같이 고도화된 정보기술을 악용한 금융범죄의 방지를 위해서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접근매체의 보호와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형사적 대응을 위해 ‘전자금융거래법상의 관련 조항에 대한 법률분석’과 ‘사례분석(법원판례)’을 거쳐 현행 전자금융거래법상 접근매체의 불법획득․사용에 대한 형사책임의 문제점과 개선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