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학적 논변의 전통과 크세노파네스

        강철웅(Chol-ung Ka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9

        이 글은 논변이 철학적 담론 방식의 핵심으로 대두되는 초기 철학사의 발전 과정에 크세노파네스 사유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기존 크세노파네스 해석 대부분이 의존하는 신학 중심성 테제에 도전하면서, 그 테제가 낳은 해석상의 약점, 즉 그의 담론이 주장 단계에 머물러 있고 논변적 면모가 취약하다는 커드식의 단계론적 접근과 그에 따른 작품의 통일적 이해 실패를 넘어서려 시도한다. 신학 단편에 가려 주목되지 않았던 ‘주변적’ 단편 특히 향연시 단편의 분석을 통해 이 글은 다음을 밝힌다. 향연시가 담고 있는 메타 향연은 인식론 논의와 함께 크세노파네스의 메타 담론을 형성한다. 핵심어의 이중적 사용이 그 메타 담론의 특징이다. 이는 노모스의 이중성, 결국 노모스-퓌시스 구분으로 귀결된다. 이런 메타 담론적 시야 때문에 그의 담론에는 논변적 정당화가 필요하다는 의식이 전제되어 있다. 이런 고찰을 통해 논변 전통의 발전이 i) 주장에서 ii) 논변 제시를 거쳐 iii) 논변 반성의 단계로 나아간다는 단계론적 이해의 한계가 드러나며, 이를 바탕으로 크세노파네스 논변이 i) 주장에 머문 게 아니라 우회하여 iii) 반성 단계를 거친 후 ii) 논변 제시 단계로 이행하는 과정 중에 있음이 밝혀진다. 이로써 우리는 논변 전통의 발전이 파르메니데스라는 천재 철학자의 출현을 통해 단발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기존 이해에서 탈피하게 된다. 철학의 핵심이 특정 시점 특정인의 특이한 활동에 귀속되기보다는, 사변 결과인 이야기를 내어놓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공동 자산으로 함께 성숙시켜 가는 변증과 대화의 ‘전통’임을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 what role Xenophanes" thought play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history of philosophy in which argumentation came to the fore as the essential feature of the philosophical discourse method. I challenge the theology-centered approach to his discourse and try to go beyond Curd"s three-stage approach and the failure of comprehending the unity of his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therto almost ignored ‘"peripheral’" fragments,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hat his meta-symposium in the symposiac poems added to epistemological discussions makes up his meta-discourse, the special feature of which being the intended ambiguity of some key words; that such ambiguity leads to the ambiguity of nomos, and ultimately to nomos-physis distinction; and that, due to such epistemological and meta-discursive view he secured, his discourse presupposes some consciousness that discourse should be backed up by argumentative justification. We can observe that Xenophanes" discourse is not still in the assertive stage but, going all the way round passing through the reflexive stage, now in transition to the argument-presenting stage. In addition, we can find our way out of the established opinion on the tru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argumentation. We can reconfirm that the essential features of philosophy do not consist in some particular figure"s singular activity, but in the ‘"tradition’" of the dialectic and dialogue in which one offers one"s own story made out of speculation and others critically meditate on it through cooperative inquiry, ultimately growing it as common asset.

      • KCI등재

        아폴론 대 델로스 잠수부, 그 철학적 대화의 시작

        강철웅(Chol Ung Kang)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 and legitimacy of the tradition to characterize Heraclitus as “obscure.” This tradition was born from the unhealthy dichotomy which considers a discourse as good only when it conveys clear thoughts with simple medium. However, the discontinuity and the fragmentary style of the aphorism revealed in his surviving fragments are never a casual output produced by the distortion they suffer in the stage of their transmission. Rather, they are intended results from the author`s active reflection and deliberate choice of discourse form and medium; especially, they are byproducts of the ambitious attempt to intactly embody in hisown discourse the ``intended ambiguity,`` which was the Zeitgeist of the second-phase philosophers. It was the purpose and spirit of his discourse and meta-discourse to reveal the world as it is by sign, which naturally required the sort of discourse form and medium that can preserve the ambiguity and tension of discourse at most. In order to achieve the abundance of talk that is open towards multiple interpretation, to leave a blank space for readers to fill, and to establish the tradition of making and raising talks together, he chose writing rather than speaking, and prose rather than poem, and came to produce a discourse with various styles that had a large portion of discontinuous gnome or aphorism but also included a small portion of continuous argumentative prose. Such choice and attempt of his formed a part of the epistemological turn and meta-discursive reflection which were specific features of the second-phase philosophers, and demonstrate that his discourse, after rigid scrutiny on contemporary tradition of discourse, actively accepted and tried to improve the gnomic tradition of the seven sages and the prose tradition of Ionian philosophers.

      • KCI등재

        플라톤의 『크리톤』에서 설득과 공감

        강철웅(Kang, Chol-U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8 西洋古典學硏究 Vol.57 No.2

        이제까지 우리는 『크리톤』을 읽으면서 주로 『변명』과의 외견상 모순 해결 같은 고전적, 고답적인 문제에 부심해 왔다. 철학과 정치의 만남이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에서 문제화하는 거의 최초의 자리라 할 『크리톤』은 그러나 우리에게 훨씬 더 근본적인 차원의 문제를 제기한다. 다양한 가치의 공존과 경쟁 속에서 민주적이기를 요구받는 우리에게 소통의 문제를, 좁혀 말해 설득과 공감의 문제를, 이를테면 자기 확신과 열린 대화의 공존 가능성 여부를 화두로 던진다. 이에 이 글은 ‘설득’이라는 열쇳말을 중심으로 『크리톤』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음미한다. 우선 『크리톤』에는 층위가 다른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는점을 확인하고(2절), ‘설득’이 그 여러 층위 이야기들을 관통하는 핵심 어휘임을 보이면서, ‘설득’ 관련 어휘들이 각 담론의 위상과 상호 관계 설정에 어떤영향을 주며 작품 전체의 통일적 메시지를 담아내는지를 ‘복종’과 ‘합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핀다(3절과 4절). 이후 ‘설득’ 관련어의 용례가 결국 세 주요 담론의 배치를 일련의 ‘설득들의 경쟁’으로 규정한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개인-국가 간 설득이라는 새로운 논제가 작품 내에서 문제되고 부각되는 과정에 주목한다(5절). 끝으로, ‘의인(화된) 법률 연설’의 설득이 크리톤을 향한 설득이자 자기 설득으로 기능하는 이중성을 가진다는 데 주목하면서 소크라테스적 설득의 특징적 면모와 함축을 음미한다(6절). 이 글을 관통하는 주안점 가운데 하나는 내용-형식 간 긴장이다. 설득과 공감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실천의 관건은 이야기의 내용 못지않게 이야기를 감싸는 형식과 맥락에도 비중 있는 관심을 할애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결국 이 글은, 이론적으로는 의인법률 연설과 소크라테스 담론을 분리하려는 웨이스(R. Weiss) 계열 해석의 한계들을 드러내면서 『크리톤』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하고, 실천적으로는 설득과 공감이라는 소통의 과제를 안고 있는 오늘날 우리에게 자기 설득/확신과 열린 대화의 공존 가능성과 모델을 타진하고 모색한다. Up to now, in reading the Crito, we have mostly been preoccupied with some classical and abstruse problems, such as that of solving its apparent contradiction to the Apology of Socrates. But as a classical locus where the encounter between philosophy and politics in Plato’s Socrates took place and became problematic probably for the first time in Platonic corpus, the Crito poses us a problem in a much more fundamental level: it brings up for our reflection a point of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one of persuasion and sympathy, e.g. a question of how self-conviction and open conversation can coexist with each other among us who, under the circumstances of multiple values coexisting and competing, are asked to be democratic.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purports to illuminate and examine the dialogue Crito three-dimensionally, focussing on ‘persuasion’ as a keyword. First, I present and elucidate my observation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among the several discourses which comprise the Crito (section 2). And, showing that ‘persuasion’ is the keyword which permeates all those discourses presented in different levels, I examine, focussing on the concepts of ‘obedience’ and ‘agreement,’ what influence persuasion-words exercise on the setting of the status of each discourse and interrelation thereof and how thereby they embody the unified message of the whole dialogue (section 3 and 4). And then, observing that the usages of persuasion-words end up with defining the setting of three main discourses as ‘a competition between persuasions,’ I make notice of the process how the new theme, i.e. the persuasion performed by and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country, becomes problematic and eminent in this dialogue (section 5). Finally, noticing that the persuasion of the personified Laws is both that directed against Crito and that against Socrates himself, which means a sort of self-persuasion, I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Socratic persuasion (section 6). One main focus which this article consistently adheres to is the tension between contents and forms of discourses: the essence and key of the philosophical examination and practice on persuasion and sympathy is paying a due attention not only to the contents of discourses but also to their forms and contexts. Theoretically, through such discussions this article ultimately purports to attempt the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Crito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pretation after the manner of R. Weiss; practically, it searches for the compatibility between self-conviction/persuasion and open conversation and its model for us who have urgent tasks of improving our communication, i.e. persuasion and sympathy.

      • KCI등재
      • KCI등재

        기원전 1세기 아카데미의 플라톤주의 수용

        강철웅(Kang, Chol-U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필론과 안티오코스로 대표되는 기원전 1세기 전반기 아카데미는 이전 두 세기 동안의 신 아카데미 철학에 대한 반성과 평가를 시도하면서 플라톤주의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였다. 신 아카데미 회의주의는 인식 불가능성 논변, 그에 따른 판단 중지 권고, 그 권고를 보완하기 위한 실천적 기준 제시 등으로 집약된다. 필론은 신 아카데미가 변증적 문답에만 열중한 것이 아니라 오류 가능하나 우리 삶과 행위를 인도하기에 충분한 앎을 인정했으므로 플라톤주의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반면에 안티오코스는 삶과 행위를 인도할 수 있는 앎이란 엄격한 스토아적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을 위시하여 소요학파와 스토아를 관통하는 플라톤주의의 핵심 줄기이므로 신 아카데미는 플라톤주의에서 벗어나 있다고 평가한다. 사실 신 아카데미의 두 대표자 아르케실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의 회의주의에 대해 변증적 해석을 철두철미 견지하기는 쉽지 않다. 그들에 대한 적극적 해석의 여지가 많으면 많을수록 오류 가능주의 해석을 통한 아카데미의 단일성을 주장하는 필론의 입지가 넓어진다. 그러나 신 아카데미가 필론처럼 앎의 기준에서 오류불가능성을 포기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류 가능한 어떤 인지의 유용성을 인정한다는 점은 신 아카데미와 필론을 연속적이게 한다. 그것을 앎이라고 특징짓는지 여부에서는 다르지만 이런 인지의 인정이 플라톤주의의 가능한 한 형태일 수 있다면, 비판자 안티오코스 자신도 강조하듯이 명목상의 차이를 넘어 본질적인 일치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역사적 플라톤을 찾겠다기보다 플라톤이 대변했던 철학적 진리의 회복을 목표로 삼았던 이들의 초당파적인 지적 탐색은 플라톤 자신도 그 한 구성 요소에 불과한 열린 플라톤주의, 플라톤의 손가락이 아니라 그가 가리키는 것을 보아야 한다는 그런 진정한 플라톤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평가해야 한다. The Academy in the first half of the first century BCE led by Philo of Larissa and Antiochus of Ascalon tried to reflect on and evaluate the philosophy of the precedent New Academy and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Platonis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New Academy’s skepticis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rgument for the impossibility of knowledge, the recommendation of the suspension of judgement (epoch?), and the presentation of practical criteria. Philo argued that the New Academy had not totally immersed in dialectical discussion with dogmatists but approved the knowledge which is fallable but still sufficient for guiding one’s life and actions, and that, in this regards, the New Academy could be called an heir to Platonism. But Antiochus argued against him that the knowledge which can guide one’s life and actions must meet the strict Stoic requirements, and that that was the essence of Platonism which had been preserved by three major philosophical groups (i.e. the Old Academy, the Peripatetics, and the Stoics), so that the New Academy had deviated from Platonism. As to the skepticisms of two New Academics, Arcesilaus and Carneades, it is not easy to adhere strictly to dialectical interpretation. The more room for positive interpretation on them we can find, the more persuasive Philo’s thesis of the unity of the Academy with his fallabilist interpretation on the New and Old Academy can be. It is doubtful, though, whether the New Academy could have really abandoned the infallability from their conception of knowledge like Philo did. Still, as far as they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certain fallable cognition, we can say that the New Academy and Philo stood on the same continuous line of development. If this acknowledgement can be a possible form of Platonism, although they can disagree with whether that cognition can or should be called knowledge, we can say with Antiochus himself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essential agreement rather than to nominal difference. Their supra-partisan intellectual quest aimed at the restoration of philosophical truth represented by Plato, rather than at searching for historical Plato. To approach it properly, we need such a perspective of Platonism of which even Plato is merely a component, and should not just look at his finger but what he indicates with his fing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와 철학 그리고 향연: 크세노파네스 단편 1을 중심으로

        강철웅(Kang, Chol-Ung)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8 No.-

        크세노파네스는 선배 철학자들이 시작한 산문적 소통 방식을 마다하고 왜 굳이 시로 철학을 했을까? 신학이 과연 크세노파네스 철학의 알파요 오메가인가? 지금까지 크세노파네스 이해는 대체로 호메로스적 신관에 대항하여 새로운 신론을 확립한 것이 철학사에 대한 그의 결정적 기여라는 데만 주목했기 때문에 이런 물음들을 별로 문제 삼지 않았다. 그러나 그런 이해에는 그의 작품들 가운데 중요한 일부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특히 향연시는 분량과 내용 면에서 조명의 가치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존재감이 아주 미미한 채로 남아 있다. 이에 이 글은 향연시 가운데 가장 긴 단편 1을 음미하면서 그의 향연시가 철학적 영양가가 별로 없다는 통상의 이해에 도전하고, 신학 중심성 테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면서 운문 선택의 이유를 적극적으로 탐색한다. 향연시에서 크세노파네스는 스스로 좌장이 되어 향연을 주재하면서 향연 자체를 다시 향연의 대상으로 삼으며, 향연에서 제시되는 이야기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시 이야기 대상으로 삼는다. 그의 시는 향연이면서 메타 향연이고 이야기이면서 메타 이야기인 것이다. 호메로스의 자의식이 시인 자신의 활동이 가진 외적 측면을 주로 향해있던 것과 달리, 크세노파네스의 자의식은 시인 자신의 활동의 심장부를 향해있으며 자기 일에 대한 규범적 차원의 반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런 자의식과 반성을 바탕으로 그가 호메로스적 향연 문화, 이야기 문화를 넘어서고자 했다는 것이 향연시에 드러나 있으며, 이는 반성과 비판, 대화를 통한 소통이라는 새로운 문화 자산이 확립되었다는 철학측의 선언이라 할 만하다. 그가 다층적으로 구사하는 원환 구성이나, ‘흥’ 등 핵심 개념에 의도적으로 이용하는 애매성은 시라는 매체에 대한 그의 선택이 통념과 달리 상당히 적극적인 것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는 시를 넘어서기 위해 일부러 시를 택했던 것이다. Why did Xenophanes obstinately insist on doing philosophy with poems, turning down the prose-style mode of communication which his preceding philosophers had initiated and developed? Was theology really the alpha and omega of his philosophy? Such questions have long been beyond most Xenophanean scholars’ ken, as the scholars largely paid too much attention to the thesis about Xenophanes’ conclusive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being the development of new theology challenging the Homeric conception of gods to get interested in such questions. However, this understanding of Xenophanes does not do justice to some important parts of his works. His sympotic poems, in particular, do not receive as much recognition as they deserve, in spite of being both worth noting and illuminating in quantity and in content as well. Thus, this paper examines Xenophanes’ sympotic poems, especially fragment 1, the longest fragment among them, challenges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depreciates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such poems, searches for the reasons behind his choice of verse, and proposes an alternative to the theology-centered approach to his philosophy. In these poems, Xenophanes presides over symposium as the symposiarchos while treating symposium itself as the object of his symposium. The question of what the story presented in symposium should be like becomes the object of his story. Thus, his poem is a symposium, and, at the same time, a meta-symposium as well; it is a story and also a meta-story. While Homer’s self-awareness is focused on the external side of the poet’s own activities, Xenophanes’ is on the heart of it. His sympotic poems reveal that, based on such self-awareness, Xenophanes tried to surpass the Homeric culture of symposium and story, which in turn was instantiated in his theological and physical fragments. He on purpose makes use of multi-layered ring compositions, and deliberately applies ambiguity to his main concepts like good temper. This suggests that his choice of poem as medium was rather enterprising pace accepted scholarly opinions; he deliberately chose poem in order to surpass po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