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 : 뇌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인지기능 및 정신증상간의 상관관계

        강철민,이영호,정영조,이정흠,김수지,박현진,Kang, Cheol-Min,Lee, Young-Ho,Jung, Young-Jo,Lee, Jung-Heum,Kim, Su-Ji,Park, Hyun-Ji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에서 뇌의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런 변화와 인지기능, 신경학적변화, 임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남15, 여5)과 성별, 연령을 조합한 정상대조군 23명(남15, 여8)을 대상으로하여 뇌자기공명촬영의 면적측정을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검사, 연성신경학적 증후, 그리고 임상증상을 평가하여 뇌자기 공명 촬영 측정치와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과 : 1)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든 뇌설계와 기저핵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져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이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고(p=0.057), 좌측 측두엽의 크기가 환자군에서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다(p=0.089). 2) 뇌실의 크기 증가가 이전의 입원 횟수의 증가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대한 측정치와 임상적 요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구조물은 좌측 측두엽과 좌측 피각이었다. 이중 좌측 측두엽의 크기와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보속 오류검사 점수사이에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r=0.5636, p<0.05), 피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733, p<0.01).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구조물 중 웩슬러 지능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하나도 없었고, 좌측 편도(r=0.5727, p<0.05)와 좌측 피각(r=0.4686, p<0.05) 이 각각 언어성 지능 점수와 정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벤톤 신경심리검사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던 구조물은 우측 전두엽과 좌측 편도이었다. 이외에 좌우측 측두엽은 촉각형태 지각 검사 점수(각각 r=0.4998, p<0.05; r=0.5018, p<0.05)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우측 미상핵(각각 r=0.4611, p<0.05; r=0.4726, p<0.05) 및 좌측 피각(r=0.5370, p<0.05)은 직선지남력 검사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뇌실 측정치는 어떠한 신경심리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우측 전두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성 신경학적 징후 총점수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r=-0.6174, p<0.01), 복합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좌우측 편도(r=-0.4548, p<0.05; r=-0.4597, p<0.05)와 우측 담창구(r=- 0.4646, p<0.05) 이었다. 뇌실 측정치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5) 우측 측두엽은 간이정신상태 검사상의 양성 증상 척도 점수와 역 상관관계를(r=-0.4483, p<0.05) 보였고 좌측 해마는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의 양성 증상점수(r=0.5028, p<0.05)와 일반증상점수(r= 0.5696, p<0.01)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총점수(r=0.6050, p<0.01)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우측 측뇌실의 측두각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상의 양성증상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r=0.4729, p<0.05) 를 보였다. 기저핵중에서는 우측 담창구가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의 음성 증상 점수(r=-0.6062, p<0.01),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r=-0.5016,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측 담창구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 (r=-0.4683,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 변화는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인 뇌실 확장 및 뇌의 신경발달학적 이상에 기인하는 기저핵의 증가, 우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the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in 20 patients with paranoid schizophrenia(15 men and 5 women) and 23 control subjects(15 men and 8 women). We also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the Weschler IQ test-Korean version, soft neurologic sig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the patient group. Results : In the patient group, all ventricles and basal ganglia including caudate nucleus and globus pallidu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ventricles and the frequency of previous hospital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values of regions of interest and clinical data. The value of the right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t neurologic signs, which is suggestive of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 of frontal lobe and the scores of the various subscales of Bent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In contrast, the value of left amygdala and puta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verbal IQ on the Weschler IQ test.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 scores on PANS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 scor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the dual process, which is suggestive that the enlarged ventricle show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while enlarged basal ganglia, and shrinked right frontal and left temporal lobe show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mong these changes, structural changes of the frontal lobe related with various neuropsychological deficits, while those of left temporal lobe related with language abnormality. Relative to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al changes and psychiatric symptoms,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강철민(Chol-Min Kang),이병욱(Byung-Wook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이 연구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을 통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필요한 능력 수준과 현재 능력수준,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원의 NCS 학습모듈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 방향 마련과 관련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필요 능력 수준을 전체 평균 4.17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4.13, ‘설계영역’ 4.18, ‘개발영역’ 4.10, ‘실행영역’ 4.23, ‘평가영역’ 4.22로 인식하였다. 이에 비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에 대한 현재의 능력 수준은 전체 평균 3.58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역별로는 ‘분석영역’ 3.50, ‘설계영역’ 3.57, ‘개발영역’ 3.46, ‘실행영역’ 3.63, ‘평가영역’ 3.67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들은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의 현재 능력 수준을 필요 능력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NCS 학습모듈 활용 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관련 산업체의 현황 및 요구(인력 수요, 고용 동향, 기술 변화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1), 학과 인력양성 유형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2), 학습자의 요구 및 학습 수준(사전 학습 여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등)에 적합한 NCS 학습모듈 조사·선정 능력(A3), 관련 산업체 및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 환경 분석 결과를 반영한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 설계 능력(B1), NCS 학습모듈에 필요한 학습 환경 요소(인적/물적 자원 등)를 조합한 수업 설계 능력(B2), 학습자가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모듈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 완전 학습, 개별 학습) 가능 수업 설계 능력(B8), 학습자의 NCS 학습모듈 학습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 능력(D2), NCS 학습모듈을 활용하기 위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능력(D3), NCS 학습모듈에 제시된 실험 실습 장비 운용 및 지도 능력(D6), NCS 학습모듈 학습 효과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자료 및 장비 활용 능력(D7), NCS 학습모듈 활용 학습 결과의 후속 수업 반영 능력(E6)의 순으로 나타났다. Through the understanding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abilities that teachers desire to learn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will be provid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support of Improvement the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levant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in the technical-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tilize NCS learning modules high average of 4.17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Application(4.23), Evaluation(4.22), Planning(4.18), Analysis(4.13), Development(4.10). by comparison,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the NCS learning modules are 3.58 overall mean, by area the average in each category was in the range from 3.46 to 3.67 in the following order: Evaluation(3.67), Application(3.63), Planning(3.57), Analysis(3.50), Development(3.46). Therefore, The current level of ability to Use NCS learning modules was perceiv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to Use NCS learning modules. Second, the most desired areas to learn more regarding the ability to utilize the NCS learning module for the teachers are as follows: the ability (A1)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the relevant industries current states and needs (e.g., worker quota, hiring trend, and changes of technologies, etc.); the ability (A2)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for each major; the ability (A3) to research and select the suitable NCS that meets students needs and capacity (e.g., pre-studied students, and the ability to carry on self-directed learning, etc.); the ability (B1) to design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NC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relevant industrie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bility (B2) to design the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components of learning environments(e.g., human/material resources) overall; the ability(B8) to design classes that make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learn by a module learning (e.g., self-directed learning, mastery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which utilize the NCS; the ability (D2)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under the NCS; the ability (D3)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NCS; the ability(D6) to use and teach its usage of the equipments for experiment/practice suggested by NCS; the ability (D7)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the NCS by utilizing adequate resouces and equipments in teaching-learning; the ability (E6) to appropriately apply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results from the classes that utilized NCS learning to futur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