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초등학교 음악 교육의 실태

        강창열(Chang Youl Ka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02 음악교육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urvey of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at a elementary school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understanding for the 7th curriculum and measure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musical training under the curriculum so that problems may be determined and remedies can be sugges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using a questionnaire. 184 teachers at 46 elementary school in Buchon were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and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167 respondent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rhythm and melody were much emphasized in the understanding while form, tempo and dynamic were de-emphasized. In singing and performing activities were emphasized while creating and listening activities were neglected. It was shown as a result that teachers were unable to find an equilibrium among different areas. Secondly, most of the teachers tende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um based on the school in question, the class and ability of the students to teach the students in class. And singing of a folk song was the area that teachers tend to emphasize in teaching traditional music to the students. It was discovered that `Sikimsae` introduced to the 7th curriculum was hardly taught in class, and traditional music took up too much of the curriculum, giving rise to the unbalanced teaching among areas of music education. Thirdly, almost all teachers conducted performance assessment in class to make sure that students learned what they were taught in class,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it. It was pointed out that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time to conduct the assessment in class and that the reasonable and justifiabl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appraisal was not available.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the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be made. Fourthly, teachers has not yet fully comprehended the newly introduced curriculum concepts, judging from their incapacity to utilize in class the scale of a folk tune, `Sikimsae`, chord change singing by memorization, singing a solo and part song as well as singing in chorus, singing evalution, creating using sounds of the surroundings and musical instruments, all of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Fifthly, a survey of the teaching facilities at school showed that most of the schools had a music room, but it was very rare for the schools to keep a room for national classical music. It was noted that both the music room and the traditional music room were not equipped with the soundproofing system. Sixthly,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lated to music at school, according to the survey, included a choir, instrumental music band, `Samulnorl`, traditional folk songs group and Korean instrumental music band. It was noted that most of the schools surveyed maintained a choir. Seventhly,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most of the teachers has not received any teacher training related to music for the last two years. It is therefore very likely that the 7th curriculum will be difficult to be properly implemented.

      • LOP와 Petri Dish의 수분 보호능에 관한 비교 연구

        이진성(Lee, Jin-Sung),서유미(Seo, Yu-Mi),강창열(Kang, Chang-Youl),정용대(Jeong, Young-Dae),이상수(Lee, Sang-Soo),오정균(Oh, Jung-K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현재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 용기인 Petri Dish는 배지 제조 후 냉장과 실온 보관 시 수분 증발에 대한 보호 효과가 적어 세 달 이상 보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즉시 사용 배지 (pre-plated media) 개발에 장애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생물 배지의 장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LOP plate의 수분 보호능에 관한 것으로, LB 배지를 표준 배지로 해서 4, 25, 32 및 37℃ 네 개의 온도영역과 진공 포장 및 비 포장 조건에서 Petri Dish와 비교한 결과, 각 온도 조건별로 LOP의 탁월한 수분 보호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LOP를 이용한 장기 저장과 즉시 사용이 가능한 pre-plated media와 관련된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MYP 배지의 난황 농도에 따른 Bacillus cereus의 배양 특성

        홍수영(Hong, Su-Young),서유미(Seo, Yu-Mi),강창열(Kang, Chang-Youl),이병우(Lee, Byung-Woo),권무식(Kwon, Moo-Sik),이진성(Lee, Jin-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현재 Bacillus cereus의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위해서 MYP 배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식품공전과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 내에서 MYP의 주요 첨가물인 egg-yolk의 농도는 각각 2.5%와 5%로서로 상이하여 대상이 되는 시료의 유래에 따라 각기 다른 MYP 배지를 제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YP 배지에 1%에서 10%로 10개 구간으로 egg-yolk의 농도를 첨가하여 이에 따른 B.cereus의 정량적 특성, lecithinase 활성대의 크기 및 육안 확인이 가장 좋은 구간대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정량적 특성과 lecithinase 활성대의 크기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지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lecithinase 활성대에 대한 관능평가는 2%의 egg yolk가 가장 확인이 용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MYP에 첨가되는 egg-yolk의 최종 농도가 현재의 2.5%(식품), 5%(축산물)로 다르게 기준 되어 있는 것을 2% 또는 식품공전의 2.5%로 통합하여 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개정을 통하면 MYP 조성물 중 고가인 egg-yolk 제조 비용을 상당히 줄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etri dish와 LOP의 보관조건에 따른 수분함량 비교 연구

        홍수영(Hong, Su-Young),서유미(Seo, Yu-Mi),강창열(Kang, Chang-Youl),이병우(Lee, Byung-Woo),권무식(Kwon, Moo-Sik),이진성(Lee, Jin-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petri dish는 미생물 배지의 보관기간이 4℃의 온도에서 15∼50일 정도 되기때문에 장기저장이 어렵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자체 고안된 LOP(Lab on a plate)와 petri dish에 고체배지를 제조하여 배지의 수분함량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배지는 Bacillus cereus 배양을 위한 MYP(Mannitol Egg Yolk Polymyxin) agar로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각각 진공포장및 비포장하여 4℃와 25℃의 온도조건에서 6주 동안 매주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LOP와 petri dish 모두 비포장 조건보다 진공포장조건의 수분보호능이 우수 하였으며 진공포장조건에서는 25℃가 4℃보다 상대적 수분 보호능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포장조건에서도 LOP가 4℃와 25℃ 모두petri dish보다 수분보호능이 탁월하여 유통기간이 훨씬 더 연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어 앞으로LOP를 이용한 장기 보관과 즉시 사용이 가능한 pre-plated media와 관련된 다양한 제품의 용기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