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초급 활용 가이드 제작에 관한 연구

        강진아,송기성,Kang, Jin-A,Song, Ki-Su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4 지적과 국토정보 Vol.44 No.1

        본 논문에서는 브이월드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 제작에 관해 연구하였다. 브이월드 만족도 조사를 통해 대상자를 분류하여 방문 목적 등을 조사하였으며, 브이월드 사용자의 방문 목적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90% 이상의 지도계열 서비스 사용자를 중심으로 초급 가이드 작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브이월드의 서비스 기능 분석, 초급 가이드에 대한 구성 방안, 콘텐츠 작성, 가이드 제작 방법 개발을 위해 다양한 통계분석 및 사회 전반적인 이슈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인이 보다 쉽게 국가공간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브이월드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research how beginner utilization guild is made of beginner utilization guild for expanding the V-World. We classified the subjects and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e visit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visit, we categorize a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user of the V-World visit. This paper studies making beginner utilization guild in the majority of visitors of using map-based services. We carried out analyzing function of the V-World, configuration beginner utilization guild, creation contents, making guild. The V-World is a public service that the spatial information of having built of the country provide to Citizen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효과

        강진아,유양숙,박진노,김원철,남은정,고수진,이영선,허정식,최성은,김정이,신동욱,Kang, Jin-A,Yoo, Yang-Sook,Park, Jean-No,Kim, Won-Chul,Nam, Eun-Jeoung,Koh, Soo-Jin,Rhee, Young-Sun,Huh, Jung-Sik,Choi, Sung-Eun,Kim, Jung-Lee,Shin, Dong-W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4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기본단계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함 방법: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의 Education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PEC)교육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표준교육 프로그램은 총 19개의 세부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강의와 쌍방향식 강의, 소그룹 토론, 역할극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표준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개 주제를 선택하여 호스피스 고위과정을 수료한 23명을 대상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 대상자들은 피교육자 중심의 교육방법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였으며, 강의를 위주로 하는 기존의 교육보다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평가하였다. 결론: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표준화와 교육 방법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자 (Trainer)를 위한 교육이 실행되어야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ilot program o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a basic training program for physician, nurse, social worker and clergies at hospice institute. Method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we used the Education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PEC) program as a paradigm and modified it to be suited in our situation: The standard curriculum consists of 19 modules, and it is designed to be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lecture, interactive lecture, small group discussions, and role play. To verify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we implemented a pilot program which consisted of 3 modules, u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rigger video tapes, interactive lecture, small group discussions, and role play. Results: Overwhelming majority were satisfied with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er-centered methods, and agreed that the contents were clinically relevant to the care of dying patients. They also indicated that their attitudes would likely change as a result of the education.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pilot program o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re very positive and has broader implications for improving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rainers must also be prepared to teach effectively. Also it must be accompanied with train-the trainer program.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자격인증방안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강진아,김도연,신동욱,김시영,이순남,Kang, Jin-A,Kim, Do-Yeun,Shin, Dong-Wook,Kim, Si-Young,Lee, Soon-Na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질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자격인증체계 마련을 위해 전문인력들을 대상으로 자격인증체제의 필요성 및 구체적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 제시하여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는 2009년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보건복지가족부지정 34개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에 등록된 전문인력인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총 22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결과: 의사는 90% (46/51)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간호사는 84% (113/134), 사회복지사의 경우 89% (31/35)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격인증 방안에 관해서는 의사의 경우 일정한 교육만 받으면 인정의 자격을 부여해 주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고(46%), 사회복지사의 경우도 일정교육을 받은 의료사회복지사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자격인증 주체에 있어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또는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45%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50%, 66%로 가장 높았다.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인정주체에 관한 의견으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51%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함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23%로 가장 높았다.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37%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운영방식은 세 직종 모두 주말을 이용한 강의와 일부 실습이 결합된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결론: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은 자격인증체제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직종별요구를 반영하는 적절한 자격인증체제 및 교육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다. Purpose: The survey wa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Methods: National Cancer Center (NCC) and the Korean Society for Hospice & Palliative Care (KSHPC) conducted the surve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who worked at 34 Palliative care uni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W) and the members of the KSHPC.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e-mail from June 17 to 23, 2009. Total 220 professionals were surveyed. Results: Most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reported a great need for certification system: Physician, 90% (n=51) nurse, 84% (n=134) social worker, 89% (n=35). In regard with the requirement for the certification, a majority of physicians (46%) preferreddiploma course, while social workers (46%) preferred training course for medical social workers. Concerning the certification body, physician (45%) preferred the KSHPC and the MW almost equally, while nurses (50%) and social workers (60%) preferred the MW highly. As for the body to develop and accredit advance training course for each professionals, most of the physicians (51%) preferred the KSHPC, whereas nurses and social workers preferred collaboration of the MW (or NCC) with the professional society, such as the KSHPC (23%), the Korean Hospice &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for nurses (21%), or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37%). Lastly, all respondents preferred the course format of once a week, full day, and some field study at weekend. Conclusion: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identified the great need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therefore, the adequate system development must be followed to reflect their voice.

      • 브이월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에 관한 연구

        강진아,황정래,Kang, Jin A,Hwang, Jung R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6

        최근에 정부에서는 공공정보 공개와 민간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서는 브이월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브이월드는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 및 행정정보를 민간에 공개하기 위한 공공 플랫폼이다. 하지만, 브이월드가 플랫폼, 민간협력, 일자리 창출의 창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이에 국토교통부에서는 현재 브이월드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장기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브이월드의 고도화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브이월드에 대해 가입자 및 방문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브이월드 서비스 개선 방향, 오픈 API 활용을 위한 개선 방향, 향후 서비스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의 브이월드를 개선하고, 사용자의 활용도가 향상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cently, Korea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make jobs through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and a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is regard, the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pushing the V-World Business. The V-World is the public platform for the government to disclose spatial and adminstration information. However, the V-World is still not been able to fulfill the role of a public platform, private partnerships window, Warehouse jobs. So, the molit is promoting the V-World advanced project, creating a long-term plan. This study performed a user satisfaction survey and analysis, this result are used as a basis data of the efficient execution of the V-World advanced project and creating long-term planning. Also, we suggested V-World Service Improvement, Open API Service Improvement, future service direction. This study improve the current the V-World,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improving utilization of the use.

      • KCI등재후보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의 지역적 변이 -2008년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기관 인력을 중심으로-

        강진아,신동욱,황은주,김효영,안성후,유양숙,Kang, Jin-A,Shin, Dong-Wook,Hwang, Eun-Joo,Kim, Hyo-Young,Ahn, Seong-Hoo,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2 No.3

        목적: 말기 암환자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건복지가족부 내 말기 암환자 TF 위원회에서는 2005년에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에게 필요한 기본조건으로서 60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을 받도록 제시한 바 있다. 이에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교육현황을 알아보고, 교육실태에 있어서 지역적인 변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가 실시한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에 지원한 호스피스기관 중 46개 기관의 전문인력 673명의 교육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673명 중에서 60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완화 의료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279명(41.5%)이었다. 간호사 378명 중 60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177명(46.8%)이었으며, 의사는 106명 중 38명(35.8%), 사회복지사는 75명중 24명(32.0%), 성직자는 114명중 40명(35.1%)이었다.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경상도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중소도시에 소재한 기관의 전문인력은 대도시에 소재한 기관의 전문인력보다 60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한 비율이 낮았다. 기관 종류에 따라서는 병원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이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60시간 이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을 이수한 전문인력은 전체의 41.5%였으며, 지역적으로 변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역적인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대안이 요구된다. Train-the-trainer 모델을 기반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하여 개발한 60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Proper education of hospice professionals is essential for ensuring quality of end-of-life care. In 2005, 'End-of-life Care Task Force Team'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ed '60 hours of hospice education' as basic requirement for hospice professionals. This study is aimed to determine how many of the hospice professionals meet with the criteria an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46 hospice organizations, which submitted the application to the 2008 designation program of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Data included details of the educational records of each hospice professionals. Results: Total 673 hospice profession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verall, only 41.5% (279/673) met the requirement. Nurses (46.8%; 177/378) were more likely to meet the requirement than doctors (35.8%; 38/106), social workers (32.0%; 24/75) and clergies (35.1%; 40/114). Hospice professionals of the organizations in metropolitan area received more education than those in small cities or rural area (52.4% vs. 25.0% for doctors, 50.6% vs. 43.9% for nurses, 42.9% vs. 25.5% for social workers). By geographic areas, hospice professionals in southeast regions received less education than other part of Korea (28.1% vs. 43.0${\sim}$48.8%, respectively). Conclusion: Less than half of the Korean hospice professionals has received proper amount of hospice education, and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existed. N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 education of hospice professionals and eliminate its disparities are greatly warranted. Implementation of the 60-hour currirulum for hospice professionals, based on the train-the-trainer model, would be regarded as one potential solution.

      • KCI등재

        실시간 도로 환경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USN 테스트베드 구축

        강진아 ( Jin A Kang ),김태훈 ( Tae Hoon Kim ),배명남 ( Myung Nam Bae ),나준엽 ( Joon Yeop Na ),홍창희 ( Chang Hee Ho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3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은 유비쿼터스, 스마트 환경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출현시켰으며, USN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 및 적용에 적합한 대표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은 USN 기술을 도시에 적용·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과 적용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USN 기술의 공공부분 수요 창출을 위하여 지리정보체계(GIS) 및 시설물관리(FM) 등과 융합하여 도로 위험구간모니터링 서비스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실제 적용을 위해, USN 장치 제작 및 현장 설치, 관련 규정 조사, 설치 가이드라인 작성, 시스템 구축 및 실시간 연동 테스트 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내용을 도로에 적용하면 도로 공공시설물 관리, 도로 사고 실시간 감시 및 주변 환경 데이터실시간 모니터링 등 많은 응용이 가능하며 향후 시설물 인프라의 BIM과 접목하면 3차원 시설물관리까지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communications industry has created a new paradigm of the ubiquitous and the smart environments. An USN is a typical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ubiquitous environments. But the USN technologies applied in practice have a lot of problems and to solve these problems that this study was to build a test bed. For the creation of the needs of USN technology, we suggest a method and service of monitoring of road hazards combining the US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e conduct making the USN equipment relevant provisions surveys, making installation guidelines, construction system and real-time testing. This study is capable of the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real-time monitoring of accident and the environment data and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a 3D facility management combineded with BIM in the future.

      • KCI등재

        1930년대 중국의 설탕 전매와 홍콩 태고당방(太古糖房) — 대공황에서 살아남기 —

        강진아(Kang, Jin-A) 중국근현대사학회 2020 중국근현대사연구 Vol.85 No.-

        This paper analyses the reaction of Taikoo Sugar Refinery Co.(TSR) in Hong Kong, a leading sugar supplier in modern East Asia, to the governmental sugar monopoly of China, which was the largest market for TSR. TSR has suffered from the Great Depression and division of market by the Yen block in 1930s. Since 1929, China recovered tariff autonomy to protect the domestic sugar business with a high tariff on imported sugar, and planned to build modern refining factories to substitute the imports. But high tariffs have brought widespread smuggling, and the plan of building modern refineries was initiated by the warlord regime of Chen Ji-tang in Guangdong province ahead of Nanjing central government. The building of modern sugar was motivated not only by the protection of the domestic industry but also by the intention to secure financial revenue. Therefore,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refineries, Guangdong Provincial government adopted the sugar monopoly in its territory and Nanjing central government soon followed their suit. TSR kept close relationship with sugar monopoly in Guangdong through the Moks, a compradore family of Taikoo sugar and used Guangdong"s sugar monopoly to tap into the South China market, where its products were weak. When the governmental sugar monopoly of the Nanjing central government was announced, TSR joined the opposition movement along with the Japanese sugar merchants and sugar wholesalers of Shanghai, but TSR actively sought to expand his stake through the Chinese sugar monopoly behind the scenes. At that time TSR has confronted with fierce competition with the Japanese sugar after losing Manchuria and Northen Chinese market. Thus, the collaborative plan that Guangdong produces the raw brown sugar and TSR refines it for sales in China, though first offered by Chen Ji-tang government, still remained effective before the outbreak of the 2nd Sino-Japanese War in 1937.

      • 코로나19 시기의 소상공인 가족관계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도봉구가족센터를 중심으로

        강진아(Jin-A Kang),전현정(Hyun-jung Jun),장유경(Yoo-kyeong Jang)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영업 제한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가족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소상공인 중에서 고용인 없이 가족들이 운영하는 곳을 직접 찾아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2021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도봉구 관내 소재한 10개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가족들의 심리, 문화, 일상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일터와 가정생활이 중첩된 일상에서 가족 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편한 감정들에 대한 이해와 건강한 소통 증진을 도울 수 있었다. 이는 코로나19의 시기에 단지 경제적 손실을 보상하는 지원에만 집중되었던 관심을 넘어서 소상공인 가족들을 단위로 하는 가족관계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소상공인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확대가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가족센터의 실천적 역할은 더욱 중요할 것이다. This styd aimed to support the family relationships of small enterprises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because of business retstrictions due to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It involved a program that included visiting small enterprises, without employees, run by families. It lasted for eight months, from April to November 2021, and provided psychological, cultural, and daily support care for over ten small enterprise sites located in Dobong-Gu.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help promote healthy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unpleasant emotions that could negatively affect everyday situations where work and family lives overlap.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helped to plan a family relationships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operating small enterprises. It went beyond the mere support required to compensate for economic losses during COVID-19. This means that it is more meaningful to take a preventive approach than to recover after a family cri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olicy to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 of small enterprises, and the practical role of a family center taken on even more important in the process.

      • KCI등재

        석유화학기업의 해운기업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강진아 ( Jin Ah Kang ),강효원 ( Hyo Won Kang ),우수한 ( Su Han Woo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석유화학기업의 해운선사 선택요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과 탱커선을 분류하여, 해운선사를 선정하는 요인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그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석유화학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해운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강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석유화학기업의 물류담당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를 통해 선택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석유화학업체의 물류담당자 15명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운선사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비용, 서비스, 운송 요인을 기업 요인 보다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탱커전용선과 컨테이너선으로 구분한 경우 탱커선에 대해서는 운송요인이, 컨테이너선에 대해서는 비용요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탱커선과 컨테이너선을 구분하여 석유화학기업의 해운기업 선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해운선사들이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etrochemical firms evaluate relative importance of ocean carrier-selection factors. To this end this study evaluates and prioritize the factors using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AHP).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cean carrier selection factors were identifi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 group of decision-makers of ocean carrier selection in petrochemical firms using pairwise comparison ques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petrochemical firms put the most weight on freight rate. However the group comparison showed clear difference. The firms using primarily tanker shipping perceived transportation quality more importantly but the firms using primarily container shipping evaluated freight rate more importantly.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to maritime transport companies on factors petrochemical companies consider more important in choosing their transport service prov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