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韓國漢字音 ‘ㅓ’‘ㅕ’에 對應하는 日本漢字音에 대하여

        강진문(Kang, Jinmun)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3

        이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들에게 한자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ㅓ’‘ㅕ’를 가지는 한국한자음과 그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과의 대응관계를 대조비교를 통하여 규명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한국한자음 ‘ㅓ’와 ‘ㅕ’에는 일본한자음에서 ‘yo’, ‘ei’가 주로 대응하는데 각 유형별로 출현율에 차이가 있다. CV형‘ㅓ’에서는 ‘yo’, ‘ei’로 각각 54.3%와 22.9%로 나타나는데 이 출현비율은 終聲(末子音)이 없는 CV형‘ㅕ’의 경우에도 큰 차이가 없어 ‘yo’가 63%, ‘e’가 27.3%로 각각 나타나고 있다. CVC형‘ㅓ’의 경우에는 CVp형‘ㅓ’를 제외하고는 압도적으로 ‘e’의 출현율이 ‘yo’의 출현율을 앞서고 있다. 특히 CVn형‘ㅓ’, CVl형‘ㅓ’, CVm형‘ㅓ’에서는 ‘e’로만 나타난다. CVC형‘ㅕ’의 경우에는 CVp형‘ㅕ’에서는 ‘yo’로만 나타나고, 반대로 CVk형‘ㅕ’, CVn형‘ㅕ’, CVl형‘ㅕ’, CVm형‘ㅕ’에서는 ‘e’로만 나타나며, CVng형‘ㅕ’에서는 ‘e’가 압도적으로 나타난다. CVp형‘ㅓ’와 CVp형‘ㅕ’에서만 ‘yo’의 출현율이 ‘e’의 출현율을 압도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일본어의 음운변화(ハ行轉呼와 長音化)에 의하여 ‘e’가 ‘yo’로 변신하여 ‘yo’에 합류하였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ㅓ (eo)’and ‘ㅕ(yeo)" as the preliminary stages for Korean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to learn Chinese characters easily. Generally,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eo’and ‘yeo" correspond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yo’ and ‘ei’, but it is different case by case. The ‘eo’ of the CV type shows ‘yo’ at 54.3% and ‘ei’ at 22.9%. In the case of the CV type without a final consonant, there is no difference, that is, ‘yo’ at 63% and ‘ei’ at 27.3%. In the case of the ‘eo’ of the CVC type, ‘eo’ shows more overwhelmingly than ‘yo’ except for the ‘eo’ of the CVp typ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Vn, CVI and CVm type, ‘eo’ shows up only as the "e". In the case of the CVC type, "yeo‘ shows up only ‘yo’ in the CVp type and on the contrary, only "e" in the CVk, CVn, CVI and CVm and CVm type, and shows up "e" more overwhelmingly in the CVng type. In conclusion, the phonetic change of the Japanese language makes the differences mentioned above.

      • KCI등재

        [어학 · 언어교육] 韓國漢字音 ‘ㅗ’‘ㅛ’‘ㅜ’‘ㅠ’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에 대하여

        강진문(Kang, Jin-Mun)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본 연구는 ‘ㅗ’‘ㅛ’‘ㅜ’‘ㅠ’를 포함하는 韓國漢字音에 日本漢字音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고찰한 것인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ㅗ’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u’, ‘yu’로 나타나는데 대응한자수로는 전부 262자가 해당한다. ‘o’와 ‘ou’의 陽性모음계통이 189자로 72.14%를 차지하고, 여기에 拗音인 ‘yo’와 ‘you’까지 더하면 90%를 넘는다. 다음으로, ‘ㅛ’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yu’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는 전부 49자이다. ‘yo’와 ‘you’를 합한 대응률이 73.47%로 높고, ‘yu’의 대응률이 6.12%로 나타나고 있으며, ‘yuu’에 대응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ㅜ’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u’, ‘uu’, ‘yu’, ‘yuu’, ‘ui’, ‘i’ 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215자가 해당한다. 대응률은 ‘u’가 높고 ‘yu’와 ‘yuu’의 순이다. 그런데, ‘yu’ 또는 ‘yuu’로 나타나는 韓國漢字音은 중세시기에 모음이 ‘ㅠ’이었던 것이 ‘ㅣ’모음탈락으로 인하여 ‘ㅜ’로 변한 배경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에서 拗音으로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귀결로 생각된다. 끝으로, ‘ㅠ’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yo’, ‘you’, ‘u’, ‘yu’, ‘yuu’, ‘ui’, ‘i’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38자가 해당된다. ‘yu’와 ‘yuu’를 합한 대응률이 52.63%로 나타나고, ‘i’의 대응률이 28.95%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ㅠ’에 ‘i’가 대응하는 것은 아마도 일본어에서 ‘yui>ui>i’와 같은 음운변화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으로 생각되기는 하나 단정은 할 수 없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ㅗ’, ‘ㅛ’, ‘ㅜ’ and ‘ㅠ’. 262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ㅗ’. Among them, the number of ‘o’ and ‘ou’ is 189. 49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ㅛ’. 215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u’, ‘u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ㅜ’. 38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yo’, ‘you’, ‘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ㅠ’. 본 연구는 ‘ㅗ’‘ㅛ’‘ㅜ’‘ㅠ’를 포함하는 韓國漢字音에 日本漢字音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고찰한 것인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ㅗ’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u’, ‘yu’로 나타나는데 대응한자수로는 전부 262자가 해당한다. ‘o’와 ‘ou’의 陽性모음계통이 189자로 72.14%를 차지하고, 여기에 拗音인 ‘yo’와 ‘you’까지 더하면 90%를 넘는다. 다음으로, ‘ㅛ’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yu’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는 전부 49자이다. ‘yo’와 ‘you’를 합한 대응률이 73.47%로 높고, ‘yu’의 대응률이 6.12%로 나타나고 있으며, ‘yuu’에 대응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ㅜ’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u’, ‘uu’, ‘yu’, ‘yuu’, ‘ui’, ‘i’ 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215자가 해당한다. 대응률은 ‘u’가 높고 ‘yu’와 ‘yuu’의 순이다. 그런데, ‘yu’ 또는 ‘yuu’로 나타나는 韓國漢字音은 중세시기에 모음이 ‘ㅠ’이었던 것이 ‘ㅣ’모음탈락으로 인하여 ‘ㅜ’로 변한 배경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에서 拗音으로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귀결로 생각된다. 끝으로, ‘ㅠ’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yo’, ‘you’, ‘u’, ‘yu’, ‘yuu’, ‘ui’, ‘i’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38자가 해당된다. ‘yu’와 ‘yuu’를 합한 대응률이 52.63%로 나타나고, ‘i’의 대응률이 28.95%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ㅠ’에 ‘i’가 대응하는 것은 아마도 일본어에서 ‘yui>ui>i’와 같은 음운변화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으로 생각되기는 하나 단정은 할 수 없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ㅗ’, ‘ㅛ’, ‘ㅜ’ and ‘ㅠ’. 262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ㅗ’. Among them, the number of ‘o’ and ‘ou’ is 189. 49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ㅛ’. 215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u’, ‘u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ㅜ’. 38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yo’, ‘you’, ‘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ㅠ’.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의 「 피(彼)」 「 피녀(彼女)」 에 대하여 : 한국어와의 구조를 통해서 韓國語との構照を通して

        강진문 한국일본어교육학회 1999 日本語敎育 Vol.16 No.1

        일본어의「彼(kare)」「彼女(kanojo)」는 현대일본어에서는 3인칭대명사(원칭)로서 쓰이고 있는데, 각각 한국어의「그,그이,그사람」「그녀,그사람.」등에 해당한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어의「그사람」에 해당하는 일본어에는 위에든「彼(kare)」「彼女(kanojo)」외에도 「そのひと(sono-hito)」「ぁのひと(ano-hito)」라는 것이 있어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에게는 이들 두 그룹간의 갈라쓰기가 큰 학습장애가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彼」「彼女」と「その人」「あの人」를 정확히 구별하여 사용케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서 서로 바꾸어 넣는 방법(치환법)을 도입한다. 「その人」와「あの人」의 구별 사용은 본고의 목적이 아니므로 필요최소한에 그친다. 경우성을 갖지않는 「彼(彼氏)」「彼女」는「その人」「あの人」로 대치 할 수 없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경우성을 갖는 「彼」「彼女」는「その人」「あの人」로 대치할 수 있는경우와 대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된다. 자기의 가족을 가리키는 「彼」「彼女」는「その人」「あの人」로 대치할 수 없으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대우표현에 위반되지 않는한 바꾸어 쓸 수 있을 것 같다. 역으로 지시대상을 화자가 잘 모르고 있는 경우에 쓰인「その人」는「彼」「彼女」로 바꾸어 말할 수 없는 것같다.

      • KCI등재
      • KCI등재

        韓國漢字音 ‘ㅗ’‘ㅛ’‘ㅜ’‘ㅠ’에 대응하는 日 本漢字音에 대하여 -常用漢字의 音讀을 중심으로-

        강진문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ㅗ’,‘ㅛ’,‘ㅜ’ and ‘ㅠ’. 262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ㅗ’. Among them, the number of ‘o’ and ‘ou’ is 189. 49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you’ and ‘yu’,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ㅛ’. 215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ou’, ‘yo’, ‘u’, ‘u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ㅜ’. 38 i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ound similar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o’, ‘yo’, ‘you’, ‘u’, ‘yu’, ‘yuu’, ‘ui’ and ‘i’,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 ‘ㅠ’. 본 연구는 ‘ㅗ’‘ㅛ’‘ㅜ’‘ㅠ’를 포함하는 韓國漢字音에 日本漢字音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고찰한 것인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ㅗ’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u’, ‘yu’로 나타나는데 대응한자수로는 전부 262자가 해당한다. ‘o’와 ‘ou’의 陽性모음계통이189자로 72.14%를 차지하고, 여기에 拗音인 ‘yo’와 ‘you’까지 더하면 90%를넘는다. 다음으로, ‘ㅛ’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you', 'yu'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는 전부 49자이다. ‘yo’와 ‘you’를 합한 대응률이 73.47%로 높고, ‘yu’의 대응률이 6.12%로 나타나고 있으며, ‘yuu’에 대응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ㅜ’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ou', 'yo', 'u', ‘uu’, 'yu', 'yuu', ‘ui’, ‘i’ 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215자가 해당한다. 대응률은 ‘u’가 높고‘yu’와 ‘yuu’의 순이다. 그런데, ‘yu’또는 ‘yuu’로 나타나는 韓國漢字音은 중세시기에 모음이 ‘ㅠ’이었던 것이 ‘ㅣ’모음탈락으로 인하여 ‘ㅜ’로 변한 배경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에서 拗音으로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귀결로 생각된다. 끝으로, ‘ㅠ’에 대응하는 日本漢字音은 ‘o’, 'yo', 'you', 'u', 'yu', 'yuu', ‘ui’, ‘i’ 로 나타는데 대응한자수로는 38자가 해당된다. ‘yu’와 ‘yuu’를 합한 대응률이52.63%로 나타나고, ‘i’의 대응률이 28.95%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할 수 있겠다. ‘ㅠ’에 ‘i’가 대응하는 것은 아마도 일본어에서 ‘yui>ui>i’와 같은음운변화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으로 생각되기는 하나 단정은 할 수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