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강지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ctual turnover reason on nurses and to understand turnover nurses' experience. Ultimately,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decrease high turnover rate and to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are total 8 who had turnover experience from hospital at least once. They agreed to participation voluntarily after taking explanation about purpose of this study from researcher.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in-depth interviews, man to man, The period was from Aug. 2015 to Jan. 2016. The question were as follows; 'What is the reason to change your workplace', 'Which condition makes you to decide to change your workplace?'. Data were analysed to identify nurses' turnover properties and concepts by content analysis which is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integrated into 2 major meaning, 'Escapism' and 'Finding Hope'. Sub-categories in escapism include dissatisfaction in working environment, supported by nobody, pressure of work, skepticism on professional job, maladjustment, requirement from family and have 22 properties. Sub-categories in finding hope have are seeking for better working condition, challenge for self-development, pursuing for happiness at home and have 18 properties. It is found that main reasons of nurse's leave are firstly, nurses dissatisfied in working environment, unrespected, pressured from hard working, feel skeptical for their professional work, maladjust to job conditions and escape from real life confronting family needs. secondly, finding hope. seeking for better working condition,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s provide chance for self-development, pursuing for happiness at home. Therefore, nurse manager and nurse politicians should establish politics in personal, institutional, national dimension for hospital nurses who can have professional belief, challenge for self development, overcome family conflict and work in stability.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실제적 이직사유를 파악하고 병원이직간호사와 그 경험의 심층적 이해를 통해 간호사의 직업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여 병원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고 이들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최소 한 번 이상, 최근 3년 이내 2차, 3차 종합병원의 이직경험을 한 간호사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8명으로 하였다. 간호사의 이직 사유에 대한 폭넓고 광범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일대일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질문은 ‘병원간호사를 이직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어떤 경우에 이직을 생각하십니까?’ 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로 대상자 한 명당 1~2회의 심층면담이 시도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간호사 이직 사유의 속성을 확인하고, 간호사 이직 사유의 개념을 기술하는 요인추구연구인 내용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이직사유에 대한 의미단위중심으로 전형된 의미단위를 통합한 결과 간호사의 이직사유는 ‘현실도피’, ‘희망찾기’의 2개의 통합된 의미구조로 확대되었다. ‘현실도피’의 하위범주는 ‘근무환경의 불만족’, ‘지지받지 못함’, ‘격무에 시달림’, ‘전문직에 대한 회의’, ‘부적응’, ‘가족의 요구’를 포함하였고, 22개의 속성을 지녔다. ‘희망찾기’의 하위범주는 ‘좋은 근무조건찾기’, ‘자기계발을 위한 도전’, ‘가정에서의 행복찾기’를 포함하였고, 18개의 속성을 지녔다. 즉,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이직 사유는 첫째, 근무환경에 불만족하거나, 지지받지 못하고, 격무에 시달리는 간호사들이 전문직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병원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가족의 요구에 갈등하면서 현실도피를 하는 것, 둘째, 좋은 조건을 찾고, 자기계발을 위한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병원으로 이전하며, 가정에서 새로운 행복을 찾는 등 희망찾기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병원간호사가 전문직 직업인으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적극적인 자기계발을 모색하며, 가족갈등을 극복하고, 만족스러운 근무환경에서 안정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적, 기관적, 국가적 차원의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 초등학생의 불안수준에 따른 인터넷 중독

        강지숙 대한에니어그램영성학회 2016 대한에니어그램영성학회지 Vol.5 No.-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xiety and internet addic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nd provide bas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 prediction program for anxiety and internet addiction.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surveys conducted on 182 elementary students from April 10, 2016 to May 10, 2016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SAIC) by Cho and Choi (1989) who changed Spielberger's Anxiety Inventory for Adults so children could easily understand, and 9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otaling 69 questions. Results: Internet addiction levels were surveyed through the general user group. With anxiety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xiety levels were high according to grade and internet use tim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ith internet addiction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grade, the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as internet addiction levels were high. Anxiety and internet addiction showed a close correla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with anxiety. After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look into factors which affect internet addiction, daily internet use and anxie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which affect internet addiction. Conclusion: Based on this research,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continued throug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