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치료 방침에 대한 결정

        한일규(Ilkyu Han),강종열(Jong Yeal Kang),조환성(Hwan Seong Cho),이상훈(Sang Hoon Lee),오주한(Joo 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장관골의 골수강 내에서 발생한 연골 종양은 내연골종과 1등급의 연골육종을 포함하는데, 이 중 연골육종은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들 종양은 임상적, 조직학적 소견상 서로 구분하기 어려운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진단과 치료에 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연골종 및 1등급의 연골육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이들 종양에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의 골간단 및 간부에 위치한 내연골종 혹은 1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치료받은 73예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가 20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9세(18-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상완골 근위부(34예), 대퇴골 원위부(24예), 대퇴골 근위부(6예), 경골 근위부(3예), 비골 근위부(2예), 상완골 간부(2예) 및 대퇴골 간부(2예)였다. 치료 방법은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 사진상 골내막 침식 등의 인자에 따라 결정하였다. 41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32예에서는 단순 추시 관찰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3.2년(1.0-14.9년)이었으며, 32예 모두에서 마지막 추시 시점까지 종양의 진행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4.3년(1.0-14.0년)이었으며, 41명 중 40명(98%)이 최종 추시까지 종양의 진행이 없었다. 결론: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학적인 골내막 침식 소견은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형성 종양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자들로 생각된다.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환자의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이들 종양에서 불필요한 수술 없이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can represent an enchondroma or a low-grade chondrosarcoma, with the latter requiring adequate surgical treatment. However, these two lesions have overlapping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and so they pose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dilem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and to determine the relevant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for deciding on the treatment for thes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enchondroma or low-grade chondrosarcoma that was located in the metaphysis or diaphysis of the bones. There were 20 men and 53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9 years (range: 18-80). The locations were the proximal humerus (n=34), distal femur (24), proximal femur (6), proximal tibia (3), proximal fibula (2), humerus shaft (2) and femur shaft (2). 41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and 32 patients were simply observed based on the following parameters at presentation; the presence of pain, the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Results: All of the 32 patients who were initially observed had no evidence of disease progression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3.2 years, range: 1.0-14.9). Forty (98%) of the surgically treated patients showed no recurrence at the the last follow-up (average: 4.3 years, range: 1.0-14.0). Conclusion: The presence of pain,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treatment for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With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patients, these tumor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nonoper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