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야쿠트 샤만과 러시아 식민지배

        강정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8 한국사회과학 Vol.20 No.3

        야쿠트인들은 현재 러시아의 동북부지방, 즉 시베리아의 동북부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지금까지 근 350년동안 러시아의 지배 하에서 살고 있는데, 그들의 전통종교의 중요한 종교지도자 중의 하나였던 흰샤만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19세기 초에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흰샤만들은 야쿠트사회의 사제직을 맡고 있었는데, 그들과 경쟁관계에 서 있었던 토욘의 권력증가와 러시아 정교회의 세력확장, 17, 18세기의 사회조직의 변화 등이 흰샤만의 몰락을 가져왔다 현재 야쿠트에는 샤마니즘의 부흥을 꾀하는 움직임이 활발한 편인데, 이들은 야쿠트 식민사에서 후기에 해당되는 19세기의 전통을 모델로 삼지 않고, 17, 18세기의 문화 이상형을 많은 부분에서 따르고자 한다. 이러한 이상형들, 즉 전통은 현재 여러 가지 문화운동의 선택 범위로 작용하면서 현재를 제약한다. The Yakuts live in the north-east of Russia, or Siberia. They are till now under the Russian Authority for about 350 years. This thesis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process of the disappearing of the White-Shaman of the Yakut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 yakutian White-Shaman was the priest of the yakutian religion. The increase of the power of the Toyon, who stood in the competition with the White-Shaman in the yakutian society, the expansion of the Russian-Orthodox and tile change of the social organization cause the disappearance of the White-Shaman. Nowadays there are in Yakut the cultural movements that revival the traditional shamanism. But it is interesting that the model of this movement is not the tradition of the 19th century but of the 17, 18th century. This traditional "pure" form of the yakutian culture puts restrictions on the future of the yakutian culture.

      • 부적응 행동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강정원,이경민 영유아교육학회 1999 영유아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의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교사들은 DSM-IV의 분류체계에 따른 부적응 유아를 어느 정도 경험하고 있다고 느끼며, 이러한 행동의 특성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반응의 정도와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느 정도인지, 부모와의 협력은 얼마나 이루어지는지를 알아 보았다. 현대사회의 여러 생태학적 특성으로 인한 문제들은 유아들의 부적응 행동을 증가 시키고 있다. 교사는 유아의 중요한 관찰자로서 부모가 간과하기 쉬운 유아의 행동을 진단하는 진단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이에 적합한 대처를 통해 교육자와 치료자로서의 역할도 해야한다. 그러나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은 증가되는 반면, 이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의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적합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 KCI등재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f an Angular Velocimeter with a Carbon Nanotube Oscillator

        강정원,Jun Ha Lee,최영규 한국물리학회 2009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5 No.1

        We developed an angular velocimeter with a carbon nanotube oscillator sensing the angular velocity of a rotating body. For such a nanoscale system investigated by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when the centrifugal force exerted by the rotation of the system caused an oscillation of the carbon nanotube oscillator embedded in the rotating body, we found that the frequency spectra of the oscillatory behavior depended o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rotating plate. The angular velocities were linearly proportional to both main frequencies within the specific region and to the amplitudes of the main peaks.

      • KCI등재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산림법 제정과 녹화사업

        강정원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2 No.-

        Since liberation, the forests of Korea became extremely desolate, and war has accelerated them. Thus the Forest Law was enacted in 1961 for more systematic forest policies. However, the Forest law did not encompass a long-term prospec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forestry development based on accurate survey of forest conditions. In addition, excessive adherence to regulation, strict punishment, and prohibition of timber felling in the 1960s indicated that the forest policy at the time did not advance beyond the forest policy of the 1950s. Based on the Forest Law, the Park Chung-hee regime took the initiative in forest greening that is suitable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while expressing its ‘strong’ intent for reforest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put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he military government enacted Temporary Act on the Promotion of National Greening(1963). In the name of forest greening, the entire nation was forced to work on the projects. Meanwhile, the government controlled the people by linking greening projects with the development of patriotism and political stability. When the outcome of the greening projects that involved forced mobilization of the nation was worse than expected, the Forest Service was established for efficient forest policy. However, there was no visible result even after 5~6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Forest Service. Eventually, the Forest Service was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1973 as Greening 10 year project. However, in terms of the content of policies,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rather resulted in a regression with policies that focused not so much on the ‘promotion’ of forest industry but on forest ‘protection.’ 해방 이후 산림은 극도로 황폐해졌다. 이승만 정권은 녹화주의와 엄벌주의에입각하여 산림사업을 실시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게다가 전쟁으로 산림파괴는 심각해져서 국민 경제 전반을 위협했다. 이에 보다 체계적인 산림정책을 위해 1961년산림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산림법은 정확한 산림실태 조사를 토대로 지속가능한산림경영과 임업발전이라는 장기적인 전망을 담아내지 못했다. 또한 지나친 규제주의와 엄벌, 금벌주의는 1950년대 산림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산림법을 토대로 박정희 정권은 ‘강력한’ 녹화 의지를 피력하면서 ‘조국근대화’에걸맞는 푸른 산 가꾸기에 앞장섰다. 그리고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해국토녹화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을 발포하여 국민을 동원하였다. 산림녹화라는 명분으로 전 국민을 사업에 강제 동원하는 한편, 녹화사업을 애국심 함양, 정치안정과결부시켜 국민을 통제하였다. 전 국민을 동원한 녹화사업의 성과가 예상보다 부진하자, 1960년대 보호주의정책에서 나아가 생산 위주의 경제임업을 목표로 산림청을 설치했다. 그러나 산림청 신설 이후 5~6년이 지나도록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자 산림청의 존치여부가 문제로 떠올랐다. 결국 1973년 치산녹화사업이 실시되면서 산림청은 내무부로 이관되었고, 산림사업은 ‘육성’보다 산림 ‘보호’와 ‘절대녹화’를 위주로 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 KCI등재

        Trace Metals (Co, Ni, Cu, Cd, and Pb) in the Southern East/Japan Sea

        강정원,최만식,정갑식,이창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Ocean science journal Vol.49 No.1

        Total dissolvable metals (Co, Ni, Cu, Cd, and Pb) in both surface waters and the water columns were acquired in the southern East/Japan Sea during a cruise around the Ulleung Basin in June 2001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metals. Concentrations in offshore surface waters were found to be Co 60 ± 12 pM, Ni 2.16 ± 0.25 nM, Cu 1.85 ± 0.55 nM, Cd 0.134 ± 0.018 nM, and Pb 155 ± 40 pM. Spatial distributions in surface waters showed that metal levels were generally enhanced at coastal sites in both Korea and Japan, where the metal distributions indicated complex patterns due to inputs, biogeochemical processes, and physical factors including upwellin. The Co distributions in the water columns seemed to be influenced predominantly by surface and bottom inputs, scavenged rather than regenerated at depth. For Cd, there was generally good agreement between the Cd and PO4 depth distributions, in agreement with the literature. The Cd/PO4 ratio from the water columns was found to be 0.133-0.203, lower than that in other marginal seas (e.g. the East/South China Seas and the Philippine Sea) of the western Pacific Ocean; this might be a result of the fast ventilation rate in this sea. The vertical Pb profile showed typical scavenged-type behavior with a surface maximum and deep minimum. From a comparison of inputs fromthe atmosphere and the Tsushima Warm Current, atmospheric deposition is substantial enough that it cannot be ignored, and its role in metal cycling is more significant in the offshore zone.

      • KCI등재

        Effect of Abalone Farming on Sediment Geochemistry in the Shallow Sea near Wando, South Korea

        강정원,이연규,정다운,이정식,최양호,신윤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5 Ocean science journal Vol.50 No.4

        Wando County has grown up to 93% of the total abalone produced in South Korea since the late 1990s; however, this production has been decreasing in recent yea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potential contamination risks of abalone farming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nsive abalone farming on sediment quality by analyzing grain-size composition, organic matter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total sulfur (TS)) and heavy metal content, pH, and 210Pb geochronology. The results of organic matter analysis from surface and core sediment (length: 64 cm) showed that the area around the abalone farm had oxic marine-to-brackish conditions, but that the area directly below an abalone cage (location 7) had reductive conditions, with a C/S ratio of ~2. The average TN levels in the surface and core sediments were 0.25% and 0.29%, respectively, and this was predominantly due to the use of seaweed for feed. The low sediment pH (surface, 7.23; core, 7.04), indicates that acidification of the bottom sediment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 initiation of abalone farming and is likely due to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uneaten feed and feces. Heavy metal pollution was not apparent based on the examination of EF and Igeo, although the excess metal flux of Ni, Pb, Cu, Co, As, and Cd increased toward surface of the sediment core. These sediment changes may be caused by the rapid accumulation (sedimentation rate: 1.45 cm/year) of sludge discharged from the abalone farm and may be controlled by tidal currents, physiography, water depth, and tidal ranges.

      • KCI등재

        현대화와 민속문화, 민속세계 -한국종교와 민속종교를 중심으로-

        강정원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1 No.-

        민속학의 연구대상인 민속은 포괄적으로 정의되거나, 특정 사회집단과 결부되어서 이해되어 왔지만, 현대화와 함께 새롭게 개념 규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21세기를 맞이 하는 지금 특정 사회집단의 문화를 민속이라고 규정짓는 것은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져 온다. 나는 이론민속학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는 이 논문에서 민속을 민속성을 지닌 문화로 정의하며, 민속학은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아울러 급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세계를 민속학자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세계’와 ‘생 활세계’, ‘자연세계’, ‘초월세계’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민속학자들의 주된 연구대상인 생활 세계는 체계세계와 민속세계로 구분된다. 아울러 생활세계는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교 육, 예술, 놀이, 의식주 등의 다양한 기능영역으로 구별되는데, 각 영역 별로 체계화되는 정도는 상이하다. 이러한 개념과 이론 도입은 민속학의 연구 영역을 분명하게 하는 데에 필요 하며, 민속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생활세계의 현대화를 거시적으로 논하고 있는데, 생활세계의 현대화가 민속종 교와 가지는 상관성에 대해서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민속종교는 민속세계 내에 존재하는 신 앙과 의례체계인데, 자연종교 혹은 민족종교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민속종교는 체계세계 내 의 체계종교와 결합되며 시기 별로 상이한 통합양상을 보여준다. 나는 조선후기 종교를 민속 과 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한국종교’로 봐야한다고 이론적으로 제안하며, 이를 통해 효 과적으로 현재의 복잡한 종교현상을 통일된 체계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며, 이 분석이론 속에서 한국 종교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조선후기에 한 체계로 정립되었던 한국종교 는 체계세계와 민속세계의 혼란을 가져 온 현대화(서구화)로 인해서 체계성을 상실하였고, 서구에서 도입된 체계종교의 확대와 전승되어 온 민속종교의 분리와 일부결합 등으로 이어졌다. 이는 가정신앙의 소멸과 공동체의례의 부분적 유지, 무속의 변동 등을 결과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체계 중심의 현대화가 민속세계의 일시적 붕괴를 가져 왔지만, 현대의 민속화를 동반하여, 현대 민속세계는 이전 민속세계와는 구분되지만 존재하고 있다. 즉 민속의 현대화 가 이루어진 것이다. 현대화가 일방적으로 민속문화와 민속세계 전체를 붕괴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며, 민속문화도 현대화에 중요한 기여를 수행하였고 할 것이며, 향후 에도 발전하면서 끊임없이 현대화한다. The Object of the folkloristics has been changed from survivals to basic culture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social group. I think, defining the study object traditionally does not help folklorists to study culture effectively in 21th century. Therefore folklorists have to study, I think, not folklore but culture, specially folkworld and culture in the ‘lifeworld’. The ‘world’ is composed of ‘lifeworld’, ‘natureworld’ and ‘transcendental world’, and lifeworld is divided to ‘systemworld’ and ‘folkworld’. The systemworld needs the folkworld, I think, and vice versa. The systemworld has normally no value per sep, value is produced in folkworld. It must be anchored in the systemworld to survive. The folkworld is not so stable, in which emotion and reason, tradition and modern conflict with each other. Its order maintains with the systemworld’ engagement once in a while. It says that the folkworld nees the systemworld. However the folkworld pursue stability normally with the power of culture, or folkcultur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modernization of the folkworld and folkculture. I think the folkworld is also modernizing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systemworld which manifests itself in state and market etc. Folkworld is experienced in daily life, but systemworld can be experienced through medium or symbol. We folklorists can study the folkworld, the connectionway of the two worlds, and culture. The folkworld is controlled and determined by culture. The modernization of Korea came true in the systemworld mainly. In this process the folkworld existed only and its subworld was destroyed critically. I argue that the concept “Koreareligion” is needed to analyze the religious situation from 19th century to now in Korea. In 19th century the religion in Korea was integrated, was divided to system religion and folk religion internally. The koreareligion was broken down with the colonization of Chosun. Principally the system part of the korearelion was substituted by the world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folkreligion remained at first time but disappeared slowly. Nowadays the folkrelion and systemrelion interact with each other but exist separately. Modernization does not mean the victory of the systemworld. The folkwolrd exists with systemworld together, because we, humanbeings are Folkloricus whose behavior is conducted with reason and simultaneously with emotion, value and tradition. I think,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engage in behavior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The behaviour with reason makes the systemworld, the behaviour with value, emotion, tradition produces the folkworld. Lastly in my opinion the modernization process is realized in both world together.

      • KCI등재

        경북지역 술두루미와 혼례 음식 교환 방식의 문화지도와 그 의미

        강정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In this article I made some cultural maps of the Suldurumi and the exchange pattern of the wedding food in the Kyungbuk Province. Through this work I aimed to give basic informations for the study of the pottery and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n addition I wanted to know the meaning of the cultural area. The Data for this paper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at is not used generally under the modern Korean anthropologists. It was collected firstly through the direct conversation, secondly per mail. For this work I choose one village per Myeon, so in 225 villages questionaires were filled through the direct conversation. Per mail I could get only 20 questionaires of all 200 which were sent to the elementary school in all Myeon. I think this method makes my paper different from the other anthropological papers in Korean produced by the case study method. In Kyungbuk Province there are two cultural areas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middle zone can be considered as transition zone is normally composed of Yecheon, Andong, Chongsong, Eusung, Chilgok, Chongdo Kuns. While in the east zone the ceramic bottles for the Japanese Sake were used already in the 50es as transport instrument for the ceremony alcohol, the traditional Suldurumi was used till 70es in the west zone of the Kyungbuk Province. I think that this process began from the Yangban in the east zone, and it was imitated by the ordinary people. Through cultural maps I have known that this process was different in line with the zone. In the west Zone it went on slowly, because there was a relative little tension between the Yangban and the peasant.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 regional specialities, which came into view through the cultural map stud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study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folk cultures. 본 논문에서는 술두루미와 혼례 음식 교환 방식에 대한 경북지역 문화지도를 작성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면적인 문화지도에 시간과 사회적 관계라는 요소를 도입하여 좀더 입체적으로 설명을 하고자 했다. 본고의 연구대상 시기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가 되며, 기초자료는 각 면마다 한 개의 마을을 선정하여 수집하였고,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 작업도 병행하였다. 술두루미와 혼례에 관련해서 보았을 때, 경북에는 크게 안동 동쪽과 서쪽으로 나눌 수가 있으며, 안동의 동쪽 지역은 청송에서 영덕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남과 북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안동은 경북에서 문화 중심지로서 술두루미를 유리대병으로 교체하는 데에 중심 역할을 하였다. 안동의 동쪽은 대부분의 술두루미가 유리대병으로 교체되었지만, 서쪽에서는 술두루미가 70년대까지도 사용되었다. 안동을 포함해서 안동 동쪽 지역에서 술두루미가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목이 긴 형태를 보여 준다. 경북의 동쪽 지역은 경주권과 안동권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안동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안동의 북부지역은 유교이데올로기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 주며, 경주 지역은 좀더 남성 중심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각 문화권 내 계층 사이의 모방과 차별이라는 기제를 통해서 형성된 것인데, 안동의 치열한 계층 갈등은 계층 사이의 모방 속도를 빠르게 하여 술두루미가 유리대병으로 이른 시기에 교체되는 현상을 가져 왔다. 김천이나 성주는 안동과 달리 계층 사이에 갈등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나타나서 농민들의 경우 오랜 시기 술두루미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는 문화지도를 통해서 경북지역 전통문화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 데에 첫 번째 의의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전통문화를 연구함에 문화권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연구를 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 데에 본 논문의 두 번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적 특수성을 무시할 경우 현상을 왜곡 해석할 가능성이 농후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