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破戒』から『春』へ : 文末表現の変化が意味するもの

        강정균(kang jeong gyun,姜政均)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6

        Research on "The Broken Commandment (破戒)" (1906) has mainly focused on its context up until now. However, recent research is starting to focus more on expressions than on the context itself. However, there is not much prior research on word-ending expressions of this literary texts. This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a unique expression found in Toson's "The Broken Commandment."The key content will b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then, the analysis between the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and what the differences actually mean. As a result,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follows the expression used during the period after "Tajyoutakon" and has been made clear that "nodearu" is a strong expression of the narrator whether it is for explaining or reasoning based on analyzing linguistics research papers. "Spring" is based on Toson and his colleagues, suggestively expressing other characters' emotional expressions apart from Kishimoto whom was modeled after Toson, and Aoki modeled after Kitamura Toukoku. The problem here is on the model's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due to the emotional expression (e.g., sad, happy) that can normally be only used in a first person perspective, but can also turn into a third person perspective usage if "nodearu" is used as the word-ending expression. Many expressions ending with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is in third person perspective to express feelings, but in "Spring," those expressions are not as viable-leading to the decreased usage of "nodearu." This decrease in the usage of "nodearu" led to the reduction of strong expressions from the narrator. Toson's literature really began to face naturalism after "Spring." His tried to write the novel so that the narrator does not show oneself in the context, the exact opposite of the usage of "nodearu" expressions. What this research is arguing is that it the change from "The Broken Commandment" to "Spring." is not only about Toson himself. If the past tense expression "ta" is interpreted as the final destination of modern novels,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future advancement of this usage. 『파계(破戒)』(1906)는 지금까지 주로 소설 내용이 주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소설내용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던 이 텍스트에도 그 표현에 주목하는 연구도 최근에는 적지 않다. 체언맺음( 言止め)이나 「이고(ので、からで)」로 문장이 끝나는 종지표현 등의 토송(藤村)문학 전체와의 관련, 『봄(春)』 등과의 비교, 교정과정에서 보이는 차별용어의 연구, 혹은의 시점에서 풀어나가는 연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텍스트의 문말 표현에 주목하는 선행논문은 거의 없다. 본론은 토송문학 전체에서 『破戒』의 특징적인 문말 표현이라 할 수 있는 「인 것이다(のである)」를 실마리로 해서 토송의 문말 표현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의 내용은 동시대와의 관계, 『破戒』와 『春』의 표현 차이의 분석, 그리고 그 차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다. 고찰 결과 『破戒』의 문말 표현 「のである」는 『多情多恨』 이후의 동시대 문말 표현의 흐름을 따르고 있고 「のである」는 화자가 어떤 형태(설명, 이유 등)로든 강하게 나타나는 표현이라는 것을 어학논문의 분석을 참고해 알 수 있었다. 『春』은 토송과 그의 동료들을 모델로 하고 있는데 토송을 모델로 한 기시모토(岸本)와 당시 이미 사망한 北村透谷를 모델로 하는 아오키( 木) 이외의 다른 인물의 감정표현을 자제하거나 매우 암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는 『破戒』와 『春』 사이에 불거진 모델문제에서 모델의 감정표현이 문제가 된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는 1인칭이 주어로 오는 경우에만 성립하는 감정표현(예를 들어 슬프다, 기쁘다)이 「のである」를 문말로 쓰면 3인칭도 주어로 올 수 있는 「のである」의 용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破戒』에서 「のである」를 문말 표현으로 해서 3인칭 주어의 감정표현을 많이 하고 있는데 『春』에서는 그 감정표현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당연히 「のである」 표현도 줄어들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のである」의 격감현상은 화자가 문말에 현재화하는 현상을 많이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초래했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토송 소설은 『春』 이후에 진정한 자연주의 소설 작법으로 발전해 가는데 그 작법 중의 하나가 화자가 소설 내에서 자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방향으로 노력했다는 것인데 화자가 현재화하는 「のである」 표현은 그 방향과는 반대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破戒』에서 『春』으로의 변화는 藤村 한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현 단계에서의 필자의 가정이다. 「었다(た)」체를 근대소설의 도달점으로 볼 수 있다면 더 넓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Estimating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 Using Hyperspectral Imagery

        강정균,류찬석,김성훈,강예성,Tapash Kumar Sarkar,강동현,김동억,구양규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바이오시스템공학 Vol.41 No.3

        Purpo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water stress in terms of the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s under water stress condition using a hyperspectral image acquisition system,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to achieve a non-destructive measurement procedure. Methods: Changes in the reflectance spectrum of cucumber seedlings under water stress were measured using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s. A model for estimating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s was constructed through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at used the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s and a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 model using PLSR that used the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s and reflectance spectrum was also created. Results: In the early stages of water stress, cucumber seedlings recovered completely when sub-irrigation was applied. However, the seedlings suffering from initial wilting did not recover when more than 42 h passed without irrigation. The reflectance spectrum of seedlings under water stress decreased gradually, but increased when irrigation was provided, except for the seedlings that had permanently wilted. From the results of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NDVI, the model excluding wilted seedlings with less than 20% (n=97) moisture content showed a precision (R² and R²a) of 0.573 and 0.568, respectively, and accuracy (RE) of 4.138% and 4.138%, which was higher than that for models including all seedlings (n=100). For P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flectance spectrum, both models were found to have strong precision (R²) with a rating of 0.822, but accuracy (RMSE and RE) was higher in the model excluding wilted seedlings as 5.544% and 13.6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estimation model of the moisture content of cucumber seedlings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PLSR analysis using reflectance spectrum tha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NDVI.

      • 의사결정트리 기법을 이용한 초분광 영상기반 벼 도열병 감염 판별 식생지수 선정

        강정균 ( Jeong Gyun Kang ),박준우 ( Jun Woo Park ),김치호 ( Chi Ho Kim ),민이기 ( Yi Ki Min ),이호승 ( Ho Seu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이상기후의 빈번한 발생으로 벼 도열병 등의 피해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급증하여 수확량 및 품질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AI, 딥러닝 기술들을 활용한 원격모니터링 기반의 병해 진단과 병증 부위에 농약을 정확하게 살포하기 위한 변량처방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드론에 탑재된 초분광 카메라로 벼 도열병을 촬영하여 분광학적으로 병 감염 여부의 판별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열병이 발병한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장신리의 농가포장(35°43'20.99N, 126°36'37.66E)에서 회전익 드론 (Metric 300, DJI, China)에 초분광 센서(microHSI 410 SHARK, Corning, USA)를 탑재하여 고도 25m, 촬영 속도 4m/s로 초분광 영상을 수집하였다. 영상분석 소프트웨어(ENVI 5.3, Exelis Visual Information, USA)를 이용하여 반사판(Gray scale 12%)으로 광 보정 후 3가지 영역(도열병 벼, 정상 벼, 토양)의 반사율로 18가지 식생지수를 산출하였다. 각각 식생지수로 산출된 도열병 벼(50개), 정상 벼(40개), 토양(40개) 데이터는 7:3, 5:5, 3:7의 Dataset(train:test) 비율로 의사결정트리 모델을 작성하였고 유의한 식생지수를 선정한 후 Overall accuracy(OA)와 Kappa coefficient(KC)로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R 4.2.1, The R Foundation, USA). 의사결정 트리를 생성한 결과 모든 Dataset에서 NDVI와 NDRE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Dataset 7:3일 때 OA가 87%, Ka가 80%로 나타났고 5:5일 때 OA가 92%, KC가 88%, 3:7일 때 OA가 93%, KC가 90%로 나타났다. 모든 Dataset으로 모델을 만들었을 때 분류 가능성이 80% 이상으로 나타나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추후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면 분류 정확도의 신뢰도가 상승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수직형 공기순환팬을 이용한 온실 내부 온도변화 분석

        강정균 ( Jeong Gyun Kang ),이종원 ( Jong Won Lee ),김동억 ( Dong E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일반적으로 식물은 개화와 착과에 있어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특히 높거나 낮은 기온에서 낙화현상, 온실 내 상하 온도차이로 작물의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고온으로 인해 엽온이 상승하게 되면, 기공 전도도가 감소하고, 증산 작용에 영향을 줌으로써 작물의 양분이나 수분의 흡수율과 이용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작물 생육에 있어서 지상부를 둘러싸는 대기뿐 아니라 지하부에 존재하는 근권온도 역시 생육 적온 범위를 넘어가게 되면 그것 또한 양분, 수분 흡수율을 저하 시킨다. 이처럼 현재 온실내 상·하부 기온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여 온습도 불균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실 내 온도 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수직형 공기순환팬을 이용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시험은 한국농수산대학 시험용 온실(8(L)*8(W)*5(H),m)에서 실시하였다. 수직형 공기순환팬의 모형은 일반 순환팬과 달리 각진 긴 바가 9개가 연결되어 있고 바의 끝에는 순환팬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있다. 사전에 시뮬레이션한 결과 순환팬 하단에서는 흡입하고 양측으로 배출하는 모양의 버섯모양의 기류를 생성한다. 수직형 공기순환팬은 온실 내 정중앙, 지면에서 3m 높이에 설치하였다. 온도센서(HOBO pro v2, Onset Computer Corp., USA)는 수직형 공기순환팬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2m 간격을 두었으며 좌측, 우측, 중앙에 수직으로 4개씩 설치하였고 각 위치마다 1개씩은 공기순환팬의 상단으로 0.5m 높이 설치하였다. 시험시간은 온실내부 온도차가 가장 높은 12시 30분에 작동시켜 30분동안 10분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초기 내부온도는 상단이 26.2℃, 하단이 24.8℃로 1.4℃ 차이가 났으며 공기순환팬 작동 후에는 상단이 24.1℃, 하단이 23.5℃로 0.6℃ 차이가 되어 상·하단의 온도차가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온도센서의 양을 늘려 온실 내부 전체 온도변화를 관찰하고 타 공기순환팬과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낙하 충격량 분석

        강정균 ( Jeong Gyun Kang ),배광수 ( Kwang Soo Bae ),김동억 ( Dong Eok Kim ),진성득 ( Soung Durk Jin ),홍승기 ( Seung G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조각과일은 1인 가구의 증가와 바쁜 도시생활에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젊은 층의 소비트렌드 변화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조각과일의 가공공정에서 선별, 세척 작업은 자동화 되어 있으나 계량 및 포장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자동화가 필요하다. 조각과일 중 사과의 경우에는 갈변현상이 빠른 시간 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늦추기 위해 비타민 C 처리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고 있다. 계량 및 포장작업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포장 과정 중에 조각과일이 충격에 의해 외부가 손상되면 코팅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부손상으로 인해 코팅 면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각과일을 자동으로 계량하고 포장하는 자동화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어 조각과일을 용기에 공급할 때 조각과일의 코팅 면이 깨지지 않도록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각과일을 용기에 공급시 낙하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낙하 충격량을 분석하여 적합한 낙하높이 및 이송속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장소은 이엔푸드 회사의 장비 설계공장에서 실시하였고 실험재료인 사과는 일반 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균등하게 18등분으로 조각내어 각 실험마다 사과조각 3개씩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장비는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였다. 본 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조각과일을 이송하고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조각과일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각과일의 이송거리를 조절이 가능하여 설정한 위치에 공급이 가능하다. 실험방법은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이송속도 및 낙하높이에 따른 충격량을 분석하고자 이송속도 0.10m/s, 0.18m/s, 0.26m/s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이송장치의 낙하지점에는 컵실러를 둔 전자저울(AND, HC-6KW, Japan)을 설치하여 조각과일이 컵실러 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며 낙하거리는 낙하지점에서 컵실러의 바닥까지 14cm, 17cm, 20cm로 실험하였다. 전자저울은 RS232C 통신을 통해 노트북 PC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도록 하였으며 데이터는 초당 10회씩 측정하였다. 또한 조각과일의 낙하를 관찰하고자 카메라(Sony, DSC-RX10 IV, Japan)를 사용하여 슬로우 모션 (960fps)으로 촬영 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각과일의 평균 무게는 12.7g±1.2g으로 측정되었으며, 전자저울로 측정된 평균 순간 충격량은 낙하높이 14cm에서 이송속도 0.10m/s, 0.18m/s, 0.26m/s 일 때 각각 14.6gf, 14.6gf, 15.0gf, 낙하높이 17cm일 때 16.0gf, 16.7gf, 17.3gf, 낙하높이 20cm일 때 17.3gf, 17.6gf, 18.6gf로 나타났다. 이송속도에 의한 차이는 최대 1.3gf로 나타났으며 높이에 의한 차이는 최대 3.7gf로 나타나 이송속도 변화에 따른 충격량보다 낙하높이에 따른 충격량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한 영상으로 관찰한 결과 높이가 높을수록 조각과일이 낙하 후 반력에 의해 튀어오르는 높이가 높아 낙하높이 20cm에서는 컵실러 밖으로 나갈 우려가 있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낙하높이 17cm 이내, 이송속도는 0.26m/s에서 작동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계량장치에서 계량 후 투입시 충격량을 측정 할 것이며 갈변현상 방지 코팅을 한 조각과일로 실험하여 코팅의 손상에 대한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토마토 묘의 수분스트레스 측정

        강정균 ( Jeong-gyune Kang ),홍순중 ( Soon-jung Hong ),우영회 ( Young-hoe Woo ),이종원 ( Jong-won Lee ),배광수 ( Kwang-soo Bae ),김동억 ( Dong-eok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작물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생육이 어려워지고, 착과 불량, 낙과, 과실 발육저하 등의 생육장해가 나타날 수 있어 수분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토마토묘의 열영상을 획득하고 기온을 분석하여 수분스트레스 추정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토마토묘의 4일 동안 엽온 변화를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수, 미관수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엽온과 기온의 차를 통해 수분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열영상은 열화상카메라(A325sc, FLIR systems USA)이용하여 토마토 육묘트레이 상단에 설치하여 매일 12시에 14개의 육묘트레이를 촬영하였고 영상은 노트북에 자동되도록 하였다. 토마토의 잎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온도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기온은 데이터로거(U12-011, Hobo, USA)로 측정하였다. 촬영 후에는 근권부를 제외한 묘 전체를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일차에서는 두 그룹의 온도차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각 샘플의 수분함량 역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차부터 두 그룹간의 온도차가 생기기 시작하였으며 3일차에 미관수한 토마토 묘의 엽온은 기온에 비해 평균 1°C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수한 토마토 묘의 엽온은 23.5°C로 기온에 비해 1.7°C 낮았고 수분함량은 미관수한 토마토 묘가 관수한 토마토 묘에 비해 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차에는 미관수한 토마토 묘가 기온에 비해 3.2°C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관수한 토마토 묘에 비해 28.7% 낮게 나타나 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토양수분함량에 따라 엽온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열영상만으로 스트레스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다소 어려우나 수분스트레스 여부는 판단이 가능해 향후 육묘온실 두상관수시스템과 연계하여 수분공급 제어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