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응력조건을 고려한 지하공동 주변부 암석블록의 신속한 거동 안정성 분석

        강일석(Il-Seok Kang),송재준(Jae-Joon Song) 한국암반공학회 2019 터널과지하공간 Vol.29 No.1

        지하공동의 굴착 과정에서 암반 절리로 인해 생성되는 암석블록의 거동 여부는 지하공동의 역학적 안정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지하공동 조건 하에서 지체응력 및 절리물성 조건에 따른 암석블록의 거동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계산된 암석블록의 거동조건과 3DEC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암석블록의 거동양상을 비교하여, 이론값과 수치해석 결과간의 오차를 지체응력 및 절리물성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암석블록의 거동 안정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할 때 약 5% 이하의 오차를 보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Behavior of a rock block consisting of rock joints during excavation of an underground open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opening.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a rock block under different geostatic stress and joint property conditions was analyzed quantitatively. The behavior of the rock block analyzed by 3DEC numerical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theoretical calculation, and the error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was analyzed under various geostatic stress and joint property conditions. The result of the stability analysis of a rock block showed less than 5% of error with numerical simulation result, which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e purposed analytic solution.

      • KCI등재

        북한의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 최신 연구동향 분석

        강일석(Il-Seok Kang),박영상(Young-Sang Park),송재준(Jae-Joon Song) 한국암반공학회 2020 터널과지하공간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 년 간 북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의 발전 동향 및 최신 연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8-2017년 기간 출판된 북한 내 광업 관련 주요 학술지인 ‘채굴공학’, ‘지질 및 지리과학’, ‘기술혁신’을 대상으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 연구논문의 투고 현황 및 연구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먼저 각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논문의 서지정보 및 초록 자료를 정리하여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한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분야별 학술지 투고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방법론 및 성과가 뛰어나다고 판단되는 연구논문에 대한 추가조사를 수행하여 북한 광업 및 암반공학 분야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결과, 최근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변동 및 광업환경의 악화에 따른 정량화・자동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북한 광물자원 개발 전략 수립 및 경제성 평가를 위해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남북 기술협력 및 북한 현지 조사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 research trend of North Korea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in the past 10 years was analyzed by a literature review of mining and rock engineering papers published in North Korean major mining journals, "mining engineering", "geological and geograph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ublished in 2008-2017. Basic database was established by organiz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abstract data of research papers in each journal. For each journal, paper submission trend classified by research field was analyzed using the basic database. And further study was conducted to the papers which showed distinguishing methodology and result, to analyze the trend of North Korea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The literature study showed a recent trend of quantification and automation in mining and rock engineering researches in North Korea, which seems due to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deterioration of the min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the feasibility studies of North Korea"s mineral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Future inter-Korean technical cooperation and site survey on North Korean field can secure complement the reliability of this study.

      • KCI등재

        저속 회전 시 배기시스템의 배압이 정숙성에 미치는 영향

        강일석(Il-Seok Kang),양성모(Sung-Mo Yang) 한국기계가공학회 2019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8 No.6

        In recent years, the driving performance and exhaust sound quality in automobiles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as they maximize the driving fun to fulfil the demands of customers. Therefore, many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studying various exhaust pipe shapes to improve sound quality and optimize exhaust pressure. The objective of the exhaust pipe design is to maximize the engine efficiency using optimal exhaust pressure settings. In this study, an exhaust system was fabricated with different junction shap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e exhaust gas pressure acting inside the exhaust pipe was measured using a pressure transducer. Meanwhil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was measured in three axial directions and analyzed. The ground noise generated in the indoor and outdoor of the vehicle was measured, and the noise generated at the maximum output was measured and analyzed.

      • KCI등재

        연구논문 : 공간모형을 이용한 수질오염물질의 공간적 예측 및 평가에 대한 연구

        강태구 ( Tae Gu Kang ),이혁 ( Hynk Lee ),강일석 ( Il Seok Kang ),허태영 ( Tae Young Heo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0 No.4

        Spatial prediction methods have been useful to determine the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in space and time due to difficulties in collecting spatial data across extensive spaces such as watershed. This study compares two kriging methods in predicting BOD concentration on the unmonitored site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and to assess its predictive performance by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cokriging method can make better predictions of BOD concentration than ordinary kriging method across the Geum River Watershed. Challenges for the application of cokriging on the spatial predic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involve the comparison of network-distance-based relationship and euclidean-distance-based relationship for the improvement in the predictiv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지하 환경에서의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의 정확도 분석

        김진언 ( Jineon Kim ),강일석 ( Il-seok Kang ),이용기 ( Yong-ki Lee ),최지원 ( Ji-won Choi ),송재준 ( Jae-joon Song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20 화약발파 Vol.38 No.3

        입체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면 지하공간 개발 시 발파로 발생하는 여굴 및 미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사할 수 있다. 입체사진측량 기술을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과 접목할 경우 조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이 지상에 국한되어 있어 지하 환경에서의 적용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을 지하공간으로 확장하기 위해, 지하 갱도의 암반면을 대상으로 드론을 이용한 입체사진측량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드론 기반 입체사진측량기법의 정확도를 평가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해당 기법이 지하공간 내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갖췄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정확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이용한 지하 입체사진측량을 위한 권장 촬영 및 정합 조건을 제시하였다. Stereophotogrammetry can be used for accurate and fast investigation of over-break or under-break which may form during the blasting of underground space. When integrated with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or drones, stereophotogrammetry can be performed much more efficiently. However, since previous research are mostly focused on surface environments, underground applications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are limited and rare.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in underground environ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a rock surface of a underground mine through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The accuracy of the investigation was evaluated and analyzed, which proved the method to be accurate in underground environments. Also,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image acquisition and matching conditions for accurate and efficient application of drone-based stereophotogrammetry in underground environments.

      • The Effect of Aerobic Training on plasma Immunoglobulin in Obesity Cerebral Palsied

        Zhang, Seok-Am,Hong, Soung-Kyun,Kang, Il-Seok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고교생을 대상으로 16주간 수영훈련 전·후의 혈장 Immunoglobulin 수준과 Immunoglobulin수준과 관계 있는 변인의 반응과 적응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혈청 단백(IgA, IgD, IgE, IgG, IgM)을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전국 장애인 체육대회 육상 트랙경기 의무 등급의 기능 분류 6~8등급 뇌성마비아 12명 (남 6, 여 6)으로 평균 연령이 남자 17.17±0.41세, 여자 17.17±0.75세였다. 수영훈련은 16주 동안 주당 5회로 운동시간은 하루에 60분간 실시하였다. 운동부하 검사시 준비운동은 속도2.Omile/h, 경사도 3%에서 3분간 실시 후 3분간 휴식을 취한 후 본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검사는 피험자의 운동수행 능력에 따라 여자의 경우 O~25분은 속도 2~3mi1e 경사도 3%, 25~30분은 3~3.5mile/h 경사도 3~5%로 실시하였으며, 남자의 경우 속도 O~25분은 2~3.5mile/h 경사도 3%, 25~30분은 속도 2.5~3.5mile 경사도 3~9%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성·훈련단계·측정시간 간의 면역 글루불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2(성별; 남, 여)×2(훈련단계간; 훈련 전,훈련 후)×2(측정시간 간; 운동 전,운동 후) 요인적 변량 분석 설계(three-way factorial ANOVA with repeated measure desig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n=.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있을 경우 종속 T-test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gA 농도는 훈련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간 간의 변화도 유의하게 나타났지 않았다. 또한 훈련에 따른 변화로 운동전과 운동후의 유의한 차이도 볼 수 없었다. 남녀간의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IgD 농도는 훈련단계간의 변화로 훈련 후가 훈련 전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0<.05), 반면 측정시간 간의 변화는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훈련에 따른 변화로 운동전과 후도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 증가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게 나타났다. 3. IgE의 농도는 훈련단계간의 변화로 유의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간간의 변화는 운동 후가 운동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운동에 따른 훈련전과 훈련 후, 성별에 따른 유의한 갈도 나타나지 않았다. 4. IgG의 농도는 훈련단계간의 변화로 유의성 있는 증가가 없었으며, 측정시간 간의 변화에서는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높아졌다(p<.01). 운동에 따른 훈련전과 훈련후의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또한 남녀간의 차이 역시 유의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5. IgM의 농도는 훈련단계간의 변화로 훈련 전에 비해 훈련후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p<.05), 반면 측정시간 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운동에 따른 훈련전과훈련 후도 증가는 하였으나 유의한 갈을 나타내지 못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