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 환경의 수어통역 콘텐츠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준우(Jun-Woo Lee),오병모(Byung-Mo Oh),조정환(Jung-Hwan Cho),강이슬(Yi-Sul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전문적이면서 정확한 의료수어통역이 미흡한 상황에서 농인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원활하게 하는 의료 환경의 수어통역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농인 대상 개별 면접, 수어통역사 및 수어 전문가 대상 현장 요구도 조사, 의료 및 수어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된 진료 상황별 시나리오와 기본 의학용어, 의료용어 설명자료 등의 수어통역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인의 상황과 의료적 중요성을 고려한 의료수어 콘텐츠를 개발하여 의료수어 영역의 전문성을 고취시켰으며, 의료용어 및 의료 정보 학습 주체인 농인들과 수어통역사들에게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의학용어 수어사전 반응형 홈페이지를 개발하였고, 농인 당사자가 주체가 되는 수어번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ntent in the medical setting that facilitates Deaf people’s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professional and accurate medical sign language interpreting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interviews for Deaf people, on-site requirement survey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sign language experts, and medical and sign language expert consultations. Based on this, we developed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ntent such as main care contextual scenarios, basic medical terms, and medical term descriptions.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medical sign language content considering the situation and medical importance of Deaf people to promote expertise in the medial sign language area and developed a responsive website of sign language medical dictionary tha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elivers information to Deaf people and sign language interpreters; we real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for Deaf people to be the main bodies.

      • KCI등재후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들의 돌봄 욕구 분석

        이준우(Jun-woo Lee),김현숙(Hyun-suk Kim),강이슬(Yi-sul Kang)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 현장에서 인식하는 돌봄을 서비스로 실천하기 위한 노인복지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노인복지관에서 어떤 수준과 범위에서 돌봄을 서비스로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접근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기에 지역사회 돌봄 체계에서 노인복지관의 역할과 정체성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B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당사자들이 인식하는 돌봄은 무엇이며, 노인의 욕구에 부합하는 실제적인 돌봄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질적연구는 FGI를 진행하여 근거이론 방법으로 범주화 분석하였으며, 양적연구는 B노인종합복지관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질적분석에서는 노인의 활기찬 삶과 건강관리, 노인의 활기찬 삶과 B노인복지관, 노인의 활기찬 삶과 사회참여, 노인의 활기찬 삶과 평생교육, 노인의 활기찬 삶의 마무리가 주요 쟁점으로 제시되었다. 양적분석에서는 돌봄서비스의 우선순위와 고려되어야 할 돌봄의 구체적 내용이 도출되었다. 양적분석 결과를 토대로 질적연구의 결과와 내재시켜 노인 당사자가 필요로 하는 돌봄의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돌봄을 실천하기 위한 노인복지관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used integrated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role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implementing the care recognized in the senior welfare field as a service. Because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level and scope of care should be provided as a service at senior welfare centers, the role and identity of senior welfare centers need to be redefined in the community care system. Based on this re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mixtur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examine what care is perceived by those using Senior Welfare Center B and the content of actual care that meets the needs of the elderly.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GI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nd th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fter surveying 300 users of B Senior Welfare Center. As a result of the FGI analysis, the active life and health care of the elderly, the active life of the elderly and B elderly welfare center, the active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e active life and lifelong education of the elderly, and the conclusion of the active life of the elderly were presented as major issue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priorities of care services and specific contents of care to be considered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paradigm of care required by the elderly party was examined, and the role of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to practice social and cultural care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